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희 |
정약용 |
성즉리 |
성기호 |
사덕 → 사단 |
사단 → 사덕 |
1. 다산 정약용
1) 인물탐구
▷전남 강진 유배 당시 강진에 있는 산의 이름인 다산[茶山]을 따서 호를 지었다
▷정약용(1762~1836)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으로 1789년 식년문과에 급제
▷가톨릭 교인이라 하여 충청도 해미로 유배되었다가 10일만에 풀려나와 지평으로
등용
▷임기중 수원성 수축에 기여하였고, 1794년 경기도 암행어사로 나가 크게 활약하였다.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신유박해 때 장기로 유배되었고, 뒤에 황사영 백서사건에 연류되어
전남 강진으로 이배 되었다.
-황사영 백서사건: 천주교 신자 황사영이 당시 베이징에 머물던 구베아 주교에게 편지를
보내려고 한 사건
신유박해 경우 실태, 조선정치의 실정,종교의 자유등 청나라의 황제가 간섭해줄것을 요구
2)
[정다산전서]가 있으며, 그속에 ▷목민심서,경세유표,흠흠신서,마과회통,상서지원론,매씨서평,상서고훈 등이 실려 있다.
▷500여권의 실학관계 서적을 완성했으며, 경학관계연구서 232권을 비롯하야 詩와 文으로도
뛰어난 저서를 많이 남겼다.
3)
▷영조38년 사도세자가 죽음을 당한 그해 태어남
▷다산은 어버지 나주정씨 정재원과 어머니 해남윤씨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선대 8대가 홍문관 출신
-홍문관(弘文館)-조선시대에 궁중의 경서 사적의 관리 왕의 자문의 일을 맡아 보는 관청
▷정약전: 정약용의 둘째형 조선후기의 학자,천주교 선교자 저서로는 자산어보 등이 있다.
▷정약종: 정약용의 셋째형 저서로를 주교요지 등이 있다.
-신유박해는 1801년 천주교도를 박해한 사건으로 처형
▷15세에 연상인 풍산 홍씨(16세)와 결혼
▷22살에 세자 책봉 경축을 위한 경의초시에 합격해 정조와 만나게 된다.
▷정조의 눈에 띄어 28살에 문장력을 인정받아 등용된다.
▷33세 정약용은 암행어사로서 관리들의 폭정을 고발하여 처벌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리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깨닫게 되었다.
▷정조의 명을 받아 배다리와 수원성을 설계하며 정조의 사도세자 복원뜻을 적극 지지
▷1800년 39세 정조 승하 한창 나이인 40대에 반대파의 모함으로 유배
▷75세에 삶을 마감
4)
▷정조은 성균관 내 시험에서 출중한 성적을 낸 다산에게 수많은 서적을 하사하기도 하고 다산과 규장리에서 함께 책을 읽고 토론을 벌이기도 함
▷다산에게는 정조가 임금이자 스승이었다.
▷정조의 총애를 받으며 친구처럼 함께 즐기기도 했던 다산
정조: 보리뿌리 맥근 맥근(麥根 麥根)
정약용 : 오동열매 동실 동실(桐實 桐實)
정조 : 까치여덟 팔작 팔작(八鵲 八鵲)
정약용 : 송아지다섯 오독 오독(五犢 五犢)
▷인재를 아끼고 알아본 정조의 뛰어난 안목
5) 정약용과 형 정약전의 관계?
