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飛龍비룡 辛鐘洙신종수 總務총무님 提供제공.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4장(第四章)_3절
p.249 【經文】 =====
與天地相似故不違知(智)周乎萬物而道濟天下故不過旁行而不流樂天知命故不憂安土敦乎仁故能愛
與天地相似, 故, 不違, 知(智)周乎萬物而道濟天下, 故, 不過, 旁行而不流, 樂天知命, 故, 不憂, 安土, 敦乎仁, 故, 能愛.
與天地相似라 故로 不違하나니 知(智)周乎萬物而道濟天下라 故로 不過하며 旁行而不流하여 樂天知命이라 故로 不憂하며 安土하여 敦乎仁이라 故로 能愛하나니라
天地천지와 더불어 서로 같으므로 어기지 않으니,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에 두루하고 道도가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하기 때문에 지나치지 않으며, 四方사방으로 行행하되 흐르지 아니하여 天理천리를 즐거워하고 天命천명을 알기 때문에 근심하지 않으며, 자리에 便安편안하여 仁인을 敦篤돈독히 하기 때문에 사랑할 수 있다.
中國大全
p.249 【小註】 =====
程子曰樂天知命通上下之言也聖人樂天則不須言知命知命者知有命而信之者爾不知命无以爲君子是已命者所以輔義一循於義則何庸斷之以命哉若夫聖人之知天命則異如此
程子曰, 樂天知命, 通上下之言也. 聖人樂天則不須言知命, 知命者, 知有命而信之者爾. 不知命无以爲君子, 是已. 命者, 所以輔義, 一循於義則何庸斷之以命哉. 若夫聖人之知天命則異如此.
程子정자가 말하였다. “天理천리를 즐기고 天命천명을 안다는 것은 上下상하를 通통하여 말하였다. 聖人성인이 天理천리를 즐기면 天命천명을 아는 것은 말할 必要필요가 없으니 天命천명을 안다는 것은 天命천명이 있음을 알아서 믿는 것이다. “天命천명을 알지 못하면 君子군자가 될 수 없다”[주 134]는 말이 이것이다. 命명은 義理의리를 돕는 것이니, 한결같이 義理의리를 따른다면 命명으로 判斷판단할 것이 무엇이겠는가? 聖人성인이 天命천명을 아는 것은 이와는 다르다.”
134) 『論語논어‧堯曰요왈』:子曰, 不知命, 無以爲君子也. |
○ 仁者不憂 樂天者也
○ 仁者不憂, 樂天者也.
어진 者자는 근심하지 않으니,[주 135] 天理천리를 즐기는 者자이다.
135) 『論語논어‧憲問헌문』:子曰, 君子道者三, 我無能焉, 仁者不憂, 知者不惑, 勇者不懼. |
○ 仁者在己何憂之有凡不在已逐物在外皆憂也樂天知命故不憂此之謂也若顔子簞瓢在他人則憂而顔子獨樂者仁而已
○ 仁者在己, 何憂之有. 凡不在已, 逐物在外, 皆憂也. 樂天知命故不憂, 此之謂也. 若顔子簞瓢, 在他人則憂而顔子獨樂者, 仁而已.
仁인이 自己자기에게 있으니 어찌 근심이 있겠는가? 自己자기에게 있지 않고 事物사물을 따라 밖에 있으면 모두 근심이다. “天理천리를 즐기고 天命천명을 알기에 근심하지 않음”은 이를 이른다. 마치 顔子안자의 밥그릇과 瓢표주박과 같으니 다른 사람이라면 근심했겠지만 顔子안자만이 홀로 즐긴 것은 仁인일 따름이다.
p.250 【本義】 =====
此聖人盡性之事也天地之道知(智)仁而已知周萬物者天也道濟天下者地也知且仁則知而不過矣旁行者行權之知也不流者守正之仁也旣樂天理而又知天命故能无憂而其知益深隨處皆安而无一息之不仁故能不忘其濟物之心而仁益篤蓋仁者愛之理愛者仁之用故其相爲表裏如此
此, 聖人盡性之事也. 天地之道, 知(智)仁而已. 知周萬物者, 天也, 道濟天下者, 地也, 知且仁, 則知而不過矣. 旁行者, 行權之知也, 不流者, 守正之仁也. 旣樂天理而又知天命, 故能无憂而其知益深, 隨處皆安而无一息之不仁, 故能不忘其濟物之心而仁益篤, 蓋仁者, 愛之理, 愛者, 仁之用. 故其相爲表裏如此.
이는 聖人성인이 性성을 다하는 일이다. 天地천지의 道도는 知지와 仁인일 뿐이니, 知지가 萬物만물에 두루함은 하늘이요, 道도가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함은 땅이니, 知慧지혜로우면서도 仁인하면 知慧지혜롭되 지나치지 않은 것이다. 四方사방으로 行행함은 權道권도를 行행하는 智지이고, 흐르지 않음은 바름을 지키는 仁인이다. 이미 天理천리를 즐거워하고 또 天命천명을 알기 때문에 근심이 없어 그 知慧지혜가 더욱 깊고, 있는 곳에 따라 모두 便安편안하여 한-番번 숨 쉴 때라도 仁인하지 않음이 없기 때문에 物件물건을 救濟구제하려는 마음을 잊지 않아 仁인이 더욱 敦篤돈독하니, 仁인은 사랑의 理致이치이고 사랑은 仁인의 用용이다. 그러므로 서로 表裏표리가 됨이 이와 같다.
p.250 【小註】 =====
朱子曰上文言易之道與天地準此言聖人之道與天地相似也
朱子曰, 上文言易之道與天地準, 此言聖人之道與天地相似也.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윗글에서는 易역의 道도가 天地천지와 같음을 말했고 여기에서는 聖人성인의 道도가 天地천지와 더불어 같음을 말했다.”
○ 與天地相似故不違下數句是說與天地相似之事上文易與天地準下數句是說易與天地凖之事
○ 與天地相似故不違下數句, 是說與天地相似之事, 上文易與天地準下數句, 是說易與天地凖之事.
“天地천지와 더불어 같기 때문에 어김이 없다” 아래의 몇 句節구절은 天地천지와 더불어 같은 일을[相似상사] 말했고, 윗 글의 “易역이 天地천지와 더불어 같다” 아래의 몇 句節구절은 易역이 天地천지와 더불어 같은 일[準준]을 말했다.
○ 與天地相似是說聖人第一句泛說知周乎萬物至道濟天下是細密底工夫知便直要周乎萬物无一物之遺道直要盡濟天下
○ 與天地相似, 是說聖人, 第一句泛說. 知周乎萬物, 至道濟天下, 是細密底工夫, 知便直要周乎萬物无一物之遺, 道直要盡濟天下.
“天地천지와 더불어 서로 같다”는 聖人성인을 말하였고, 제 一句일구는 泛泛범범히 말하였다. “知慧지혜는 萬物만물을 두루하고”에서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한다” 까지는 細密세밀한 工夫공부이니, 知慧지혜는 萬物만물을 두루해서 한 物件물건도 남김이 없어야 하고 道도는 天下천하를 다 救濟구제하여야 한다.
○ 知周乎萬物便只是知幽明死生鬼神之理
○ 知周乎萬物, 便只是知幽明死生鬼神之理.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을 두루한다는 것은 곧 幽明유명‧死生사생‧鬼神귀신의 理致이치를 아는 것이다.
○ 問程子知周乎萬物而道濟天下故不過釋之曰義之所包知也文意如何曰程子說易字皆謂易之書而言故其說如此似覺未安蓋易與天地準故能彌綸天地之道此固指書而言自仰觀俯察以下須是有人始得蓋聖人因易之書而窮理盡性之事也
○ 問, 程子知周乎萬物而道濟天下故不過, 釋之曰, 義之所包知也, 文意如何. 曰, 程子說易字, 皆謂易之書而言, 故其說如此似覺未安. 蓋易與天地準故能彌綸天地之道, 此固指書而言. 自仰觀俯察以下, 須是有人始得, 蓋聖人因易之書而窮理盡性之事也.
물었다. “程子정자가 “知慧지혜는 萬物만물을 두루하고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한다”를 풀어서 “義理의리가 包含포함된 知慧지혜이다”라고 하였는데 글의 뜻은 무엇입니까?”
答답하였다. “程子정자가 말한 ‘易역’字자는 모두 易書역서의 글을 말하기 때문에 그 說明설명이 이처럼 알기가 쉽지 않습니다. “易역은 天地천지의 道도를 準則준칙으로 삼았으므로 天地천지의 道도를 두루 다스림(彌綸미륜) 할 수 있다”는 本來본래 易書역서를 가리켜 말하였습니다. “우러러 보고 구부려 살폈다” 以下이하부터 사람이 얻기 始作시작함이 있으니, 생각건데 聖人성인이 易역의 글을 通통해 理致이치를 窮究궁구하고 性品성품을 다하는 일입니다.”
○ 問本義云知周萬物者天也道濟天下者地也是如何曰此與後叚仁者見謂之仁知者見謂之知又自不同此以淸濁言彼以動靜言知是先知得較虛故屬之天道濟天下則普濟萬物實恵及民故屬之地又言旁行而不流樂天知命故不憂此兩句本皆是知之事蓋不流便是貞也不流是本旁行是應變處无本則不能應變能應變而无其本則流而入變詐矣細分之則旁行是知不流屬仁其實皆是知之事對下文安土敦乎仁故能愛一句專說仁也
○ 問, 本義云知周萬物者天也, 道濟天下者地也, 是如何. 曰, 此, 與後叚仁者見謂之仁知者見謂之知, 又自不同. 此以淸濁言, 彼以動靜言. 知是先知得較虛, 故屬之天. 道濟天下則普濟萬物實恵及民, 故屬之地. 又言, 旁行而不流, 樂天知命故不憂, 此兩句本皆是知之事. 蓋不流便是貞也, 不流是本, 旁行是應變處. 无本則不能應變, 能應變而无其本則流而入變詐矣. 細分之, 則旁行是知, 不流屬仁, 其實皆是知之事, 對下文安土敦乎仁故能愛一句, 專說仁也.
물었다. “『本義본의』에서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을 두루함은 하늘이고 道도가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함은 땅이다”라 한 것은 어떠합니까?
答답하였다. “이는 後叚후단의 “어진 者자는 이를 보고 仁인이라 하고 知慧지혜로운 者자는 이를 보고 知지라 이른다”라는 것과는 다릅니다. 이것은 淸濁청탁으로 말한 것이고 저것은動靜동정으로 말하였습니다. 知지는 먼저 아는 것으로 比較的비교적 抽象的추상적이기 때문에 하늘에 屬속합니다.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함은 널리 萬物만물을 救濟구제하여 百姓백성에게 實際실제로 惠澤혜택이 미치는 것이기 때문에 땅에 屬속합니다. 또 “곁으로 行행해도 흐르지 않아서 天理천리를 즐기고 天命천명을 알기에 근심하지 않는다”고 한 두 句節구절은 本來본래 知지의 일입니다. 아마도 ‘흐르지 않음’은 곧 貞固정고함이니, 흐르지 않음이 根本근본이고 ‘곁으로 行행함’은 應應응응하여 變化변화하는 곳입니다. 根本근본이 없으면 應應응응하여 變化변화할 수 없고, 應用응용하여 變化변화할 수 있지만 根本근본이 없으면 흘러서 속이는 狀態상태로 들어가 變변하게 됩니다. 細分세분하면 곁으로 行행함은 知지이고 흐르지 않음은 仁인이니 實際실제로는 모두 知지의 일로 아랫 글의 “處地처지에 便安편안해서 仁인을 敦篤돈독하게 하기에 사랑할 수 있다”는 한 句節구절이 專的전적으로 仁인을 말한 것과 對備대비됩니다.
○ 知周萬物是體旁行是可與權乃推行處樂天知命是自處三節各說一理
○ 知周萬物是體, 旁行是可與權, 乃推行處, 樂天知命, 是自處. 三節各說一理.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을 두루함은 本軆본체이고, 곁으로 行행함은 함께 權道권도를 行행할 수 있음이니[주 136] 미루어 行행하는 곳이며, 天理천리를 즐기고 天命천명을 앎은 스스로 居處거처함이다. 세 句節구절은 各各각각 하나의 理致이치를 말하였다.
136) 『論語논어‧子罕자한』:子曰, 可與共學, 未可與適道, 可與適道, 未可與立, 可與立, 未可與權. |
○ 旁行而不流此小變而不失其大常然前後卻有故字又相對此一句突然易中自時有恁地處煩難曉
○ 旁行而不流, 此小變而不失其大常. 然前後卻有故字又相對, 此一句突然. 易中自時有恁地處煩難曉.
