▲이정표를 따라 장안면사무소 방향으로 내려가면 어은리가 나온다. 장안면 어은리(漁隱里): 마을 대부분의 지형이 비교적 완만한 구릉성 지대로 이루어져 있으 며, 서쪽 방향으로 하천이 흐르고 있고 자연 마을로는 검누들, 독지골, 띠고개, 바람고지 마 을 등이 있다. 거문들 마을은 검은 돌이 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며, 독지골 마을은 독실한 과부가 살았다 하여 이름 붙여지게 되었으며 띠고개 마을은 뒷산에 띠가 많다는 의미에서 불리어진 이름이며, 바람고지 마을은 곶으로 되어있다는 뜻에서 명명되었다. ▲익살스런 조각품으로 장식된 장안면사무소 모습 ▲장안면(長安面)사무소: 경기도 화성시의 남서쪽 끝에 위치한 면이다. 10개 법정리를 관할한 다. 위쪽에는 화성호(華城湖)가 있고, 아래에는 남양호와 아산만이 있다. 현재의 장안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수원군 장안면(長安面)과 초장면(草長面)을 통합한 것이다. 장안 면에 대한 기록은 『화성지』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옛 마정면(磨井面)을 장안면에 합쳤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외에도 그 이전에 있던 화방면(禾方面)의 일부도 장안면에 합쳐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오늘날의 장안면 지역 은 마정면, 화방면 그리고 초장면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옛 마정면 지역은 지금의 장안면 북쪽 석포리 일대이었고, 옛 화방면 지역은 지금의 장안면 중간부분인 어은리(漁隱里), 수촌 리 일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호구총수』에 화방면의 관할 동으로 어은동리(漁隱洞里)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현재의 장안면 남쪽 지역인 덕다리, 사랑리, 독정리, 사곡리, 노진리, 장안리 일대는 모두 옛 초장면 관할 지역이었다.『해동여지도』 이전의 고지도들은 현재의 장안면 위치에 마정 면, 화방면, 초장면 이외에 마정면과 화방면 사이에 목장면(牧場面)이 표시되어 있다. 이 목 장면은 『호구총수』나『여지도서』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오류인지, 실제로 그런 지명이 존재 하였는지 분명하지 않다. 장안면라는 이름은 장안리에서 발전된 것으로 보인 다.『화성지』에 장안면 관할 동으로 장내리(場內里)가 제일 먼저 나온다. 이 장내리는 예전 에 말을 사고파는 마장(馬場)이 서서, 마장리로 부르다가 장내리로 후에 다시 장안리(長安 里)로 바뀌었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장안면 [長安面, Jangan-myeon]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지명, 2008. 12., 국토지리정보원) ▲장안면사무소 앞 4차선도로 이화정공 맞은편 건물 주차장 뒤쪽으로 가야 하는데 너무 힘이 들어 이곳에서 우측 버스정류장으로 탈출한다. ▲버스를 타고 조암버스터미널로 가서 7802번 좌석버스-수원역하차 후 귀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