①평생 동안 자기를 알아주는 유일한 벗,
서로의 지기지우(知己之友)였던 정약용과 정약전
지기지우(知己之友): 서로 뜻이 통하는 친한 벗이라는 뜻입니다
②자신의 숱한 저작물을 이해해준 형 정약전
→학문적, 정신적 교감을 나눴던 정약용과 정약전
◇정약용의 주역사전 서문 중
언제 동생과 함께 한 세상을 한 형제로 살아볼 수 있으랴, 주역사전을 읽고 이 서문을 쓰는 것만으로 만족한다, 나는 참으로 유감이 없다 -정약전
◇율정별:둘째형 정약전과 함께 유배길에 올라 다시 만나리라는 기약도 없이 영영 이별함을 슬퍼하면 지은 시 (정약전-흑산도 정약용-강진)
율정별(栗亭別)-정약용
초가 주막의 새벽 등잔
가물거려 꺼지려는데
일어나 새벽별을 보니
이별할 일 참담하구나
묵묵히 마주 보며
둘이서 말이 없고
목청 바꾸려 애쓰니
목이 메어 울음 터지네
흑산도 아득하여
바다와 하늘 맞닿은 곳이니
그대
어찌다다 이 속으로 들어가시는가
2. 다산학
▶다산 정약용의 실학정신 학문과 사상을 탐구하고 연구하는 것이 다산학
▶경학(經學)이란?
-유교 경서(經書)공자,맹자등 의 뜻을 해석하는 학문
-유교 경전의 글자,구절,문자에 음을 달고 주석하며 연구하는 학문
▶주희 : 경학을 집대성하여 주자학이란 새로운 개념을 설립
▶정약용: 실학을 집대성
-실학: 실사구시(實事求是)학=실용주의학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손으로 만져보는 것과 같은 실험과 연구를 거쳐 아무도 부정할
수 없는 객관적 사실을 통하여 정확한 판단과 해답을 얻고자 하는것
-실학자 계보>
17세기-유형원, 한백경, 허균
18세기-이익, 박지원, 유득공, 박제가
19세기-김정희, 김정호 정약용(실학사상을 집대성)→ 다산학
1) 仁에 대하여
▶유교의 기본이념: 인(仁)
-논어: 仁者 愛人也 ( )
-맹자: 仁 人也 ( )
①주자와 다산의 仁 해석 차이
◇주자의 仁 해석
仁者 愛之理 心之德
인자 애지리 심지덕
해석>
◇다산의 仁 해석
-다산은 仁을 주자가 복잡하게 해석한것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 仁이란? -두사람(二 人)을 의미한다.”
二人之 盡己道
이인지 진기도
해석>
두사람 사이 할 도리
-부자(父子), 부부(夫婦), 군신(君臣), 형제(兄弟)
2) 德에 대하여
다산의 논문 원덕(原德)-다산의 짤막한 논문
①因命與道 ②有性之名 ③因己與人 ④有行之名
⑤因性與行 ⑥有德之名 ⑦徒性不能爲德
해석>
①명(命)과 도(道) 때문에(與-and)
②성(性) 이라는 이름(名)이 있다. : 성(性-)타고난 본래 선한 성품
③나(己)와 남(人) 때문에(與-and)
④행(行)이라는 이름(名)이 있다. : 행동이 나온다.
⑤성(性)과 행(行) 때문에(與-and) : 타고난 착한 성품을 행동으로 나타내는것이
⑥덕(德) 이라는 이름(名)이 있다 : 덕이다.
⑦성이 덕이 아니다. : 마음을 착하게 가지는 것이 덕이 아니다.
결론> 착하고 아름다운 성품을 행동으로 보여라
3. 다산의 개혁사상
1) 다산 당시의 사회
①중앙 벼슬아치들의 당파싸움과 세도정치
②뇌물과 군역을 면제 시켜주는 등 부정,부패가 만연
③일반 백성에 대한 착취와 탄압
2) 경세유표(經世遺表) 저술
▶경세론을 펼친 첫 번째 정약용의 작품으로 일종의 개혁안
▶세상을 다스리기 위한 논리들을 죽은후에 임금에게 올리는 건의서
◇遺表(유표)
신하(臣下)가 죽을 때 임금에게 올리는 글
▶주요내용: 부정하고 부패한 사회의 제도(행정,세금,토지)를 바꾸자는 내용
◇토지정책:여전론(閭田論)
►농토는 완전 국유화 하며, 산간이나 들을 일정한 구획으로 나누어 이를 여(閭)라 하고 1여를 30가구가 공동 경작하게 하는 방식
►모든 토지의 사유화를 인정하지 않고 농사를 짓는 사람에게만 토지의 점유권과 경작권을
부여하는 토지제도
◇경세유표 서문
①一毛一髮無非病耳, ②及今不改, ③必亡國
해석>
①나라가 털끝 하나 병들지 않은 것이 없다,(개혁하자)
②지금 당장고치지 않으면
③반드시 나라가 망할 것이다.