곁으로 行행해도 흐르지 않음이란 작게 變化변화를 주지만 크게 一定일정함은 잃지 않음이다. 그런데 앞뒤에 ‘故고’字자가 있어 相對상대되는데 이 한 句節구절은 뜬금없다. 『易역』가운데는 때로 이런 곳이 있는데 알기가 어렵다.
○ 問, 安土敦乎仁故能愛. 曰, 此是與上文樂天知命對說. 樂天知命是知崇, 安土敦仁是禮卑. 安是隨所居而安, 在在處處皆安, 若自家不安, 何以能愛. 敦只是篤厚去盡已私, 純是天理更无夾雜. 充足盈滿, 方有個敦厚之意, 只是仁而又仁. 敦厚於仁故能愛, 惟安土敦仁則其要自廣. 又曰, 樂天知命主知言, 是崇德事. 安土敦仁主禮言, 是廣業事. 又曰, 敦是仁體, 能愛是及物處.
○ 問, 安土敦乎仁故能愛. 曰, 此是與上文樂天知命對說. 樂天知命是知崇, 安土敦仁是禮卑. 安是隨所居而安, 在在處處皆安, 若自家不安, 何以能愛. 敦只是篤厚去盡已私, 純是天理更无夾雜. 充足盈滿, 方有個敦厚之意, 只是仁而又仁. 敦厚於仁故能愛, 惟安土敦仁則其要自廣. 又曰, 樂天知命主知言, 是崇德事. 安土敦仁主禮言, 是廣業事. 又曰, 敦是仁體, 能愛是及物處.
물었다. ““處地처지에 便安편안해서 仁인을 敦篤돈독히 하기 때문에 사랑할 수 있다”는 무슨 뜻입니까?”
答답하였다. “이는 윗글의 天理천리를 즐기고 天命천명을 안다는 것과 相對상대해서 말한 것입니다. 天理천리를 즐기도 天命천명을 앎은 ‘知慧지혜가 높음’이고 處地처지에 便安편안해서 仁인을 敦篤돈독하게 함은 ‘禮예가 낮음’입니다. ‘便安편안함’은 居處거처에 따라 便安편안하여 있는 곳마다 늘 便安편안함이니, 萬若만약 스스로 便安편안하지 못하면 어떻게 사랑할 수 있겠습니까? ‘敦篤돈독히 함’은 篤實독실하고 厚德후덕하게 하여 自己자기의 私私사사로움을 다 除去제거하여 純全순전한 天理천리로 다시는 夾雜협잡이 없음입니다. 充足충족하게 꽉 차야만 敦厚돈후한 뜻이 있게 되니, 이는 다만 仁인하고 또 仁인함입니다. 人인을 敦篤돈독히 하기 때문에 사랑할 수 있으니, 處地처지에 便安편안하여 仁인을 敦篤돈독히 함은 그 要點요점이 스스로 넓힘에 있습니다.”
또 말하였다. “天理천리를 즐기고 天命천명을 앎은 知지를 爲主위주로 말하였으니 德덕을 높이는 일이고, 處地처지에 便安편안해서 仁인을 敦篤돈독하게 함은 禮예를 爲主위주로 말하였으니 事業사업을 넓히는 일입니다.”
또 말하였다. “敦篤돈독함은 仁인의 體체이고 사랑할 수 있음은 他物타물에 影響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 安土者隨寓而安也敦乎仁者不失其天地生物之心也安土而敦乎仁則无適而非仁矣所以能愛也仁者樂山之意於此可見又曰安土者隨所寓而安若自擇安處便只知有已不知有物也此厚於仁者之事故能愛也又曰安土敦乎仁故能愛聖人說仁是恁地說此語說仁最密
○ 安土者, 隨寓而安也, 敦乎仁者, 不失其天地生物之心也. 安土而敦乎仁, 則无適而非仁矣, 所以能愛也, 仁者樂山之意, 於此可見. 又曰, 安土者, 隨所寓而安, 若自擇安處, 便只知有已, 不知有物也. 此厚於仁者之事, 故能愛也. 又曰, 安土敦乎仁故能愛, 聖人說仁, 是恁地說, 此語說仁最密.
處地처지에 便安편안함은 머무르는 곳을 따라 便安편안함이고 仁인을 敦篤돈독히 함은 天地천지가 萬物만물을 낳는 마음을 잃지 않음이다. 處地처지에 便安편안하고 仁인을 敦篤돈독히 하면 가는 곳마다 仁인이 아님이 없는 까닭에 사랑할 수 있으니 어진 者자는 山산을 좋아한다는 뜻을 여기에서 볼 수 있다.
또 말하였다. “處地처지에 便安편안함은 머무르는 곳을 따라 便安편안함이니, 萬若만약 스스로 便安편안한 곳을 擇택한다면 自己자기 있음만을 알고 다른 것이 있음을 알지 못함이다. 이것은 仁인에 敦厚돈후한 者자의 일이기 때문에 사랑할 수 있다.”
또 말하였다. “處地처지에 便安편안하여 仁인을 敦篤돈독히 하기 때문에 사랑할 수 있다”는 聖人성인이 仁인을 말씀함에 이처럼 말하시니 이 글이 仁인을 말함에 가장 精密정밀하다.”
○ 龜山楊氏曰天地之功大矣凖之者易也似之者聖人也易本无體其準於天地則如平準之準均一而无間聖涉有爲其似於天地則如形似之似惟順適乎自然
○ 龜山楊氏曰, 天地之功大矣, 凖之者易也, 似之者聖人也. 易本无體, 其準於天地, 則如平準之準, 均一而无間. 聖涉有爲, 其似於天地, 則如形似之似, 惟順適乎自然.
龜山楊氏구산양씨가 말하였다. “天地천지의 功공이 크니 基準기준으로 삼은 것은 易역이고 같게 한 것은 聖人성인이다. 易역은 本來본래 몸―體체가 없지만 天地천지를 基準기준으로 삼았다는 것은 平準평준의 準준이니 均一균일해서 틈이 없음이다. 聖人성인은 有爲유위와 干涉간섭하지만 天地천지와 같다는 것은 形似형사의 似사이니 오직 自然자연을 따라 合합함이다.”
○ 天地與聖人无二道也列而爲三則相似而已惟相似故先後天而不違也
○ 天地與聖人无二道也, 列而爲三則相似而已. 惟相似故先後天而不違也.
天地천지는 聖人성인과 더불어 두 가지 道도가 없으니 陳列진열하여 셋이 되어도 서로 같을 뿐이다. 오직 서로 같기 때문에 하늘보다 먼저 하거나 뒤에 해도 어김이 없다.
○ 雙湖胡氏曰與天地相似故不違此統論聖人之體段知周萬物道濟天下故不過此指知仁與天地相似之實處不過對不違而言惟其相似則配合无間所以不違惟其周萬物濟天下則廣大无外所以不過旁行而不流樂天知命故不憂卽周萬物之知而似乎天也安土敦乎仁故能愛卽道濟天下之仁而似乎地也不憂對能愛而言惟知與天相似則極其高明矣隨其所行泛應曲當此動而樂天之事也何憂之有惟仁與地相似則極其博厚矣隨其所處厚重不遷此靜而安土之事也何所不愛之有此聖人仁知盡性之學而上下與天地同流者蓋如此
○ 雙湖胡氏曰, 與天地相似故不違, 此統論聖人之體段. 知周萬物道濟天下故不過, 此指知仁與天地相似之實處. 不過對不違而言. 惟其相似則配合无間, 所以不違. 惟其周萬物濟天下則廣大无外, 所以不過. 旁行而不流樂天知命故不憂, 卽周萬物之知而似乎天也. 安土敦乎仁故能愛, 卽道濟天下之仁而似乎地也. 不憂對能愛而言. 惟知與天相似, 則極其高明矣, 隨其所行, 泛應曲當. 此動而樂天之事也, 何憂之有. 惟仁與地相似, 則極其博厚矣, 隨其所處, 厚重不遷. 此靜而安土之事也, 何所不愛之有. 此聖人仁知盡性之學, 而上下與天地同流者, 蓋如此.
雙湖胡氏쌍호호씨가 말하였다. “天地천지와 더불어 같으므로 어기지 않음”은 聖人성인의 體段체단을 통틀어 論논한 것이다.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을 두루하고 道도가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하기 때문에 지나치지 않음”은 知지와 仁인이 天地천지와 서로 같은 實際실제를 가리켰다. ‘지나치지 않음’은 ‘어기지 않음’과 對備대비하여 말하였다. 오로지 같으면 配合배합하여 틈이 없기 때문에 어기지 않는다. 오로지 萬物만물을 두루해서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하면 廣大광대하여 바깥이 없기 때문에 지나치지 않는다. “곁으로 行행해도 흐르지 않아 天理천리를 즐기고 天命천명을 알기에 근심하지 않는다”는 萬物만물을 두루하는 知지가 하늘과 같음이다. “處地처지에 便安편안해서 仁인을 敦篤돈독히 하기 때문에 사랑할 줄 안다”는 道도로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하는 仁인이 땅과 같음이다. ‘근심하지 않음’은 ‘사랑할 수 있음’과 대비하여 말하였다. 오로지 知지는 하늘과 서로 같아서 그 높고 밝음을 至極지극히 하여 行행하는 것마다 넓게 應응하고 曲盡곡진히 對대한다. 이것은 움직임에 天理천리를 즐기는 일이니 어찌 근심이 있겠는가? 오로지 仁인은 땅과 서로 같으니 그 넓고 두터움을 至極지극히 하여 處처하는 곳마다 厚德후덕하고 愼重신중하여 옮기지 않는다. 이것은 고요함에 處地처지를 便安편안히 하는 일이니 어찌 사랑하지 않음이 있겠는가? 以上이상은 聖人성인의 仁知인지와 盡性진성[性品성품을 極盡극진히 하는]의 學학으로 “위아래로 天地천지와 더불어 함께 흐른다”는 말이 이와 같다.”
○ 雲峯胡氏曰上文言易與天地準此言聖人與天地相似似卽準也聖人知似天仁似地有周物之知而實諸濟物之仁則其知不過有行權之知而本諸守正之仁則其知不流至於樂天知命而知之迹已泯安土敦仁而仁之心益著此其知仁所以與天地相似而不違盡性之事也
○ 雲峯胡氏曰, 上文言易與天地準, 此言聖人與天地相似, 似卽準也. 聖人知似天仁似地, 有周物之知而實諸濟物之仁, 則其知不過. 有行權之知而本諸守正之仁, 則其知不流. 至於樂天知命而知之迹已泯, 安土敦仁而仁之心益著. 此其知仁所以與天地相似而不違, 盡性之事也.
雲峯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윗 글에서 말한 “易역은 天地천지와 더불어 같다”는 聖人성인이 天地천지와 더불어 같다는 말이니 ‘似사’는 곧 ‘準준’이다. 聖人성인의 知지는 하늘과 같고 仁인은 땅과 같으니 萬物만물을 두루하는 似지가 있어 萬物만물을 救濟구제하는 仁인으로 實現실현하면 그 知지는 지나치지 않는다. 權道권도를 行행하는 知지가 있어 바름을 지키는 仁인으로 根本근본을 삼으면 그 知지는 흐르지 않는다. 天理천리를 즐기고 天命천명을 알면 知慧지혜의 자취는 이미 없고, 處地처지에 便安편안하고 仁인을 敦篤돈독히 하면 仁心인심은 더욱 드러난다. 이는 知지와 仁인으로 天地천지와 더불어 서로 같아 어기지 않음이니 性品성품을 極盡극진히 하는 일이다.”
