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쥐돔科 Acanthuridae
○ 큰뿔표문쥐치 : Naso brevirostris (Cuvier)
► 외국명 : (영) Spotted unicornfish, (일) Tsumaritenguhagi (ツマリテングハギ)
► 형 태 : 크기는 전장 70㎝ 정도이다. 몸은 긴 난원형이고 측편되었으며, 미병부는 가늘다. 머리 앞에는 전방을 향한 뿔 모양의 돌기물이 있으며, 입은 그 아래쪽에 작게 열린다. 돌기의 길이는 돌기 아래에서 주둥이 끝까지의 길이보다 길다. 미병부의 양측에는 2개의 골질판이 있다. 등지느러미는 1개로 극조부와 연조부 사이에 홈이 없이 반듯하게 이어진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둥글며, 중앙은 약간 함입되었다. 몸은 균일하게 다갈색을 띠고, 꼬리지느러미의 후반부는 연한 노란색을 띤다.
크기는 체장 60㎝ 정도이다. 체측은 좌우로 심하게 측편되어 있으며, 체형은 장타원형이다. 두부 전체와 체측 상단부 체색은 진갈색이며, 복부와 체측 하단부는 연갈색이다. 체측에 종대반문이나 횡대반문이 없다. 두부 전체와 체측 하단부에 동공보다 작은 소흑점이 밀집산재되어 있거나 또는 소흑점이 전혀 없다. 상악 상단부터 안경전방까지 주둥이에 연흑색 종대반문이 있다. 아가미 외연은 백색이다.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및 가슴지느러미는 연갈색이다. 배지느러미는 연회색이거나 투명하다. 꼬리지느러미 기저부는 연갈색이며, 기저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연회색이고 꼬리지느러미 중간부분에 연황색 횡대반문이 있다. 등지느러미는 아가미 외연의 상단에서 시작하며 그 기저 길이는 매우 길어서 미병부까지 이른다. 극조부와 연조부는 구분 없이 연결되어 있고 외연은 둥글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하단부의 체측에 있고 외연은 둥글며 그 후단은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을 훨씬 지난다. 배지느러미는 복부에 있으며, 그 후단은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을 지난다. 항문은 배지느러미의 중간에 있다. 뒷지느러미는 체측 중앙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기저 길이는 등지느러미 기저 길이보다 짧다. 꼬리지느러미는 절형이며 외연은 둥글다. 주둥이 상단의 외연에 주둥이와 비슷한 길이의 혹 돌기가 전방으로 길다. 혹돌기는 주둥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둥이는 두부의 중앙에 위치한다. 주둥이 전방의 상악과 하악은 동일하다. 입은 매우 작아서 상악 후단은 눈 전방에 이르지 못한다. 안경은 두부 중심축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아가미구멍은 가슴지느러미 전방의 체측에 있으며, 협부와 분리되어 있다. 비늘은 없으며, 체측 표면은 매끈하다. 미병부에 골질돌기가 2개 있다. 측선은 완전하며 등지느러미 기저와 인접하여 미병부까지 연결되어 있다.
► 설 명 : 주요서식지는 인도양과 태평양의 전역에 널리 퍼져서 서식하며 수심 10~100m의 산호초와 해조류가 번성한 암초지대에 주로 서식하는 표해수대의 어류이다. 대개는 산호초 및 암초 해저의 수심 30m 이내의 해안에 서식한다. 큰뿔표문쥐치는 일반적인 표문쥐치에 비해서 더욱 큰 뿔의 모양에 돌기를 가지고 있는 물고기이다. 몸은 앞쪽이 매우 아름다운 청록색을 띠고 있으며 뒤쪽은 진청색을 띠고 있는 어류이고 지느러미는 모두 푸른색을 띤다. 꼬리지느러미의 후부가 초승달의 모양이 아닌 뭉특하게 평평하며 몸에는 검은색의 얼룩무늬들이 있어 매우 아름다운 물고기이다. 먹이는 유어인 시기엔 동물성플랑크톤을 섭이하며 성어가 되면 새우와 같은 갑각류와 해조류를 모두 먹는 잡식성 물고기가 된다. 바닷물고기로서 매우 아름다운 어종이기 때문에 관상어로도 인기가 많으며 아쿠아리움에서도 찾아볼 수가 있는 물고기이다.
제철은 명확하지 않다. 껍질은 까칠까칠한 비닐 같아 힘이 있지만 벗길 수 있다. 살과 외피 사이에 섬유질 내피가 있다. 뼈는 연하다. 살은 투명감이 있는 백색이며, 가열을 해도 단단하게 조이지 않는다. 살에는 약한 갯내가 나고, 내장에서 냄새가 나기 때문에 빨리 물로 씻는 것이 좋다. 생선회는 비린내가 나지만 활어를 이용하면 냄새가 거의 없으며, 신선도가 좋으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원래 활어여서 그런지 냄새는 전혀 나지 않는다. 생선회는 감칠맛이 가장 먼저 느껴지며, 적당한 단맛도 있어 맛이 좋다. 생선구이, 튀김, 조림, 국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 분 포 : 한국(제주도), 일본(중부이남),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호주(북부), 인도, 아프리카 동부연안, 하와이 등 대서양과 지중해를 제외한 열대 및 아열대 해안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