◇天下腐爛已久(천하부란이구)
해석>
온세상이 썩어 문드러진지 오래다
-부란(腐爛): 썩어서 문드러지다.
-육경과 사서의 경학 연구만으로는 학문의 절반밖에 갖추지 못하기에,자신의 경학적 입장과 연속선상에서 치인지학(治人之學)인 경세학으로 부패한 사회를 전면적인 개혁이 목적
◇치인지학:통치자가 되기 위해 배워야 하는 학문[治人之學]이다.
3) 다산이 말하는 부패한 세상을 개혁하는 방법
①첫째: 생각의 틀을 바꾸자 (발상의 전환을 하자)
다산의 경학서 200권에서 강조
②둘째: 법제의 개혁-법과 제도를 고치고 바꾸자
③이용감(利用監)설치 주장: 경세유표에서 주장 기술 혁신형 농공상을 위하여 선진기술을
수용하여 각 지방에 전달하는 기구
4. 다산의 시 세계
▶헤겔,괴테,다산은 동시대 인물
◇헤겔 (1770~1831): 독일의 철학자 / 칸트 철학을 계승한 독일 관념론의 대성자
◇괴테 (1749~1832): 독일의 시인,정치가 / 독일 고전주의 대표자, 세계적 문학가
◇정약용(1762~1836): 의술자, 기술자, 지리학,역사학, 문학에 능통
1) 시 속에 있는 다산의 자주성
◇「我是朝鮮人(아시조선인) 甘作朝鮮詩(감작조선시)」.
茶山(다산)은「나는조선인 이므로 조선시를 즐거이 쓴다
◇다산의 시속에 녹아있는 우리말
탐진어가
桂浪春水足鰻鱺(계랑춘수족만려) 계량 봄바다에 뱀장어가 많고
橕取弓船漾碧漪(탱취궁선양벽의) 푸른 물결 헤치며 활선이 떠나간다
高鳥風高齊出港(고조풍고제출항) 높새바람 드높을 때 일제히 출항해서
馬兒風緊足歸時(마아풍긴족귀시) 마파람 급히 불 때 가득 싣고 돌아올 때라네
-1802년 강진서유배생활 하면서 어부들이 고기를 잡으며 부르는 뱃노래를 듣고 지은시
-조선식 한자어 표현: 고조풍-높새바람, 마아풍-마파람
◇시 속에 녹아있는 애국사상
寄淵兒(기연아:) 아들 연이에게 부치는 편지.
①不愛君憂國 非詩也 ( )
②不傷時憤俗 非詩也 (불상시분속 비시야)
해석>
①임금을 사랑하고 나라를 걱정하지 않으면 시가 아니다
②시대를 아파하고 시속을 통분해 마지 않는 것은 시가 아니다.
2) 시안에 녹아있는 다산의 애민 정신 / 사회 고발 정신
◇哀絶陽(애절양) 陽: 남자의 생식기를 의미
- 다산시문집에 수록 목민심서에도 인용
백성들이 인두세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또한 관료들의 학정을 감당하지 못한 백성이 아이를 낳지 않겠다며 자기 생식기를 잘랐다. 정약용은 몸서리칠 정도로 끔찍한 그때의 현실을 시로 고발했다.
蘆田少婦哭聲長(노전소부곡성장) 갈밭마을 젊은 아낙 길게길게 우는 소리.
哭向縣門號穹蒼( ) 관문 앞 달려가 통곡하다 하늘 보고 울부짖네
~생략
薄言往愬虎守閽(박언왕소호수혼) 억울한 하소연 하려해도 관가 문지기는 호랑이같고,
磨刀入房血滿席(마도입방혈만석) 남편이 칼 들고 들어가더니 피가 방에 흥건하네
~생략
豪家終世奏管弦(호가종세주관현) 부자집들 일년 내내 풍악 울리고 흥청망청
粒米寸帛無所損( ) 이네들 한톨 쌀 한치 베 내다바치는 일 없네.