韓國大全
【박치화(朴致和) 「설계수록(雪溪隨錄)」】 |
○ 與天地相似一節, 承上文作易之意, 言聖人用易彌綸之道. |
“天地천지와 더불어 서로 같다”는 한 句節구절은 易역을 지은 뜻을 말한 위의 글을 이어서 聖人성인이 易역을 쓰는 彌綸미륜의 道도를 말하였다. |
知周[주 137]萬物, 敦仁能愛, 皆言聖人事, 而聖人之事, 則易之事也. |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에 두루하고 仁인을 敦篤돈독히 하여 사랑함’은 모두 聖人성인의 일을 말한 것인데, 聖人성인의 일은 易역의 일이다. |
蓋易無爲, 而聖人有爲, 故易必待聖人, 而彌綸天地也. |
易역은 함이 없고 聖人성인은 함이 있기 때문에 易역은 반드시 聖人성인을 기다려야 天地천지를 彌綸미륜할 수 있다. |
137) 周주:경학자료집성DB와 影印本영인본에 모두 ‘用용’으로 되어 있으나, 文脈문맥을 살펴 ‘周주’로 바로 잡았다. |
○ 與天地相似, 言易也, 又聖人與天地相似, 故能軆易而不違也. |
“天地천지와 더불어 서로 같다”는 易역을 말하는데, 또 聖人성인도 天地천지와 더불어 서로 같기 때문에 易역을 體得체득하여 어긋나지 않을 수 있다. |
○ 乾知大始, 故知周萬物者, 天也, 坤作成物, 故道濟天下者, 地也. |
乾건은 큰 始作시작을 主管주관하므로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에 두루한다’는 것은 하늘이고, 坤곤은 物件물건을 이루므로 ‘道도가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한다’는 것은 땅이다. |
○ 知周萬物, 而道濟天下, 則非過知也, 旁行不流, 而樂天知命, 則非過行也, |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에 두루하며 道도가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하니 知지에 지나친 것이 아니고, 四方사방으로 行행하되 흐르지 않으며 天理천리를 즐거워하고 天命천명을 아니 行행에 지나친 것이 아니고, |
安土敦乎仁, 則非過分也. 安分而知行不過者, 惟聖人也, 不過, 無過差也. |
자리에 便安편안하여 仁인을 敦篤돈독히 하니 分數분수에 지나친 것이 아니다. 分數분수를 便安편안히 여기고 知지와 行행에 지나치지 않는 者자는 聖人성인일 뿐이다. ‘지나치지 않음’은 지나쳐 어긋남이 없음이다. |
○ 樂天知命, 故旁行而不流, 湯武之征伐, 是也. |
天理천리를 즐거워하고 天命천명을 알기 때문에 四方사방으로 行행하되 흐르지 않는데, 湯王탕왕과 武王무왕의 征伐정벌이 이것이다. |
【이익(李瀷) 『역경질서(易經疾書)』】 |
相似不違, 乃準字之註脚, 知周萬物, 揔上三知而言, |
“서로 같아 어기지 않는다”는 ‘準준’字자의 脚註각주이며,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에 두루한다”는 위에 나오는 세-番번의 ‘안다[知지]’를 總括총괄(揔총)하여 말한 것이니, |
是不獨知其理, 亦能盡濟天下之萬物. 所謂財成輔相, 是也. |
다만 그 理致이치만을 알 뿐만이 아니라, 또한 天下천하의 萬物만물을 끝까지 救濟구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른바 ‘마름질하여 이루고 輔佐보좌하여 도움’[주 138]이 이것이다. |
道則以人言, 人事之於天地, 或不能沕合, 則患在於過差, 故曰不過. |
‘道도’는 사람으로 말한 것이니, 사람의 일이 天地천지에 있어서 或혹 아득하게 合致합치할 수 없다면 근심이 지나쳐서 어긋남에 있으므로 “지나치지 않는다”고 하였다. |
旁行以下, 承道濟而言. 天地之化, 始終一定, 至於人道, 宜有旁推而行, |
‘四方사방으로 行행하되’부터는 ‘道도가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함’을 이어서 말한 것이다.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는 처음과 끝이 一定일정하지만 人道인도에 이르면 마땅히 곁으로 미루어 감이 있으니, |
不過只是合同而已, 不流則無出入汎濫也. 樂以心言, 安以身言, 土者地之質. |
‘지나치지 않음’은 合합쳐서 같게 하는 것일 뿐이며, ‘흐르지 않음’은 出入출입함에 넘침이 없는 것이다. 즐거워함은 마음으로 말한 것이고, 便安편안함은 몸으로 말한 것이며, 자리는 땅의 바탕이다. |
人物, 非天不生, 非地不養. 天道周流, 究其所以生, 則心樂乎天也, |
사람과 事物사물은 하늘이 아니면 태어나지 못하고, 땅이 아니면 자라나지 못한다. 天道천도가 두루 流行유행함에 그 태어나는 까닭을 窮究궁구한다면 마음이 天理천리를 즐거워하고, |
地道常静, 養各異方, 則身安乎土也, 土者, 所居之區也. |
地道지도가 恒常항상 고요한데 기름에 各各각각 方所방소를 달리하면 몸이 자리를 便安편안히 하니, ‘자리[土토]’는 居處거처하는 區域구역이다. |
天理好生, 旣知其命, 則貧賤憂慽, 随遇而不憂, |
天理천리는 삶을 좋아하는데 이미 天命천명을 안다면 貧賤빈천과 근심(憂慽우척)은 만나더라도 근심하지 않고, |
土形載物, 載物莫大於仁, 故旣敦乎仁, 則推己而能愛也. |
땅의 形體형체는 事物사물을 싣고 있는데 事物사물을 실음은 仁인보다 큰 것이 없으므로 이미 仁인을 敦篤돈독히 하였다면 自己자기를 미루어 사랑할 수 있을 것이다. |
138) 『周易주역‧泰卦태괘(䷊)』:象曰, 天地交, 泰, 后以, 財成天地之道, 輔相天地之宜, 以左右民. |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
與天 [至] 能愛. 天地천지와 더불어 … 사랑할 수 있다. |
龜山楊氏曰, 知周乎萬物, 而道不足以濟天下, 則過矣, |
龜山楊氏구산양씨가 말하였다.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에 두루해도 道도가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하기에 不足부족하다면 지나친 것이며, |
道不足以濟天下, 則知亦有不周者, 若佛老之徒, 則過之者也. |
道도가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하기에 不足부족하다면 知慧지혜도 두루하지 못하는 것이 있을 것이니, 老佛노불과 같은 무리라면 이를 지나친 者자들이다. |
從心之所爲, 而各當於道, 則不流矣. 莫之爲而爲者天也, 莫之致而致者命也, |
마음이 하는 바를 따라 各各각각 道도에 마땅하다면 흐르지 않을 것이다. ‘함이 없이도 하는 것이 하늘이고, 이름이 없이도 이르는 것이 天命천명’인 것이니,[주 139] |
苟能樂之安之, 則事變之來, 猶風雨寒暑之序, 夫何憂之有. |
참으로 즐거워하고 便安편안해 한다면 일의 變化변화가 到來도래함이 바람과 비나 더위와 추위의 次例차례와 같을 것이니, 어찌 근심함이 있겠는가? |
富貴貧賤夷狄患難, 隨所遇而安之, 則旡惡於物矣, |
富貴부귀와 貧賤빈천, 夷狄이적과 患難환난을 만남에 따라서 便安편안히 한다면 事物사물을 미워함이 없을 것이며, |
又能敦乎仁, 則天下旡一物之非我也, 尙何不憂〈疑愛〉之有. |
다시 仁인을 敦篤돈독히 할 수 있다면 天下천하의 어떤 事物사물도 내가 아닌 것이 없을 것이니, 어찌 근심하지〈‘근심하지[憂우]’는 ‘사랑하지[愛애]’로 疑心의심됨〉 않음이 있겠는가?” |
139) 『孟子맹자‧萬章만장』:莫之爲而爲者, 天也, 莫之致而至者, 命也. |
【김근행(金謹行) 「주역차의(周易箚疑)‧역학계몽차의(易學啓蒙箚疑)‧독역범례(讀易凡例)‧주역의목(周易疑目)」】 |
第四章綸字, 註訓以選擇條理, 有條理則燦然不紊, 故有可選而可擇者也. |
第四章제4장의 ‘綸륜’字자를 註釋주석에서 ‘가닥을 選擇선택하는 것’으로 解釋해석하였는데, 가닥이 있으면 燦爛찬란하게 紊亂문란하지 않으므로 가려서 擇택할 수 있는 것이다. |
安土敦仁, 仁有踐履不易之義, 故曰安土. |
‘자리에 便安편안하고 仁인을 敦篤돈독히 함’은 仁인에는 밟아서 바꾸지 않는다는 뜻이 있으므로 “자리에 便安편안하다”고 하였다. |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
與天地準者易也, 與天地相似者聖人也, 故能不違. |
天地천지를 準則준칙으로 삼는 것은 易역이고, 天地천지와 서로 같은 것은 聖人성인이므로 어기지 않을 수 있다. |
周萬物者知也, 濟天下者仁也, 故能不過而不流. |
萬物만물에 두루하는 것은 知慧지혜이고,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하는 것은 어짊이므로 지나치지 않고 흘러가지 않을 수 있다. |
樂天知命, 所以知之行也, 安土敦仁, 所以仁之守也. |
‘天理천리를 즐거워하고 天命천명을 앎’은 知慧지혜가 行행하는 것이고, ‘자리에 便安편안하여 仁인을 敦篤돈독히 함’은 어짊이 지키는 것이다. |
【심취제(沈就濟) 『독역의의(讀易疑義)』】 |
第四章易與天地相凖, 夫此易字易之書也. 伏羲則體天地而作易也, 文王則因羲易而繫辭也. |
第四章제4장의 “易역은 天地천지와 서로 같다”에서의 ‘易역’은 『易역』이라는 册책이다. 伏羲복희는 天地천지를 體得체득하여 『易역』을 지었고, 文王문왕은 伏羲복희의 『易역』에 依據의거하여 말을 달았다. |
伏羲畫之, 而文王周公繫之, 則易之書於是乎成矣. |
伏羲복희가 긋고 文王문왕과 周公주공이 달았으니, 『易역』이라는 册책은 이에 이루어졌다. |
後之聖人, 以羲文之易書, 凖之于天地, 則易之爲書也, 與天地相凖也. |
뒤의 聖人성인이 伏羲복희와 文王문왕의 『易역』이 天地천지를 準則준칙으로 한다고 했으니, 『易역』이라는 册책이 天地천지와 서로 같아졌다. |
未畫之前, 自天地而觀之, 則易爲未[주 140]然之故也, 首章是也. |
畫획을 긋기 以前이전에 天地천지에 依據의거하여 살폈다면 易역은 아직 그렇지 않은 緣故연고가 되니, 첫 章장이 이것이다. |
易書旣成之後, 自易書而觀之, 則天地爲已然之故也, 此章是也. |
『易역』이 이미 이루어진 뒤에 『易역』에 依據의거하여 살폈다면 天地천지는 이미 그러한 緣故연고가 되니, 이 章장이 이것이다. |
前後作易學易, 通乎己未之故也. |
앞뒤의 易역을 짓고 易역을 배움이 이미 그러함과 아직 그렇지 않음의 緣故연고로 通통한다. |
幽明者, 陰陽也, 情狀者, 剛柔也, 鬼神之情狀, 卽剛柔也. |
幽明유명은 陰陽음양이며, 情狀정상은 剛柔강유이니, 鬼神귀신의 情狀정상은 곧 剛柔강유이다. |
與天地相似之似字, 比觀於上文之凖字, 則凖字如人之有形也, |
“天地천지와 더불어 서로 같다”에서 ‘같다’는 말을 위의 “準則준칙으로 삼았다”는 말과 比較비교해 보면, ‘準則준칙으로 삼음’은 사람에게 形體형체가 있음이 같은 것이고, |
似字如人之有影也, 凖似兩字, 形影之分也. |
‘같다’는 사람에게 그림자가 있음이 같은 것이니, ‘準則준칙으로 삼음’과 ‘같음’은 形體형체와 그림자로 區分구분된다. |
凖字之上, 無相字, 則易與天地同一體也. 似字之上, 加相字者, |
‘準則준칙으로 삼았다’의 앞에는 ‘서로[相상]’라는 말이 없으니, 易역과 天地천지는 같은 몸―體체인 것이다. ‘같다’의 앞에는 ‘서로’라는 말을 더했으니, |
學易之君子, 以幽明死[주 141]生鬼神之理推之, 則易果與天地相似也. |
易역을 배우는 君子군자가 幽明유명‧死生사생‧鬼神귀신의 理致이치로 類推유추하면, 易역은 果然과연 天地천지와 서로 같다는 것이다. |
140) 未미:경학자료집성DB에는 ‘末말’로 되어 있으나, 影印本영인본과 文脈문맥을 살펴서 ‘未미’로 바로잡았다. |
