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1은 앞의 그물강도래붙이보다 다소 늦게출시된 진공포장 제품이며, 내가발견한 것은사진2의다른2종류의병포장 제품과 함께2001년겨울츠치우라(土浦)시의대형낚시용품점에서 구입하였다.제조원은모두 「주식회사
마루니치(マルニチ)」이며,전화번호에 의하면 그소재지는후쿠시마(福島)현니시시라카와(西白河)군이다.또한 대상 어류가 메기,산천어,송어,피라미 등인 점과 냉장보관을 요하는 점도 동일하였다. 본종은
성장 단계가 다른 크고 작은애벌레10마리를진공포장한 것 3묶음(총 30마리)이 750엔이었다.
강도래류의 유충은낚시꾼들사이에서 다양한 이름으로불리며, 도깨비벌레(오니쵸로)는 관동 지방에서 불리는 이름이며, 이외에도관동지방에서는 오니게라(도깨비땅강아지), 간사이(関西)지방에서는 케라(땅강아지), 오세코, 오니케라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종명을 동정한카와이(川合) 씨에 따르면본종은일본의 하천에 널리분포하는 보통종이지만 이것도
아직 정확한종명이낚시책에등재된 것을나는아직 본 적이 없다,물론 낚시꾼에 따라서는 어떤 종류의강도래라도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문제가 없겠지만.
그런데사진2의왼쪽병 제품은상품명도제조업체도 앞에 말한 종류와 같지만,이것은병포장이라고 하는 새로운형태의낚시 미끼이다.병 속에 있는 강도래도소형이며, 전술한 카와이(川合)씨에 따르면본종도 또 일본의전국에서매우 흔한종류이지만
앞서의 종과는 다른 얼룩강도래붙이였다. 소형병(지름3cm,높이6cm)의투명한 액체에 잠긴 애벌레20마리가 들어있으며, 가격은750엔이었다.
그런데, 병 속에 들어있는 침지액이 무언지 점원에게 물어보았지만
모른다.나는아마도알코올이나독한 술일 것으로추정했다. 몇 개를 구입해서 집으로 돌아와서 개봉해도알코올냄새가없었다.시험 삼아 맛을 보니달콤하다.무슨 시럽에 절인 듯하다. 본종이낚시 미끼로 이용된 것은 이미 오래전에 기록되어 있다.
이리하여 보존성이 좋지 않아서 상품화 되기 어려웠던 하천의 벌레도 이제는진공 포장과시럽에 절인다고 하는 두 가지방법으로
인해 상품화에 성공한 것이다.
3) 형태 : 성충의 몸길이는8~12㎜로 강도래류 중에서는 중형종이다.날개(깃)는 선명한
차갈색이다. 유충의 몸길이는 20mm이하이며, 배와 등쪽은 약간 편평하다.몸은 전체가황갈색이며광택이 있다.2개의홑눈은머리 뒤 가장자리에
접한 곳에 위치한다.홑눈 바깥쪽으로 흑갈색 부분이있다.앞가슴은
장타원형이고 정중선및
그 주변부는황갈색이다.아가미는 전흉부에1쌍, 중흉부에2쌍, 후흉부에3쌍, 항문부의좌우에1쌍이있다. 복부각 마디는 갈색이고 중앙부는 색이 엷다.
4) 설명 : 강의중류에서 상류지역에서식한다. 4~5월에 성충으로 우화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상세한 생활 사이클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식성은 잡식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질 오염에 민감하기 때문에서식에는수질 보존이불가결하다. 강변의수림 지대는성충의서식장소가 된다. 유충기가 길기 때문에안정된하상의 확보가 필요하다. 강도래류는성충과 유충 모두 어류, 조류, 거미류의먹이로서 중요하다.
3) 형태 : 성충의 몸길이는 수컷 약 15mm, 암컷 약 22mm로 강도래류 중에서는 대형이다. 다리의 관절 부위에 어두운
무늬가 있다. 유충의 몸길이는3㎝ 정도이다.
4) 설명 : 강상류지역에 서식하며,성충은봄부터여름에 출현한다. 야간에 등불에 자주 날아든다.유충은 다른 수서곤충의 유충 등을 먹는다. 유충은 강상류의 물의 흐름이
빠른 곳에 서식하며, 약 2~3년 정도강에서 생활한다. 늦은 봄부터 여름에 걸쳐 유충은 강에서 나와 바위 위등에서성충으로 되며, 성충은 지상에서 생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