均吾赤子何厚薄(균오적자하후박) 다 같은 백성인데 이다지 불공평하다니,
-인두세(人頭稅): 성,신분,소득에 관계없이 성인이 된 사람에게 부과된 일률동액의 세금
-신포(身布) 국가가 백성의 노동력을 징발하는 대신에 현물로 환산하여 납부
-군포(軍布): 조선시대 군정에게 역을 면제해 주는 대신에 받던 베
◇饑民詩(기민시)
굶주린 백성-백성들의 굶주리고 피폐한 모습을 읊은 시
◇弔蠅文(조승문)-강진에서 지은시
파리를 조문-파리떼를 관리들의 횡포로 인해 고통받는 백성들의 혼이 깃든 대상으로 여기며 조문하는 글을 통해 현실에 대해 비판
5. 다산의 목민심서(牧民心書)
1) 목민심서란?
힘없고 약한 백성(民)을 보살펴(牧) 주고 싶어서 마음(心)으로 지은책(書)
지방관을 비롯한 관리의 올바른 마음가짐 및 몸가짐에 대해 기록한 정약용이
저술한 행정지침서
▶목민관(수령)이 지켜야 할 지침서
▶관리들의 폭정을 비판한 정약용의 저서
▶부임,율기,봉공,애민,이전,호전,예전,병전,형전,공전,진황,해관의 12편
▶각 편은 다시6조로 나누어 모두 72조로 편제되어 48권 16책의 필사본
▶목민심서의 가치
◇호치민: 생전에 정약용의 목민심서(牧民心書)를 머리맡에 두고 읽었다는 일화가 전해짐
→백성을 바르게 통치하겠다는 지도자의 열망을 볼수 있다.
◇고종황제: 목민심서를 읽고 자신에게는 다산과 같은 신하가 없음을 한탄
◇목민심서 중에서
①土豪武斷 ②小民之豺虎也. ③去害存羊 ④斯謂之牧.
해석>
①토호들이 힘으로 억눌르는 그런 일들은
②약한 백성들에게는 승낭이나 호랑이다
③피해를 재거해서 순진한 양처럼 살아갈수 있도록
④보호하는 것이 목민관 이다.
2) 목민심서를 저술한 목적
▶경세유표로 변혁을 하고 싶지만 다산 자신이 할 수 없다(권력이 없으므로)는 한계를
인식하고 목민심서를 저술
①현행법으로 백성을 보살피기 위한 다산의 생각
◇목민심서 중에서
①因今之法 ②而牧吾民也
인금지법 이목오민야
해석>
①현행의 법을 가지고서라도 ②우리의 백성을 보살피기 위함이다.
3) 율기(律紀)편
▶관리들의 마음가짐을 새롭게 만들어 어떻게 백성을 살필것인가를 생각
▶도덕상으로 여러 사람에게 행위의 표준이 될 만한 질서
▶6 조항으로 구성
①칙궁(飭躬): 단정한 몸가짐
②청심(淸心): 깨끗한 마음가짐, 청렴해라
③제가(齊家): 집안의 법도-어떻게 가정을 다스리는가
④병객(屛客): 사사로운 손님은 물리치라
⑤절용(節用): 절약해서 쓰는 것
⑥낙시(樂施): 은혜를 베풀라-이웃을 도와라
▶각 조항마다 여러가지 사료를 들어 설명
4) 율기(律紀)편 청심(淸心)
▶청심은 수령의 본래 의무인데, 모든 선의 원천이며 모든 덕이 근본이다.
▶청백리 강조: 뇌물은 받지 말아야 한다.