141) 死사:경학자료집성DB에는 ‘宛완’으로 되어 있으나, 影印本영인본과 文脈문맥을 살펴서 ‘死사’로 바로잡았다. |
【윤행임(尹行恁) 『신호수필(薪湖隨筆)‧易역』】 |
相似故不違者, 承上文凖字而言也. 知周乎萬物, 明德也, 道濟天下, 新民也, 安土, 止至善也. |
“서로 같으므로 어기지 않는다”는 윗글의 ‘準則준칙으로 삼는다’를 이어서 말한 것이다.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에 두루함’은 明德명덕이고, ‘道도가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함’은 新民신민이고, ‘자리에 便安편안함’은 至善지선에 그침이다. |
天地之大德曰生, 生生之理曰仁, 仁無不體乎物. 旁行而不流, 樂天而知命, 皆仁也. |
天地천지의 큰 德덕을 ‘生생’이라 하고, 낳고 낳는 理致이치를 ‘仁인’이라 하니, 仁인은 事物사물을 몸으로 하지 않음이 없다. “四方사방으로 흐르되 흐르지 아니하여 天理천리를 즐거워하고 天命천명을 안다”는 모두 仁인이다. |
【심대윤(沈大允) 『주역상의점법(周易象義占法)』】 |
朱子曰, 旁行, 行權之知也, 不流, 守正之仁也. |
朱子주자는 “四方사방으로 行행함은 權道권도를 行행하는 知慧지혜이고, 흐르지 않음은 바름을 지키는 어짊이다”라고 하였다. |
命者, 才與位與時也, 樂道而知命, 則夫何憂何惑. |
‘天命천명’은 才質재질과 자리와 時期시기이니, 天道천도를 즐거워하고 天命천명을 안다면, 무엇을 근심하고 무엇에 疑惑의혹되겠는가? |
安土, 安分也, 艮之敦艮, 是也. 愛者, 人物親附也. |
‘자리에 便安편안함’은 分數분수를 便安편안히 함이니, 艮卦간괘(䷳)에서 ‘敦篤돈독하게 그침’[주 142]이 이것이다. ‘사랑’은 사람과 事物사물이 親愛친애하여 따르는 것이다. |
142) 『周易주역‧艮卦간괘(䷳)』:上九, 敦艮,吉. |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
知周萬物, 言聰明睿知, 足以有臨也, 不過, 猶言無以過也. |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에 두루함’은 聰明睿知총명예지하여 두루 臨임할 수 있음을 말하고, ‘지나치지 않음’은 지나칠 수 없다고 말함과 같다. |
旁行者, 行之溥廣也, 不流, 言不橫流也. |
‘四方사방으로 行행함’은 널리 行행함이고, ‘흐르지 않음’은 橫횡으로 흐르지 않음을 말한다. |
樂天理, 則內重而外輕也, 知天命, 則修身以俟時也. |
‘天理천리를 즐거워함’은 안을 무겁게 하고 밖을 가볍게 함이며, ‘天命천명을 앎’은 몸을 닦아서 때를 기다림이다. |
不憂者, 不改其樂也. 蓋聖人與天地相似者也. 天地至大旡外, 卽不過者, |
‘근심하지 않음’은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않음이다. 大體대체로 聖人성인은 天地천지와 서로 같다. 天地천지가 至極지극히 크고 밖이 없음이 ‘지나치지 않음’인데, |
而聖人知周萬物, 道濟天下, 故與天地同其不過也. |
聖人성인은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에 두루하고 道도가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하기 때문에 天地천지와 더불어 그 ‘지나치지 않음’을 함께 한다. |
天地旡心而成化, 皷萬物而不與聖人同憂, 卽不憂者, |
天地천지가 旡心무심하게 造化조화를 이루고, 萬物만물을 鼓舞고무(皷북 고)시키지만 聖人성인과 더불어 근심을 함께하지 않음이 ‘근심하지 않음’인데, |
而聖人旁行不流, 樂天知命, 故與天地同其不憂也. |
聖人성인은 四方사방으로 行행해도 흐르지 않으며 天理천리를 즐거워하고 天命천명을 알기 때문에 天地천지와 더불어 그 ‘근심하지 않음’을 함께 한다. |
天地以生物爲心, 卽能愛者, 而聖人隨處而安乎土, |
天地천지가 事物사물을 낳는 것으로 마음을 삼음이 ‘사랑할 수 있음’인데, 聖人성인은 곳에 따라서 자리에 便安편안히 하고, |
隨處而篤乎仁, 無非立人達人之事, 故與天地同其能愛也. |
곳에 따라서 仁인을 敦篤돈독히 하여 사람을 세우고 사람을 通達통달하게 하는 일이 아님이 없기 때문에 天地천지와 더불어 그 ‘사랑할 수 있음’을 함께 한다. |
是三者, 皆與天地相似者也, 此言聖人之盡性也. |
이 세 가지는 모두 天地천지와 더불어 서로 같은 것이니, 이는 聖人성인의 盡性진성을 말한 것이다. |
【채종식(蔡鍾植) 「주역전의동귀해(周易傳義同歸解)」】 |
繫辭與天地相似, 程子曰, 易之義與天地之道相似, 朱子曰, 聖人之道與天地相似. |
「繫辭傳계사전」의 “天地천지와 서로 같다”에 對대해 程子정자는 “易역의 뜻은 天地천지의 道도와 서로 같다”고 하고, 朱子주자는 “聖人성인의 道도는 天地천지와 서로 같다”고 하였다. |
蓋易者卽有書之天地, 而天地卽旡書之易也, 聖人卽有心之易, 而易卽無心之聖人也. |
大體대체로 易역은 册책에 있는 天地천지이고, 天地천지는 册책에 없는 易역이며, 聖人성인은 마음이 있는 易역이고, 易역은 마음이 없는 聖人성인이다. |
易之書, 只是印出來天地之道, 而聖人之心, 因易之書, 亦窮天地之理, 盡天地之性, |
『易역』이라는 册책은 다만 天地천지의 道도를 새겨 내었을 뿐이고, 聖人성인의 마음은 『易역』이라는 册책에 依據의거하여 天地천지의 理致이치를 窮究궁구하고 天地천지의 性品성품을 다하였으니, |
則卦爻之辭, 所謂竹易也, 聖人之心, 所謂人易也, 天地之道, 所謂天易也. 三易只是一理而已. |
卦辭괘사와 爻辭효사는 이른바 竹簡죽간의 易역이고, 聖人성인의 마음은 이른바 사람의 易역이고, 天地천지의 道도는 이른바 하늘의 易역이다. 세 가지의 易역은 但只단지 하나의 理致이치일 뿐이다. |
* 出處: daumNaverGoogle바이두한국주역대전(韓國周易大全)DB한국경학자료시스템 등 |
** 주역대전 > 십익 > 계사상전:제4장 총 5건의 硏究연구성과가 있습니다. http://waks.aks.ac.kr/rsh/dir/rdirItem.aspx?rptID=AKS-2012-EAZ-2101_BOOK&rshID=AKS-2012-EAZ-2101&dirRsh=주역대전$십익$계사상전:제4장:편명$繫辭上傳:제4장(第四章): |
3.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4장(第四章)_3절 http://waks.aks.ac.kr/rsh/dir/rdirItem.aspx?rptID=AKS-2012-EAZ-2101_BOOK&rshID=AKS-2012-EAZ-2101&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4장%3a편명%24繫辭上傳:제4장(第四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69_003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4장(第四章)_4절
p.254 【經文】 =====
範圍天地之化而不過曲成萬物而不遺通乎晝夜之道而知故神无方而易无體
範圍天地之化而不過, 曲成萬物而不遺, 通乎晝夜之道而知, 故, 神无方而易无體.
範圍天地之化而不過하며 曲成萬物而不遺하며 通乎晝夜之道而知라 故로 神无方而易无體하니라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를 範圍범위하여 지나치지 않으며, 萬物만물을 曲盡곡진히 이루어 빠뜨리지 않으며, 晝夜주야의 道도를 兼겸하여 안다. 그러므로 神신은 一定일정한 方所방소가 없고 易역은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다.
* 曲成곡성: 1. 하나 하나 精誠정성들여 만들다. 2. 全心全力전심전력으로 成事성사시키다. 억지로[어떻게 해서라도] 成事성사시키다. |
中國大全
p.254 【小註】 =====
程子曰範圍天地之化而不過者模範出一天地爾非在外也如此曲成萬物豈有遺哉
程子曰, 範圍天地之化而不過者, 模範出一天地爾, 非在外也. 如此曲成萬物, 豈有遺哉.
程子정자가 말하였다.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를 範圍범위하여 지나침이 없다는 것은 하나의 天地천지를 模倣모방해냈다는 것일 뿐 밖에 있는 것이 아니다. 이처럼 萬物만물을 曲盡곡진하게 이룬다면 어떻게 남김이 있겠는가?”
○ 範圍天地之化天本廓然无窮但人以目力所及見其寒暑之序日月之行立此規模以窺測他天地之化不是天地之化其體有如城郭之類都盛其氣假使言日升降於三萬里不可道三萬里外更无物又如言天地升降於八萬里中不可道八萬里外天地盡學者要體天地之化如此言之甚與天地不相似其卒必有窒礙
○ 範圍天地之化, 天本廓然无窮, 但人以目力所及, 見其寒暑之序, 日月之行, 立此規模, 以窺測他天地之化. 不是天地之化, 其體有如城郭之類, 都盛其氣. 假使, 言日升降於三萬里, 不可道三萬里外更无物, 又如言天地升降於八萬里中, 不可道八萬里外天地盡, 學者要體天地之化. 如此言之, 甚與天地不相似, 其卒必有窒礙.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를 範圍범위했다는 것은, 하늘은 本來본래 넓어서 끝이 없지만 但只단지 사람이 視力시력이 미치는 範圍범위에서 季節계절[寒暑한서]의 秩序질서와 日月일월의 運行운행을 보아 이런 模範모범을 만들어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를 推測추측할 수 있는 것이다.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는 그 몸―體체가 城廓성곽의 種類종류처럼 있어서 그 氣運기운의 모두 담아놓은 것이 아니다. 例예를 들어 해가 三萬里3만리를 오르내린다고 말한다고 해서 三萬里3만리 밖에는 아무 物件물건도 없다고 해서는 안 되고, 天地천지가 八萬里8만리를 오르내린다고 말한다고 해서 八萬里8만리 밖에는 天地천지가 없다고 해서는 안 되니 배우는 者자가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를 體得체득해야 한다. 이와 같이 말하면 甚至於심지어 天地천지와 더불어 같지 않으니 마침내 막힘이 있게 된다.
○ 通乎晝夜之道而知 晝夜死生之道也
○ 通乎晝夜之道而知, 晝夜死生之道也.
晝夜주야의 道도를 兼겸해서 아니 晝夜주야는 死生사생의 道도이다.
○ 晝夜死生之道知生之道則知死之道盡事人之道則盡事鬼之道死生人鬼一而二二而一者也
○ 晝夜死生之道. 知生之道則知死之道, 盡事人之道則盡事鬼之道, 死生人鬼, 一而二二而一者也.
晝夜주야는 死生사생의 道도이다. 낳는 道理도리를 알면 죽은 道理도리를 알고 사람 섬기는 道理도리를 알면 鬼神귀신 섬기는 道理도리를 아니, 死生사생과 人鬼인귀는 하나이면서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이다.
○ 冬寒夏暑陰陽也所以運動變化者神也神无方故易无體
○ 冬寒夏暑陰陽也. 所以運動變化者神也, 神无方故易无體.
겨울에 춥고 여름에 더움이 陰陽음양이다. 運動운동과 變化변화를 하게 하는 것이 神신이니 神신은 方所방소가 없기 때문에 易역도 形體형체가 없다.
p.255 【本義】 =====
此聖人至命之事也範如鑄金之有模範圍匡郭也天地之化无窮而聖人爲之範圍不使過於中道所謂裁成者也通猶兼也晝夜卽幽明生死鬼神之謂如此然後可見至神之妙无有方所易之變化无有形體也
此, 聖人至命之事也. 範, 如鑄金之有模範, 圍, 匡郭也. 天地之化无窮, 而聖人爲之範圍, 不使過於中道, 所謂裁成者也. 通, 猶兼也, 晝夜, 卽幽明生死鬼神之謂. 如此然後, 可見至神之妙无有方所, 易之變化无有形體也.
