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도라치 : Pholis nebulosus (Temminck et Schlegel)
► 방 언 : 보들래기(제주도), 괴또라지, 뽀드락지, 뻬들라치, 실치, 뱅어, 벵아리
► 외국명 : (영) Tidepool gunnel, (일) Ginpo (ギンポ)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30㎝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20㎝ 정도이다. 몸이 길며 측편되어 있고 전신이 작은 둥근 비늘로 덮여 있다. 체색은 회갈색으로 뚜렷하지 않은 흑갈색 반문이 있다. 머리는 작고 몸 길이는 머리 길이의 약 8 4/5배이다. 눈은 작고 아래턱은 위턱보다 약간 길고 입은 작다. 위턱의 후골은 눈틀의 앞 언저리 밑에서 끝난다. 이빨은 짧고 둔하며 양 턱에는 좁은 치대가 있고 서골에도 약간의 작은 이빨이 있다. 좌우의 새막은 폭이 넓으며 서로 붙어 있고 때로는 협부와도 유착되어 있다. 머리에는 피질돌기가 없다. 등지느러미는 짧고 강한 가시로만 되어 있다. 배지느러미는 짧은 1개의 가시와 흔적만 보이는 한 개의 연조로 되어 있다. 옆줄은 없다.
크기는 최대 전장 30㎝ 정도이다. 두부와 체측은 측편되어 있다. 체형은 장어형이다. 두부와 체측의 복부는 유백색이나 연황색을 띠며, 복부를 제외한 두부와 체측의 체색은 갈황색이다. 안경 하단에 횡대반문이 없다. 체측의 복부에서 시작하여 등지느러미 기저방향으로 연황색 부정형 및 불분명한 횡대반문이 아가미 후단부터 미병부까지 15개 내외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황색이며 전반부와 중앙에 동안경넓비의 갈색 반점이 20개 정도가 있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투명하거나 연황색이다. 뒷지느러미는 황색이며 10~12개 안경넓비의 갈색 반점이 전체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황적색이며 후연은 진황색 혹은 백색이다. 등지느러미의 기저 시점은 가슴지느러미 기저에서 시작한다. 등지느러미는 모두 극조이며, 꼬리지느러미와 결각을 이루며 융합되어 있다. 등지느러미 외연은 일직선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중앙보다 약간 하단에 위치하며 외연은 둥글다. 가슴지느러미 후단은 등지느러미 5~6극보다 후방에 이른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기저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하며 길이는 매우 짧다. 항문은 체측 후방에 위치한다.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체측 중앙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외연은 일직선이다. 뒷지느러미 후단은 꼬리지느러미와 결각을 이루며 융합되어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절형이며 외연은 둥글다. 양안간격은 약간 편평하다. 양안 사이의 감각공(interorbital pore)이 없다. 주둥이의 하악은 상악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다. 상악 후단은 안경 중앙에 이르지 못한다. 전새개부 후하단의 외연에 거치는 없다. 새개부 후단에 소극이 없다. 상하악에 작은 이빨이 있으나, 구개골에 이빨이 없다. 좌우 새막은 융합되어 협부와 분리되어 있다. 비늘은 원린이며 전새개부와 새개부의 두부 측면에 비늘이 덮여 있다. 측선은 없으며, 체측에 점액선이 발달되어 있다.
► 설 명 : 조간대의 수심 20m이내의 바위틈에 서식하며, 산란기는 9~10월이다. 길쭉한 장어처럼 생겼으며, 갯벌 웅덩이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전 해역에 살며, 육식성으로 자기보다 작은 물고기나 갑각류를 잡아먹는다. 입이 아주 큰 편이다. 그물에 잡히면 거의 버려지지만 탕으로 끓여먹으면 제법 맛있다. 다만, 점액질이나 뻘 냄새가 날 수 있으니 손질에 유의해야 한다. 드물기는 하지만 회로도 먹는데, 손질하기가 아주 번거롭다. 낚시꾼들에겐 복어와 더불어 귀찮은 잡어로 취급 받기도 한다. 값어치가 별로 없으면서도 너무 쉽게 잡혀서 미끼를 낭비하게 만들고, 낚시바늘을 그대로 삼켜버려 바늘을 꺼내고 뒷처리를 하는 것도 상당히 번거롭기 때문이다. 키우기가 쉬워서 관상용으로 기르기도 한다.
제철은 3월~5월 정도이다. 비늘은 약해서 벗길 필요가 없다. 껍질은 약간 두껍고 질기다. 뼈는 가늘고 약하다. 살은 투명감 있는백색으로 가열을 해도 단단하게 조이지 않는다. 장어처럼 긴 어류로 기본적으로는 붕장어처럼 전처리를 한다. 살은 매우 이질 좋은 백색으로 껍질에 독특한 풍미와 감칠맛이 있다. 튀기면 이 풍미가 살아나서 주로 튀김으로 이용하지만 구워도 맛이 좋으며, 삶아서 먹기도 한다.
► 분 포 : 한국(전 연안의 내만), 일본(전 연안과 사할린 이남), , 동중국해, 남중국해,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톡 부근 등 북서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