▶양진의 사지(四知)
후한때 양진이 집에 현령인 왕밀이 왔다 자신에게 베풀어준 은혜에 대한 보답으로 금 열 근을 바쳤다. 이에 청렴한 양진은 받을 이유가 없다고 거절했다. 그러자 왕밀은 “지금은 한 밤중이고 당신과 나밖에는 아무도 알 사람이 없다”고 하며 받기를 다시 권했다
◇양진(楊震)이 말하기를 천지(天知),신지(神知),아지(我知),자지(子知)
해석> 하늘이 알고 귀신이 알고 내가알고 그대가 안다.
5) 목민심서의 청렴의 등급 (청백리 등급)
①고지염리(古之廉吏) 염리(廉吏):청렴한 관리
봉급외 아무것도 받지않고 받고 남은 것은 역시 가지고 집에 가지고 가지 않으며,벼슬을 그만두고 집으로 돌아가는 날에 한필의 말로 조촐하게 가는 것
②중고지염리(中古之廉吏)
봉급 외에 명분이 바른 것은 받고, 바르지 않은 것은 받지 않으며 받고 남은 것은 집으로 보내는 것
③금지염리(今之廉吏)
규례로 되어 있는 것이라면 명분이 바르지 않더라도 받지만 규례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은 받지 않는다.
▶다산의 생각> 관리들의 마음을 청백하게만 바꿔도 백성들이 살기편해 진다는 사상
6. 다산의 평등사상 (인도주의)
1) 인도주의적 평등적 사상
◇여유당전서內 [논어고금주] 중에서
①君子小人 ②天然同類
해석>
①군자와 소인은 ②원래 태어날 때부터 같다.
-(군자)-임금, 지식인, 권력있는 사람 / (소인)-천한사람, 힘없는 사람은 같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
2) 신분제 비판
◇여유당전서內 [논어고금주] 중에서
①修道之謂敎 ②有敎無類
해석>
①도를 닦는 것을 교라 하는데 (교육을 의미)
②교만 있으면 종류가 비슷하다.(가르치기만 한다면 같아진다)
-가르침만 있으면 종류를 구별할 수 없이 똑같은 수준에 이를 수 있다.
◇여유당전서內 [논어]
①性相近 ②習相遠 ③唯上知 ④下愚不移
해석>
①사람의 습성은 서로 비슷하다.
②습관에 의해 서로 멀어진다.
③가장 지혜로운 사람과
④가장 어리석은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성 삼품설(上品, 中品, 下品)
성에는 3가지 등급이 있다는 주장(상등인간,중등인간,하등인간)
▷정약용은 성삼품설의 운명론은 잘못 해석한 것이라고 비판
-당나라의 한유나 송나라 주가가 [논어]의 유상지 하우불이 경문을 잘못 해석해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상지(귀족,지배자)와 하우(천민,평민)로 태어나 발전과 진보의 가능성이 막혔다는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
▷정약용의 상지(上知) 와 하우(下愚)의 해석
정약용은 知와 愚는 인성의 우열이 아닌 지혜의 우열을 말한 것이며, '습성은 서로 멀다'는 측면에서 말한 것이지 '본성은 서로 가깝다'는 측면에서 말한 것이 아니라고 보았다.
3) 정치의 평등사상
◇여유당전서內 [다산 시문집] 중에서
①政者正也 ②均吾民也
해석>
①정치란 바르게 하는것이고
②우리 백성들을 평등하게 해야 한다.
-정치란 우리 백성들을 고르게 하는 것이다.
4) 지역한계를 극복하는 평등사상
▷다산의 通塞議(통색의)
-내용: 막힌 것 또는 경색된 것을 뚫는다
가문이나 낮은 신분의 백성들은 등용의 길이 차단되었고, 수도권,충청도, 경상도를 제외한 지역의 인제들의 등용길이 막혔다고 주장하면서 지역 출신 계급,신분을 가리지 말고 인재라면 등용하여 국정에 참여시켜야 한다고 역설
7. 다산의 민주적 사고
1) 다산의 원목(原牧, 목민관) 의미
◇원목에서는 백성이 목(통치자)을 위해서 존재하는가? 목이 백성을 위해 존재하는가를
스스로 묻고 목이 백성을 위해 존재하는 것임을 밝히고 있다.