이는 聖人성인이 天命천명에 이르는 일이다. ‘範범’은 金금을 鑄造주조할 때에 模範모범[原型원형]이 있는 것과 같고, ‘圍위’는 匡郭광곽[틀]이다. 天地천지의 造化조화가 无窮무궁한데 聖人성인이 이것을 範圍범위하여 中道중도에 지나치지 않게 하니, 이른바 裁成재성한다는 것이다. ‘通통’은 兼겸함과 같고, 晝夜주야는 곧 幽明유명과 生死생사와 鬼神귀신을 이른 것이다. 이와 같이 한 뒤에야 至極지극한 神신의 妙묘함이 一定일정한 方所방소가 없고, 易역의 變化변화가 形體형체가 없음을 볼 수 있는 것이다.
p.255 【小註】 =====
朱子曰天地之化滔滔无窮如一爐金汁鎔化不息聖人則爲之鑄㵼成器使入模範匡郭不使過於中道也曲成萬物而不遺此又就事物之分量形質隨其大小闊狹長短方圓无不各成就此物之理无有遺闕範圍天地是極其大而言曲成萬物是極其小而言範圍如大德敦化曲成如小德川流又曰範圍天地之化範是鑄金作範圍是圍裹如天地之化都没個遮欄聖人便將天地之道一如用範來範成個物包裹了試擧一端如一歲分四時節候之類以此做個塗轍更无過差此特其一耳
朱子曰, 天地之化滔滔无窮, 如一爐金汁, 鎔化不息. 聖人則爲之鑄㵼成器, 使入模範匡郭, 不使過於中道也. 曲成萬物而不遺, 此又就事物之分量形質, 隨其大小闊狹, 長短方圓无不各成就此物之理, 无有遺闕. 範圍天地是極其大而言, 曲成萬物是極其小而言. 範圍如大德敦化, 曲成如小德川流. 又曰, 範圍天地之化, 範是鑄金作範, 圍是圍裹. 如天地之化都没個遮欄. 聖人便將天地之道, 一如用範來範成個物, 包裹了. 試擧一端, 如一歲分四時節候之類, 以此做個塗轍, 更无過差, 此特其一耳.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는 滔滔도도해서 끝이 없으니 마치 한 鎔鑛爐용광로에 金屬금속의 液體액체가 녹아내리는 것이 끝이 없음과 같다. 聖人성인이 鑄造주조하고 模寫모사(㵼쏟을 사)하여 그릇을 만들어 模範모범과 틀에 넣게 하여 中道중도를 지나치지 않게 하였다. “萬物만물을 曲盡곡진히 이루어 빠뜨리지 않음”은 事物사물의 分量분량과 形質형질에 나아가 그 크고 작거나 넓고 좁음에 따라 길고 長短장단과 方圓방원이 各其각기 그 事物사물의 道理도리를 이루어주지 않음이 없어 남기거나 빠뜨림이 없다는 것이다. ‘天地천지를 範圍범위함’은 至極지극히 크게 말한 것이고 ‘萬物만물을 曲盡곡진히 이룸’은 至極지극히 작게 말한 것이다. ‘範圍범위’는 큰 德덕의 두터운 造化조화와 같고, ‘曲成곡성’은 작은 德덕이 내처럼 흐름과 같다.”
또 말하였다.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를 範圍범위함”에서 範범은 쇠를 鑄造주조함에 模型모형을 만드는 것이고 圍위는 둘러싸는 것이다.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는 모두 가림막이 없다. 聖人성인이 天地천지의 道도를 가지고 模型모형을 使用사용하여 模型모형으로 物件물건을 이루고 둘러 쌓았다. 例예로 한 가지 端緖단서를 들자면, 1年을 4時와 節候절후의 種類종류로 區分구분하여 이로써 軌跡궤적을 만들면 다시는 지나치거나 어긋남이 없는 것과 같으니, 이는 한 가지 例예일 뿐이다.”
○ 問範圍天地之化而不過如天之生物至秋而成聖人則爲之歛藏人之生也欲動情勝聖人則爲之裁化防範此皆是範圍而使之不過之事否曰範圍之事闊大此亦其一事也今且就身上看如何或曰如視聽言動皆當存養使不過差此便是否曰事事物物无非天地之化皆當有以範圍之就喜怒哀樂而言喜其所當喜怒其所當怒哀其所當哀樂其所當樂皆範圍也又曰能範圍之而不過曲成之而不遺方始見得這神无方易无體若範圍有不盡曲成有所遺神便有方易便有體矣
○ 問, 範圍天地之化而不過, 如天之生物至秋而成, 聖人則爲之歛藏, 人之生也欲動情勝, 聖人則爲之裁化防範, 此皆是範圍而使之不過之事否. 曰, 範圍之事闊大, 此亦其一事也. 今且就身上看如何, 或曰, 如視聽言動, 皆當存養, 使不過差, 此便是否. 曰, 事事物物, 无非天地之化, 皆當有以範圍之. 就喜怒哀樂而言, 喜其所當喜, 怒其所當怒, 哀其所當哀, 樂其所當樂, 皆範圍也. 又曰, 能範圍之而不過, 曲成之而不遺, 方始見得這神无方易无體. 若範圍有不盡, 曲成有所遺, 神便有方易便有體矣.
물었다.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를 範圍범위하여 지나치지 않음”은 하늘이 萬物만물을 낳아 가을에 이르러 이룸에 聖人성인이 本본받아 거두어 감춤과 같고, 사람이 나옴에 欲望욕망이 움직이고 情慾정욕이 이김에 聖人성인이 裁斷재단하고 防備방비함과 같으니, 이런 것들이 모두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를 範圍범위하여 지나치지 않게 하는 일입니까?”
答답하였다. “範圍범위의 일은 넓고 크니 이것은 또한 그 中에 한 가지일 뿐입니다. 이제 于先우선 몸에 나아가 어떠한지 보아야 합니다. 어떤 이가 물었다. “例예컨대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임에 모두 保存보존하여 길러서 지나치거나 어긋남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 바로 이것입니까?”
答답하였다. “事物사물마다 天地천지의 造化조화가 아님이 없으니 모두 範圍범위할 수 있습니다. 喜怒哀樂희노애락으로 말하면 기쁠 때 기뻐하고, 성낼 때 성내고 슬플 때 슬퍼하고 즐거울 때 즐거워함이 모두 範圍범위하는 것입니다.”
또 말하였다. “範圍범위하여 지나치지 않고 曲盡곡진히 이루어 빠뜨리지 않아야만 ‘神신은 方所방소가 없고 易역은 形體형체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萬若만약 範圍범위에 極盡극진하지 못하고 曲成곡성에 남김이 있으면 神신은 곧 方所방소가 있게 되고 易역은 곧 形體형체가 있게 됩니다.”
○ 通乎晝夜之道而知旣曰通又曰知似不可曉通是兼通乎晝夜之道若通晝不通夜通生不通死便是不知便是神有方易有體了又曰兼通乎晝夜之道是知其所以然
○ 通乎晝夜之道而知, 旣曰通又曰知, 似不可曉. 通是兼, 通乎晝夜之道. 若通晝不通夜, 通生不通死, 便是不知, 便是神有方易有體了. 又曰, 兼通乎晝夜之道, 是知其所以然.
“晝夜주야의 道도를 兼겸해서 안다”에서 이미 通통한다 해놓고 또 안다고 했으니 비슷해서 알기 어렵다. 通통은 兼겸함으로 晝夜주야의 道도를 兼겸함이다. 萬若만약 낮만 通통하고 밤을 通통하지 못하거나 生생만 通통하고 死사를 通통하지 못하면 이는 곧 알지 못함이고, 神신은 方所방소가 있고 易역은 形體형체가 있음이다.”
또 말하였다. “晝夜주야의 道도를 兼겸하여 通통해야 그러한 까닭을 안다.”
○ 神无方而易无體神便是在陰底又忽然在陽在陽底又怱然在陰易便是或爲陽或爲陰如爲春又爲夏爲秋又爲冬交錯代換而不可以形體拘也又曰无體與那其體則謂之易不同各自是一個道理其體則謂之易這只說個陰陽動靜闔闢剛柔消長不著這七八個字說不了若喚做易只是一字便了又曰此體是個骨子
○ 神无方而易无體, 神便是在陰底, 又忽然在陽, 在陽底, 又怱然在陰. 易便是或爲陽或爲陰, 如爲春又爲夏爲秋又爲冬, 交錯代換而不可以形體拘也. 又曰, 无體與那其體則謂之易不同, 各自是一個道理. 其體則謂之易, 這只說個陰陽動靜闔闢剛柔消長, 不著這七八個字, 說不了. 若喚做易, 只是一字便了. 又曰, 此體是個骨子.
“神신은 方所방소가 없고 易역은 形體형체가 없다”에서 ‘神신’은 陰음에 있었는데 또 忽然홀연히 陽양에 있고, 陽양에 있었는데 또 忽然홀연히 陰음에 있는 것이다. ‘易역’은 陽양이 되기도 하고 陰음이 되기도 하는 것으로 마치 봄이 되고 여름이 되고 가울이 되고 겨울이 되어 서로 繼續계속해서 바뀌어 形體형체로 拘束구속할 수 없는 것과 같다.
또 말하였다. “‘體체가 없다’와 ‘그 體체를 易역이라 한다’는 같지 않으니 各自각자 하나의 道理도리가 있다. ‘그 體체를 易역이라 한다’는 但只단지 陰陽음양‧動靜동정‧闔闢합벽‧剛柔강유‧消長소장을 말한 것이니, 저 일곱 여덟 글자를 使用사용하지 않고는 말할 수 없다. 萬若만약 ‘易역’이라고 부른다면 다만 이 한 글자로 마친다.
또 말하였다. “여기에서의 體체는 骨子골자[뼈대]이다.
○ 窮理是知字上說盡性是仁字上說言能造其極也至於範圍天地是至命言與造化一般
○ 窮理是知字上說, 盡性是仁字上說, 言能造其極也. 至於範圍天地是至命, 言與造化一般.
‘窮理궁리’는 ‘知지’字자에 根據근거해 말했고 ‘盡性진성’은 ‘仁인’字자에 根據근거해 말했으니 標準표준을 지을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天地천지를 範圍범위함에 이르면 이는 ‘天命천명에 이름[至命지명]’이니 造化조화와 더불어 매한가지임을 말한 것이다.
○ 南軒張氏曰天地之化陰陽之氣也萬物陰陽之形也晝夜陰陽之理也此三者不外乎陰陽唯易則能陰能陽故无體神則陰陽不測故无方聖人盡神易之道故於天地之化能範圍之萬物能曲成之, 晝夜之道能通之
○ 南軒張氏曰, 天地之化陰陽之氣也, 萬物陰陽之形也, 晝夜陰陽之理也, 此三者不外乎陰陽. 唯易則能陰能陽故无體, 神則陰陽不測故无方. 聖人盡神易之道, 故於天地之化能範圍之, 萬物能曲成之, 晝夜之道能通之.
南軒張氏남헌장씨가 말하였다.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는 陰陽음양의 氣기이고 萬物만물은 陰陽음양의 形體형체이고 晝夜주야는 陰陽음양의 理致이치이니 이 셋은 陰陽음양을 벗어나지 않는다. 오직 易역은 陰음으로도 陽양으로도 될 수 있어 形體형체가 없고 神신은 陰陽음양을 헤아릴 수 없어 方所방소가 없다. 聖人성인은 神신과 易역의 道도를 다했기 때문에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를 範圍범위하고 萬物만물을 曲成곡성하고 晝夜주야의 道도를 通통할 수 있다.”
○ 節齋蔡氏曰天地之化雨暘寒燠之類常雨常暘化之過也聖人則能範圍之而使之不過一動一植不得其遂則爲有遺矣聖人則能委曲成就而使之不遺
○ 節齋蔡氏曰, 天地之化雨暘寒燠之類. 常雨常暘化之過也, 聖人則能範圍之而使之不過. 一動一植不得其遂, 則爲有遺矣, 聖人則能委曲成就而使之不遺.
節齋蔡氏절재채씨가 말하였다.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는 비오고 볕이 나고 춥고 더운 種類종류이다. 늘 비오고 늘 볕이 남은 造化조화의 지나침이니 聖人성인은 範圍범위하여 지나침이 없게 할 수 있다. 하나라도 動物동물과 植物식물이 그 成就성취를 얻지 못하여 남겨짐이 있게 되면 聖人성인은 曲盡곡진히 成就성취하게 하여 남겨짐이 없게 한다.”
○ 誠齋楊氏曰大哉天地之運日往月來而爲夜月往日來而爲晝孰測其所以然哉聖人乃能通而知之者蓋往者屈也來者信也晝夜者一日之屈信也寒暑者一歲之屈信也死生者一世之屈信也古今者萬世之屈信也聖人何以通而知之用易而已
○ 誠齋楊氏曰, 大哉天地之運. 日往月來而爲夜, 月往日來而爲晝, 孰測其所以然哉. 聖人乃能通而知之者. 蓋往者屈也, 來者信也, 晝夜者一日之屈信也, 寒暑者一歲之屈信也, 死生者一世之屈信也, 古今者萬世之屈信也. 聖人何以通而知之, 用易而已.
誠齋楊氏성재양씨가 말하였다. “크구나, 天地천지의 運운이여! 해가 지고 달이 뜨면 밤이 되고 달이 지고 해가 뜨면 낮이 되는데 누가 그러한 까닭을 헤아릴 수 있겠는가? 聖人성인이라야 兼겸하여 알 수 있다. 往왕이란 屈굴[굽힘]이며 來래란 信신[폄]인데, 晝夜주야는 하루의 屈信굴신이고, 寒暑한서는 한 해의 屈信굴신이고, 死生사생은 一世일세의 屈信굴신이고, 古今고금은 萬世만세의 屈信굴신이다. 聖人성인은 무엇으로 兼겸하여 알았을까? 易역을 使用사용하였을 뿐이다.
○ 龜山楊氏曰神者妙萬物而爲言易者生生之謂天高地下必有方矣神則无方天圓地方必有體矣易則无體无在而无乎不在无爲而无所不爲也
○ 龜山楊氏曰, 神者妙萬物而爲言, 易者生生之謂. 天高地下, 必有方矣, 神則无方. 天圓地方, 必有體矣, 易則无體. 无在而无乎不在, 无爲而无所不爲也.
龜山楊氏구산양씨가 말하였다. “神신은 萬物만물을 妙묘하게 함을 이름이고 易역은 낳고 낳음을 이름이다. 하늘은 높고 땅은 낮아 반드시 方所방소가 있지만 神신은 方所방소가 없다.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서 반드시 形體형체가 있지만 易역은 形體형체가 없다. 있지 않으면서 있지 않음이 없고, 함이 없으면서 하지 않음이 없다.
○ 雲峯胡氏曰上文言彌綸天地之道此曰範圍曲成範圍如大德敦化卽所謂彌也曲成如小德川流卽所謂綸也上文言聖人之知不過此則聖人能使天地之化皆不過上文知幽明知死生知鬼神知命此則通晝夜之道而知是豈聞見之知云乎哉前所謂知者知有其故知有其說知有其情狀也此所知者則神无方所易无形體矣嗚呼深哉
○ 雲峯胡氏曰, 上文言彌綸天地之道, 此曰範圍曲成. 範圍如大德敦化卽所謂彌也, 曲成如小德川流卽所謂綸也. 上文言聖人之知不過, 此則聖人能使天地之化皆不過. 上文知幽明知死生知鬼神知命, 此則通晝夜之道而知. 是豈聞見之知云乎哉. 前所謂知者知有其故, 知有其說, 知有其情狀也, 此所知者, 則神无方所易无形體矣, 嗚呼深哉.
雲峯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윗 글에서 ‘天地천지의 道도를 彌綸미륜함’을 말했고 여기서는 ‘範圍범위’와 ‘曲成곡성’을 말했다. 範圍범위는 “큰 德덕의 두터운 造化조화”와 같으니 이른바 얽음[彌미]이고, 曲成곡성은 “작은 德덕이 내처럼 흐름”과 같으니 이른바 짜는 것[綸륜]이다. 윗글에서는 聖人성인의 知지가 지나침이 없음을 말했고, 여기는 聖人성인이 天地천지의 造化조화가 모두 지나침이 없게 할 수 있음을 말했다. 윗글에서는 幽明유명을 알고 死生사생을 알고 鬼神귀신을 알고 天命천명을 아는 것을 말했고, 여기에서는 晝夜주야의 道도를 兼겸해서 아는 것을 말했다. 이것이 어찌 듣고 보아 아는 知지를 말한 것이겠는가? 앞에서의 이른바 知지는 그러한 緣故연고가 있음을 알고 그러한 說설이 있음을 알고 그러한 情狀정상이 있음을 아는 것이고, 여기의 知지는 神신은 方所방소가 없고 易역은 몸―體체가 없다는 意味의미이니, 아 깊구나!”
韓國大全
【권근(權近) 『주역천견록(周易淺見錄)』】 |
易與天地準. 止 易无體. 易역은 天地천지를 準則준칙으로 삼았다. … 易역은 몸―體체가 없다. |
朱子曰, 上言易與天地準, 是言易之道, 下言與天地相似, 是言聖人之德. |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위에서 “易역이 天地천지를 準則준칙으로 삼았다”고 한 것은 易역의 道도를 말한 것이고, 아래에서 “天地천지와 더불어 서로 같다”고 한 것은 聖人성인의 德덕을 말한 것이니, |
彌綸天地之道, 此指書而言, 仰觀俯察以下, 是言聖人因易之書, 而窮理盡性之事也. |
“天地천지의 道도를 彌綸미륜한다”는 『周易주역』을 가리켜 말한 것이고, “우러러 觀察관찰하고 구부려 살핀다”부터는 聖人성인이 『周易주역』에 依據의거하여 理致이치를 窮究궁구하고 性品성품을 다한 일을 말한 것이다.” |
愚謂易之道與天地齊準, 故易之書能彌綸天地之道. |
내가 살펴보았다. 易역의 道도는 天地천지와 가지런하므로 『易역』이라는 册책이 天地천지의 道도를 彌綸미륜할 수 있다. |
聖人仰則觀於天文, 俯則察於地理, 能知天地所以有幽明之故. |
聖人성인은 우러러 天文천문을 觀察관찰하고 구부려 地理지리를 살펴서 天地천지에 幽明유명이 있게 된 理由이유를 알 수 있다. |
旣知幽明之故, 則推原其始, 反究其終, 能知萬物所以有死生之說. |
이미 幽明유명의 理由이유를 안다면, 그 처음을 미루어 살피고 그 마침을 돌이켜 窮究궁구하여 萬物만물에게 죽음과 삶이 있는 理由이유를 알 수 있다. |
旣知死生之說, 則精氣爲物, 所以爲生之始, |
이미 죽음과 삶에 關관한 說설을 안다면, “精氣정기가 物件물건이 된다”는 生생의 始作시작이 되고, |
游魂爲變, 所以爲死之終, 故能知鬼神之所以有情狀. |
“魂혼이 돌아다녀 變변하게 된다”는 죽음의 끝이 되므로 鬼神귀신에게 情狀정상이 있는 까닭을 알 수 있다. |
此三者, 皆相因, 而知幽明之故, 卽死生之說, 死生之說, 卽鬼神之情狀. |
이 세 가지는 모두 서로를 原因원인으로 하므로 ‘幽明유명의 原因원인’이 바로 ‘죽음과 삶에 關관한 說설’이고, ‘죽음과 삶에 關관한 說설’이 바로 ‘鬼神귀신의 情狀정상’임을 알게 된다. |
故旣知其一, 則可相因而皆通也. 然幽明之故, 汎言天地之理, |
그러므로 그 가운데 하나를 이미 안다면 서로 根據근거하여 모두에 通통할 수 있다. 그러나 ‘幽明유명의 原因원인’은 天地천지의 理致이치를 汎汎범범하게 言及언급한 것이고, |
死生之說, 專言萬物之事, 此二句由大以入細也. |
‘죽음과 삶에 關관한 說설’이란 萬物만물의 일만을 말한 것이니, 이 두 句구는 큰 것으로부터 細密세밀한 것으로 들어간 것이다. |
又因萬物以知鬼神, 萬物之死生易知, 而鬼神之情狀難知, 此二句由粗以入精也. |
또 萬物만물을 通통해 鬼神귀신을 아는데, 萬物만물의 死生사생은 알기 쉽고, 鬼神귀신의 情狀정상은 알기 어려우니, 이 두 句구는 거친 것에서 精密정밀한 것으로 들어간 것이다. |
旣能知此三者, 則其德與天地相似矣. 이미 이 세 가지를 알 수 있다면 그 德덕이 天地천지와 더불어 서로 같다. |
此以上, 聖人以易之書, 而能知, 故上三節, 專以知言. |
이로부터 위로는 聖人성인이 『易역』이라는 册책을 通통해서 알 수 있으므로 위의 세 句節구절은 오로지 知지로써 말하였다. |
此以下, 易之道在聖人, 而聖人能彌綸天地之道, 故下文皆兼知行而言. |
이로부터 아래로는 易역의 道도가 聖人성인에게 있고 聖人성인은 天地천지의 道도를 彌綸미륜할 수 있으므로 아래의 글은 모두 知行지행을 兼겸해서 말했다. |
知周萬物知也, 道濟天下, 旁行不流行也. |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에 두루한다”는 知지이고, “道도가 天下천하를 救濟구제한다”와 “四方사방으로 行행하되 흐르지 않는다”는 行행이다. “ |
樂天知命知也, 安土敦仁行也. 範圍天地, |
天理천리를 즐거워하고 天命천명을 안다”는 知지이고, “자리에 便安편안하여 仁인을 敦篤돈독히 한다”는 行행이다. “하늘과 땅을 範圍범위한다”와 |
由成萬物, 又以行言, 通乎晝夜之道, 又以知言. |
“萬物만물을 曲盡곡진히 이룬다”는 또 行행으로 말한 것이고, “낮과 밤의 道도를 兼겸한다”는 또 知지로써 말한 것이다. |
範圍天地, 極於至大而无外, 曲成萬物, 入於至小而無內也. |
“하늘과 땅을 範圍범위한다”는 至極지극히 커서 밖이 없는 곳까지 미루어 간 것이며, “萬物만물을 曲盡곡진히 이룬다”는 至極지극히 작아서 안이 없는 地境지경까지 들어간 것이다. ‘ |
晝夜之道, 卽幽明死生鬼神之謂, 是又要其終始而總言之也. |
낮과 밤의 道도’는 바로 幽明유명과 死生사생과 鬼神귀신을 가리키니, 이는 또 끝과 처음을 要約요약해서 總括的총괄적으로 말한 것이다. |
神無方而易無體者, 合天地聖人與易而爲一也. |
“神신은 一定일정한 場所장소가 없고, 易역은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다”는 天地천지와 聖人성인과 易역을 合합하여 하나로 한 것이다. |
【송시열(宋時烈) 『역설(易說)』】 |
第四章, 極言易之道, 無大不包, 無物不具, 以至於無方無軆, |
第四章제4장에서 ‘易역의 道도는 큰 것도 包含포함하지 못함이 없으며 事物사물마다 갖추지 않음이 없으면서 方所방소도 없고 몸―體체도 없음에 이른다’고 至極지극히 말하였으니 |
則怳惚不可名狀, 而其無方体之理, 不過一與兩之神化也. |
아득하여 이름붙이고 形容형용할 수는 없겠지만, 그 方所방소와 몸―體체가 없는 理致이치는 하나와 둘의 神妙신묘함과 造化조화로움에 지나지 않는다. |
【박치화(朴致和) 「설계수록(雪溪隨錄)」】 |
範圍天地一節, 承上文而言彌綸之極功, 以賛聖人軆易爲一之妙也. |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를 範圍범위한다”는 한 句節구절은 위의 글을 이어서 彌綸미륜의 至極지극한 功效공효를 말하여 聖人성인이 易역을 體得체득하여 하나가 되는 神妙신묘함을 讚揚찬양하였다. |
○ 自首節至末節, 皆合聖人與易而言, 言易則聖人在其中, 言聖人則易在其中. |
처음 句節구절로부터 끝의 句節구절에 이르기까지 모두 聖人성인과 易역을 合합하여 말하였으니, 易역을 말하면 聖人성인이 그 가운데 있고, 聖人성인을 말하면 易역이 그 가운데 있다. |
然易爲主, 故末言易無軆, 以應上文易與天地凖也. |
그러나 易역을 爲主위주로 하였기 때문에 끝에서 ‘易역이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음’을 말하여 “易역은 天地천지를 準則준칙으로 삼았다”는 위의 文章문장과 呼應호응시켰다. |
○ 易無軆者, 或陽或陰, 而無定軆, 言變化也. |
“易역은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다”는 陽양이기도 하고 陰음이기도 하여 定정해진 몸―體체가 없다는 것이니, 變化변화를 말한다. |
○ 天地萬物, 陰陽屈伸而已. 故神無方而易無軆也. |
天地천지의 萬物만물은 陰陽음양의 屈伸굴신일 뿐이다. 그러므로 神신은 一定일정한 方所방소가 없고, 易역은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는 것이다. |
○ 若如朱子訓解, 則第一節專言易, 第二節言聖人軆易窮理之事, |
萬若만약 朱子주자의 解釋해석과 같다면, 第一節제1절은 오로지 易역을 말한 것이고, 第二節제2절은 聖人성인이 易역을 體得체득하고 理致이치를 窮究궁구하는 일을 말한 것이고, |
第三節言聖人軆易盡性之事, 第四節言聖人軆易知命之事. |
第三節제3절은 聖人성인이 易역을 體得체득하여 本性본성을 다하는 일을 말한 것이고, 第四節제4절은 聖人성인이 易역을 體得체득하여 天命천명을 아는 일을 말한 것이다. |
○ 此章程子訓解亦好. 知周萬物, 雖似碍滯, 而易中有仁知之事, 則亦無所碍滯也. |
이 章장에 對대한 程子정자의 解釋해석도 좋다.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에 두루함’이 비록 막힘이 있는 것 같지만, 易역에는 仁인과 知지의 일이 있으니 또한 막히는 바가 없다. |