◇우리 손으로 지도자를 뽑자
牧爲民有也
목위민유야
해석>
다스리는 사람은 백성 때문에 있는 것
2) 다산의 탕론(湯論) = 혁명
◇탕론은 신하로서 임금을 몰아낸 탕 왕의 행위가 과연 정당한가를 검토한 글이다.
◇맹자와 같은 주장
맹자의 주장: 군주는 백성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정치하고,경제적으로 도덕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 하면서, 어질지 못한 군주는 쫒아내어야 한다는 주장
◇여유당전서내 탕론 중
하이상(下而上) 상이하(上而下)
-下而上: 상향식 정치(밑에서 올라오는 정치-백성들이 뽑는 정치)
아래로부터 위로’의 정치 의미
-上而下: 하향식 정치
위로부터 아래로’의 정치 의미
3) 신하들에 대한 진실한 책망
①要爲所敬 ②不要爲所愛 ③要爲所信 ④不要爲所悅
해석>
①존경을 받는것이 중요하지 ②총애를 받는 것은 중요치 않다.
③신뢰를 받는것이 중요하지 ④기쁘게 해주는 것은 중요치 않다.
8. 다산의 과학적사고
1) 신비주의 반대
◇다산의 맥론(脈論)
맥으로는 혈기의 쇠약,왕성과 병증의 허함과 실함을 살피는 것이지 좌촌은 심장, 우촌은 폐장등 진찰한다는 것은 망령된 짓이다.
◇다산의 상론(相論)
관상에 대하여 얼굴 모습에 따라 운명이 달라지는 것이 아니고 그 사람이 무슨 일을 하는가에 따라 얼굴이 변한다는 것이다
◇다산의 풍수론(風水論)
<여유당전서>에 의하면 풍수지리에 대해서는 믿을 것이 못된다고 '풍수론'이란 글을 통하여 신랄하게 혹평하였다
◇정감록 비판
정감록: 조선 중기 이후에 나라에 성행하였던 국가운명, 생민존망에 관한 예언서
2) 개혁 방법 제시
①사유체계의 변화
②법체의 개혁
③기술개발-과학적 사고 강조
◇다산의 기예론(技藝論)-기술과 예능에 관한 논의
금수는 발톱, 뿔, 단단한 발굽, 날카로운 이, 독 등이 있지만 약하게 태어난 사람에게는 그러한 것이 주어지지 않은 대신에 기예를 익혀 발전시켜 생활을 영위해 나갈 수 있다고 하였다
-이용감(利用監) 설치 주장: 기술도입 및 개발을 책임지는 관청의 신설을 요구
◇다산의 삼농(三農)정책
-농사정책에 대해 올리는 상소문인 응지농정소(應旨農政疏) 속에 전해지고 있다.
①후농(厚農): 장사보다 이익이 적으니 정부가 각종 정책을 통하여 수지맞는 농사가 되도록 해 주어야 한다.
②편농(便農): 원래 공업에 비하여 농사짓기가 불편하고 고통스러우니 정부는 경지정리, 관개수리, 기계화를 통하여 농사를 편히 지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③상농(上農): 일반적으로 농민의 지위가 선비보다 낮고 사회적으로 대접을 제대로 받지 못함에 비추어 농민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
3) 다산은 과학자 수학자
①배다리
과거에 하천에서 배를 엮어 다리로 이용하던 것으로 주교하고도 하며, 조선 후기 정조의 화성 행차를 위해 한강에 설치한 경우의 기록이 자세히 전함
②수원화성
-정약용이 고안한 거중기 등의 기계를 크게 활용하고 용재를 규격화한 점등, 뛰어난 과학적 구조물로 평가 받고 있다.
-거중기(擧重器): 수원 화성을 쌓을 때 쓰인 복합 도르래이다 정약용이 설계
▶ 오늘날 귀감이 되는 다산의 지성적 면모?
①시대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간 지성인
②백성에 대한 사랑과 나라에 대한 근심으로 시대 모순을 극복하고자 했던 개혁사상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