【이익(李瀷) 『역경질서(易經疾書)』】 |
易包天地之化在範圍之內, 天地化生萬物, 故易道亦曲成萬物. |
易역은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를 範圍범위의 안에 包括포괄하고, 天地천지는 萬物만물을 變化변화 生成생성하므로 易역의 道도도 萬物만물을 曲盡곡진히 이룬다. |
天有陰陽晝夜, 故易道, 亦通知其理, 天妙萬物而無方所, 故易道, |
하늘에는 陰음과 陽양, 낮과 밤이 있으므로 易역의 道도도 그 理致이치를 함께 알며, 하늘이 萬物만물을 神妙신묘하게 하며 一定일정한 方所방소가 없으므로 易역의 道도도 |
亦濟萬物而無定軆. 神者, 造化之用. |
萬物만물을 救濟구제하며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다. ‘神신’은 造化조화의 作用작용이다. |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
範圍 [至] 旡體.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를) 範圍범위하여 …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다. |
張子曰, 體不偏滯, 乃所謂旡方旡體, 偏滯於陰陽晝夜者, 物也. |
張子장자가 말하였다. “몸-體체가 치우쳐 막히지 않아야 이른바 ‘一定일정한 方所방소가 없고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음’이고, 陰陽음양이나 晝夜주야에 치우쳐 막힌 것은 事物사물이다. |
若道則兼體而旡累也, 以其兼體也, 故曰一陰一陽, 又曰陰陽不測, |
道도라면 몸―體체를 兼備겸비하여 남김이 없으니, 그 몸―體체를 兼겸하였기 때문에 “한 番번은 陰음이 되고 한 番번은 陽양이 된다”[주 143]고 하고, 또 “陰陽음양을 헤아릴 수 없다”[주 144]고 하고, |
又曰一闔一闢, 又曰通乎晝夜. 語其推行, 故曰道, 語其不測, 故曰神, 語其生生, 故曰易. |
또 “한 番번은 닫고 한 番번은 열린다”[주 145]고 하고, 또 “낮과 밤을 兼겸한다”[주 146]고 하였다. 그 미루어 行행함을 말하므로 ‘道도’라고 하고, 그 헤아리지 못함을 말하므로 ‘神신’이라 하고, 그 낳고 낳음을 말하므로 ‘易역’이라 한다.” |
143) 『周易주역‧繫辭傳계사전』 |
144) 『周易주역‧繫辭傳계사전』 |
145) 『周易주역‧繫辭傳계사전』 |
146) 『周易주역‧繫辭傳계사전』 |
○ 平庵項氏曰, 易與天地準, 故能彌綸天地之道, 此二句者, 一章之主意也. |
平庵項氏평암항씨가 말하였다. “易역은 天地천지를 準則준칙으로 삼았다. 그러므로 天地천지의 道도를 彌綸미륜할 수 있다”는 두 句節구절은 한 章장의 主題주제이다. |
自仰以觀於天文, 至鬼神之情狀, 此三知者, 言易之所知與天地準也. |
“우러러 天文천문을 觀察관찰하고”부터 “鬼神귀신의 情狀정상을 안다”까지에서 세 番번의 ‘안다[知지]’는 易역이 아는 것이 天地천지와 같음을 말하였다. |
伏羲觀天地陰陽之情, 皆以類從, 而天文地理, 遂與人事物情, 相通爲一, |
伏羲복희가 天地천지와 陰陽음양의 實情실정을 살핌에 모두 部類부류대로 따랐기에 天文천문과 地理지리가 드디어 人事인사나 物情물정과 서로 通통하여 하나가 되었으니, |
而幽明之故, 可得而知矣. 原畫之所由, 始二分四揲之變, 皆起於至一旡眹之中, |
幽明유명의 原因원인을 알 수 있게 되었다. 畫획이 緣由연유한 바를 追遠추원해 보면 처음의 둘로 나누고 넷씩 세는(揲설) 變化변화가 모두 兆朕조짐이 없는 中心중심인 至極지극한 하나에서 일어나고, |
要畫之所以終, 三變六揲之餘, 復歸於至一旡眹之始, 而死生之說, 可得以知矣. |
畫획이 끝마치는 까닭을 要約요약해 보면 세 番번의 變化변화를 여섯 番번 헤아린 뒤에 다시 兆朕조짐이 없는 始初시초인 至極지극한 하나로 돌아가니, 生死생사의 說설을 알 수 있게 되었다. |
氣聚而爲物, 奇偶之畫, 所以爲有象, 魂遊而爲變, |
氣運기운이 모여서 事物사물이 되기에 홀과 짝의 畫획에 象상이 있게 되었고, 魂혼이 돌아다녀 變변하게 되기에 |
九六之化, 所以爲旡迹, 而鬼神之情狀, 可得以知矣. |
九구와 六육의 變化변화에 자취가 없게 되었으니, 鬼神귀신의 情狀정상을 알 수 있게 되었다.” |
自與天地相似, 至故能愛, 此四故者, 言易之所能與天地準也. |
“天地천지와 더불어 서로 같다”로부터 “그러므로 사랑할 수 있다”까지에서 네 番번의 ‘그러므로[故고]’는 易역이 能능한 것이 天地천지와 같음을 말하였다. |
奇偶之象, 正與天地相似, 故能於天下之理旡所違, |
홀과 짝의 象상이 바로 天地천지와 서로 같기 때문에 天下천하의 理致이치에 어긋나지 않을 수 있으며, |
奇偶之變, 通於萬物之情, 故知雖崇而不失之於過, 當於萬物之用, 故道雖廣而不失之於流. |
홀과 짝의 變化변화가 萬物만물의 實情실정에 通통하기 때문에 知慧지혜가 비록 높아도 지나침에 빠지지 않고, 萬物만물의 作用작용에 該當해당되기 때문에 道도가 비록 넓어도 흘러감에 빠지지 않는다. |
樂時位之推移, 而知其卒歸於有數, 故能乘化而不憂, |
때와 자리가 옮겨감을 즐거워하고 끝내는 分數분수대로 돌아감을 알기 때문에 造化조화를 타고서 근심하지 않으며, |
隨時位之險夷, 而常遂其濟物之心, 故能旡往而不用其愛. |
때와 자리의 險험함과 쉬움에 따라서 恒常항상 事物사물을 救濟구제하려는 마음을 이루기 때문에 어디서나 사랑을 쓰지 않음이 없다. |
夫能具其理, 故通其變, 能通其變, 故能極其數, |
그 理致이치를 갖출 수 있기 때문에 그 變化변화에 通통하고, 그 變化변화에 通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셈을 至極지극히 할 수 있으며, |
能極其數, 故能用其利. 凡易之所能, 僃於此四者也. |
그 셈을 至極지극히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利이로움을 쓸 수 있으니, 모든 易역의 能능한 점은 이 네 가지에 갖추어져 있다. |
自範圍天地, 至易旡體, 此三而者, 總結一章之義, 以見彌綸之功也. |
“天地천지를 範圍범위한다”로부터 “易역은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다”까지에서 세 番번의 ‘하면서[而이]’는 한 章장의 뜻을 總結총결하여 ‘彌綸미륜’의 功效공효를 나타내었다. |
蓋易有奇偶二畫, 所以匡括天地之變化, 而天地不能越乎其外, 所謂彌也, |
大體대체로 易역에 홀과 짝의 두 畫획이 있어서 天地천지의 變化변화를 바르게 包括포괄하면서[而이] 天地천지가 밖으로 벗어날 수 없는 것이 이른바 ‘두루함[彌미]’이며, |
曲成萬物之始終, 而旡一物之或遺, 此所謂綸也, 此卽上文四故之所能也. |
萬物만물의 始作시작과 마침을 曲盡곡진히 이루면서[而이] 하나의 事物사물도 버려둠이 없는 것이 이른바 ‘다스림[綸륜]’이니, 이것은 바로 앞에 글의 네 番번의 ‘그러므로[故고]’가 能능히 하는 일이다. |
通乎幽明死生鬼神之道, 而知旡所不至, 此所謂道也, 此卽上文三知之所知也. |
곳이 없음을 아는 것이 이른바 ‘道도’이니, 이것이 바로 앞에 글의 세 番번의 ‘안다[知지]’가 아는 일이다. |
是故天地之神, 旡陰陽之定方, 而奇偶之變, 亦與之周流, 旡定體, |
이 때문에 天地천지의 神신은 陰陽음양의 定정해진 方所방소가 없고, 홀과 짝의 變化변화도 더불어 두루 흘러서 定정해진 몸―體체가 없으니, |
此所謂易與天地準也. 此一節, 正以明始初之意而極言之也. |
幽明유명과 死生사생과 鬼神귀신의 道理도리에 通통하면서[而이] 이르지 못하는 이것이 이른바 ‘易역이 天地천지를 準則준칙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이 句節구절은 바로 처음의 뜻을 밝혀서 至極지극히 말한 것이다. |
○ 案, 程子嘗以此章所論, 專爲易之書而言, 而朱子謂未安. |
내가 살펴보았다. 程子정자는 일찍이 이 章장의 論意논의는 오로지 『易역』이라는 册책을 爲위하여 말한 것이라고 여겼는데, 朱子주자는 그렇지 않다고 하였다. |
項氏說本於程子, 而與本義不同, 然亦自爲一說. |
項氏항씨의 說明설명은 程子정자에 根本근본해서 『本義본의』와는 같지 않지만, 또한 自然자연히 하나의 說明설명이 된다. |
範圍天地, 道之極於至大而旡外也, 曲成萬物, 道之入於至小而旡間也. |
“天地천지를 範圍범위한다”는 道도가 至極지극히 큼을 다하여 밖이 없음이고, “萬物만물을 曲盡곡진히 이룬다”는 道도가 至極지극히 작음에 들어가서 틈이 없음이다. |
剩些子不得, 故曰不過, 欠些子不得, 故曰不遺. 範圍不過者, 裁成也, 曲成不遺者, 輔相也. |
조금도 남기지 않으므로 “지나치지 않는다”고 하였고, 조금도 모자라지 않으므로 “빠뜨리지 않는다”고 하였다. ‘範圍범위하여 지나치지 않음’은 마름질하여 이룸이고, ‘曲盡곡진히 이루어 빠뜨리지 않음’은 輔佐보좌하여 도움이다. |
小註, 程子說升降三萬里. 小註소주에서 程子정자가 ‘三萬里삼만리를 오르내린다’고 하였다. |
〈考靈曜, 地蓋厚三萬里, 春分之時, 地正當天之中. |
『考靈曜고령요』에서 말하였다. “땅은 두터움이 三萬里삼만리인데, 春分춘분의 때에 땅은 바로 하늘의 中央중앙에 位置위치한다. |
自此地漸漸而下, 至夏至時, 地下游萬五千里, 地之上畔與天中平. |
이로부터 땅은 漸次점차로 내려가서 夏至하지의 때에 이르면 땅은 一萬일만 五千里오천리의 아래에서 떠돌아 땅의 위쪽 近處근처(畔반)가 하늘의 中央중앙과 水平수평이 된다. |
夏至之後, 漸漸向上, 至秋分, 正當天之中. |
夏至하지의 뒤에 漸次점차로 위로 올라가서 秋分추분에 이르면 바로 하늘의 中央중앙에 位置위치한다. |
自此漸漸而上, 至冬至時, 上游萬五千里, 地之下畔與天中平, 至冬至後, 漸漸向下, |
이로부터 漸次점차로 올라가 冬至동지의 때에 이르면 一萬일만 五千里오천리의 위에서 떠돌아 땅의 아래쪽 近處근처(畔반)가 하늘의 中央중앙과 水平수평이 되며, 冬至동지에 이른 뒤에는 漸次점차로 아래로 내려가니, |
此是地之升降於三萬里之中. 又旁行四表之中, 冬南夏北春西秋東, 皆薄四表而止. |
이것이 땅이 三萬里삼만리의 가운데를 오르내린다는 것이다. 또 (하늘이) 四方사방으로 四表사표의 가운데를 運行운행하여 겨울에는 南남쪽, 여름에는 北북쪽, 봄에는 西서쪽, 가을에는 東동쪽에 있으니, 모두 四表사표를 가까이 하여 그친 것이다.”〉 |
升降八萬里. 八萬里팔만리를 오르내린다. |
〈考靈曜, 正月假上八萬里, 假下一十萬四千里, 所以有假上假下也. |
『考靈曜고령요』에서 말하였다. “正月정월에는 (해가) 위로 (하늘에서) 떨어짐이 八萬里팔만리이고, 아래로 (땅에서) 떨어짐이 一十萬일십만 四千里사천리이기에 위와 떨어지고 아래와 떨어짐이 있는 것이다.” |
○ 鄭氏曰, 天去地十九萬三千五百里, 正月雨水時, 日在上假於八萬里, |
鄭玄정현이 말하였다. “하늘과 땅의 거리가 十九萬십구만 三千삼천 五百里오백리인데, 正月정월의 雨水우수의 때에는 해가 위로 八萬里팔만리를 떨어져 있고, |
下至地一十一萬三千五百里. 夏至時, 日上極與天表平, 後日漸向下, |
아래로 땅에서 一十一萬일십일만 三千삼천 五百里오백리에 이른다. 夏至하지의 때에는 해가 올라감이 至極지극하여 天表천표와 水平수평이이지만 뒷날 漸次점차로 아래로 向향하니, |
冬至時, 日下至於地八萬里, 上至於天十一萬三千五百里. |
冬至동지의 때에는 해가 내려와 땅의 八萬里팔만리에 이르고, 올라가 一十一萬일십일만 三千五百里삼천오백리에 이른다.”〉 |
案, 四遊升降之說, 始見於考靈曜, 而周禮註月令疏爾雅疏, 俱有是說. |
내가 살펴보았다. 四方사방으로 떠돌며 오르내린다는 說明설명은 처음에는 『考靈曜고령요』에 나타나는데, 『周禮주례』의 註釋주석과 『月令월령』의 註疏주소와 『爾雅이아』의 註疏주소에도 모두 이 說明설명이 있다. |
正蒙亦取之, 朱子亦云, 恐有此理. 然陽主動, 運行不息, 陰主靜, 一定不易. |
『正蒙정몽』에서도 取취하였으며, 朱子주자도 “이러한 理致이치가 있는 듯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陽양은 움직임을 主주로 하여 運行운행이 그치지 않고, 陰음은 고요함을 主주로 하여 一定일정하게 바뀌지 않는다. |
故邵子嘗謂地直方而靜, 豈得如圓動之天乎. |
그러므로 邵子소자가 일찍이 ‘땅은 곧바르며 고요하다’고 하였으니, 어찌 둥글고 움직이는 하늘과 같을 수 있겠는가? |
今以渾天說觀之, 晝夜長短, 由日道之有高下, |
只今지금 渾天說혼천설로 본다면, 낮과 밤의 길고 짧음은 黃道황도에 높고 낮음이 있음에 緣由연유한다. |
則不須說地之升降而日之冬短夏永, 分明易見, 此與四游升降之說, 欲通融而不可得矣. |
그렇다면 ‘땅이 오르내려서 해가 겨울에는 짧고 낮에는 길다’고 말할 수 없는 것임을 分明분명하고 쉽게 알 수 있으니, 이것과 四方사방으로 떠돌며 오르내린다는 說설은 會通회통하려 해도 할 수 없을 것이다. |
朱子嘗云, 所謂升降一萬五千里, 謂冬夏日行南陸北陸之間, 相去一萬五千里, 又云, |
朱子주자는 일찍이 “이른바 ‘一萬일만 五千里오천리를 오르내린다’는 것은 겨울과 여름의 해의 運行운행에서 南남쪽 軌道궤도와 北북쪽 軌道궤도의 사이가 서로 一萬일만 五千里오천리 떨어져 있음을 말한다”고 하였고, |
日月升降三萬里之中, 此指黃道相去遠近而言. |
다시 “해와 달이 三萬里삼만리의 가운데서 오르내림은 黃道황도가 서로 떨어진 遠近원근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
晩來集書傳, 以渾天說爲主, 而刋落諸家說, 則朱子定論, 槪可知矣. |
晩年만년에 『書傳서전』을 編輯편집함에 渾天說혼천설을 爲主위주로 하고 여러 學者학자의 說明설명을 없애버렸으니, 朱子주자의 定論정론을 大體대체로 알 수 있을 것이다. |
本義匡郭. 『本義본의』의 匡郭광곽. |
〈參同契, 坎離匡郭, 朱子註垣郭. |
『參同契참동계』의 ‘坎離감리는 匡郭광곽이다’를 朱子주자는 ‘담-牆장의 둘레’라고 註釋주석하였다〉 |
右第四章. 以上이상은 第四章제4장이다. |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
上文言彌綸天地之道, 故此曰範圍曲成, 不過不遺, 卽裁成之意也. |
위의 글에서 天地천지의 道도를 彌綸미륜함을 말하였으므로 여기에서 ‘範圍범위하고 曲盡곡진히 이룸’과 ‘지나치지 않고 빠뜨리지 않음’을 말하였으니, 바로 마름질하여 이룬다는 뜻이다. |
晝夜, 卽幽明死生鬼神之謂也. 神則陰陽不測, 故无方, 易則能陰能陽, 故无體. |
낮과 밤은 어둠과 밝음, 죽음과 삶, 鬼귀와 神신을 말한다. ‘神신’은 陰음과 陽양에서 헤아릴 수 없으므로 一定일정한 方所방소가 없고, ‘易역’은 陰음이 되고 陽양이 되므로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다. |
右第四章. 以上이상은 第四章제4장이다. |
【박윤원(朴胤源) 『경의(經義)•역경차략(易經箚略)•역계차의(易繫箚疑)』】 |
神無方而易無體, 此神字, 本義以至神之妙釋之, 卽說卦神也者妙萬物而爲言者也. |
“神신은 一定일정한 方所방소가 없고, 易역은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다”의 ‘神신’字자를 『本義본의』에서 ‘至極지극히 神妙신묘함’으로 解釋해석한 것은 바로 「說卦傳설괘전」의 “神신이란 萬物만물을 神妙신묘하게 함을 말한다”는 것이다. |
固當如是看, 而來氏引孟子聖而不可知之謂神, 以爲聖無方而易無體, 此說何如. |
참으로 이와 같이 보는 것이 當然당연한데, 來氏래씨는 『孟子맹자』의 “聖성스러워 알 수 없는 것을 神신이라 한다”[주 147]는 말을 引用인용하고는 ‘聖人성인은 一定일정한 方所방소가 없고, 易역은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다’로 看做간주하였으니, 이 說明설명은 어떠한가? |
此章本以易與聖人竝言之, 則其結之也, 似亦宜然. 然則來說不可斥棄歟. |
이 章장은 本來본래 易역과 聖人성인을 아울러 말하였으니, 그 끝맺음도 마땅히 그래야 할 듯하다. 그렇다면 來氏래씨의 說明설명도 廢棄폐기(斥棄척기)할 수 없는 것인가? |
147) 『孟子맹자‧盡心진심』 |
【심취제(沈就濟) 『독역의의(讀易疑義)』】 |
陰陽剛柔, 天地之用也, 仁知, 人之道也. 首章, 以陰陽剛柔爲頭尾, |
陰陽음양과 剛柔강유는 天地천지의 作用작용이고, 어짊[仁인]과 知慧지혜[知지]는 사람의 道도이다. 첫 章장에서는 陰음과 陽양, 剛강과 柔유로 처음과 끝을 삼고, |
以易簡置中, 至此章, 始言仁知, 而仁知者, 自易簡中來也. |
平易평이함과 簡略간략함을 中間중간에 두었으며, 이 章장에 이르러 처음으로 어짊과 知慧지혜를 말했는데, 어짊과 知慧지혜는 平易평이함과 簡略간략함으로부터 왔다. |
彼以天地言也, 此以人事言也, 知者易也, 仁者簡也. |
저기서는 天地천지로 말했고, 여기서는 사람의 일로 말했으니, 知慧지혜는 平易평이함이고 어짊은 簡略간략함이다. |
首章之尊卑, 不過分一字也, 章章都是分也. |
첫 章장의 높고 낮음은 ‘나눈다[分분]’는 말에 不過불과하니, 章장마다 모두 나눈 것이다. |
至命之命, 卽天之命也. 天包神而神著於命也, 人包神而神著於辭也, 人之辭, 卽天之命也. |
‘命명에 이른다’의 ‘命명’은 곧 하늘의 命令명령이다. 하늘이 神妙신묘함을 갖춤에 神妙신묘함이 命令명령에 나타나고, 사람이 神妙신묘함을 갖춤에 神妙신묘함이 말에 나타나니, 사람의 말이 곧 하늘의 命令명령이다. |
仁者天也, 知者地也, 天而體地之知, 故曰天之知也, 地而體天之仁, 故曰地之仁也. |
어짊은 하늘이고 知慧지혜는 땅인데, 하늘이면서 땅의 知慧지혜를 몸으로 하기 때문에 ‘하늘의 知慧지혜’라 하고, 땅이면서 하늘의 어짊을 몸으로 하기 때문에 ‘땅의 어짊’이라 하였다. |
及其用也, 則天仁而地知也, 此猶地天泰之爲天地否也. |
作用작용에 미쳐서는 하늘은 어짊이고 땅은 知慧지혜이니, 이는 地天泰지천태(䷊)가 天地否천지비(䷋)가 되는 것과 같다. |
此章知仁, 言學故也, 窮理盡性至命, 都是學也. 知仁之中, 包陰陽剛柔也. |
이 章장의 知慧지혜와 어짊은 學文학문을 말하기 때문에 窮理궁리와 盡性진성과 至命지명이 모두 學文학문이다. 知慧지혜와 어짊의 가운데에 陰陽음양과 剛柔강유를 包括포괄한다. |
窮神知化, 學之極功, 則此章之首言幽明死生魂魄者, 窮理之時, 含窮神之妙也. |
神妙신묘함을 窮究궁구하고 造化조화를 앎은 學文학문의 至極지극한 功效공효이니, 이 章장의 처음에서 幽明유명‧死生사생‧魂魄혼백을 말한 것은 窮理궁리의 때에 神妙신묘함을 窮究궁구하는 奧妙오묘함이 包含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
天地者, 方圓而已, 變化者, 陰陽而已, 動靜者, 剛柔而已, 易簡者, 知仁而已. |
天地천지는 네모와 圓원 일뿐이고, 變化변화는 陰음과 陽양 일뿐이고, 動靜동정은 剛강과 柔유 일뿐이고, 易簡이간은 知慧지혜와 어짊 일뿐이다. |
【윤행임(尹行恁) 『신호수필(薪湖隨筆)‧易역』】 |
範圍者, 儀式也, 曲成者, 化理也. 不過者, 位焉也, 不遺者, 育焉也. |
‘範圍범위한다’는 儀禮의례의 法式법식이고, ‘曲盡곡진히 이룸’은 變化변화의 理致이치이다. ‘지나치지 않음’은 자리하게 함이고, ‘빠뜨리지 않음’은 育成육성함이다. |
易之道陰陽是已, 將以陰陽之道, 極本而言也. 故先言晝夜之道. |
易역의 道도는 陰陽음양일 뿐이니, 陰陽음양의 道도를 가지고 根本근본을 至極지극히 하여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먼저 낮과 밤의 道도를 말하였다. |
神者, 妙而不測, 故於上於下於左於右, 不知其所在. |
‘神신’은 奧妙오묘하여 헤아릴 수 없으므로 위와 아래, 左좌와 右우에서 所在소재를 알지 못한다. |
易者, 變而不常, 故其進其退其靜其動, 未見其所形. |
‘易역’은 變변하여 一定일정하지 않으므로 나아감과 물러남, 고요함과 움직임에 形體형체가 나타나지 않는다. |
【오희상(吳熙常) 「잡저(雜著)-易역」】 |
第四章, 承上章卦爻辭之後, 言軆易聖人窮理盡性知命之事, |
第四章제4장은 앞 章장의 卦辭괘사와 爻辭효사의 뒤를 이어서 易역을 體得체득한 聖人성인의 窮理궁리‧盡性진성‧知命지명의 일을 말하고, |
末節言神無方易無軆, 復起下章易道之軆用也. |
끝의 句節구절에서 “神신은 一定일정한 方所방소가 없고, 易역은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다”고 하여 다시 다음 章장의 ‘易道역도의 軆用체용’을 일으켰다. |
【윤종섭(尹鍾燮) 『경(經)-易역』】[주 148] |
四章彌綸, 易所以法象天地, 而括盡人物. 用是易, 而明於死生幽明鬼神之故, |
4章장의 ‘彌綸미륜’은 易역이 天地천지를 本본받아 그려내고 人物인물을 包括포괄하여 다하는 까닭이다. 이러한 易역을 써서 삶과 죽음, 어둠과 밝음, 鬼귀와 神신의 緣故연고를 밝혔으니, |
盡其性, 盡人物之性, 則與天地立. 是以曰知周萬物, |
그 性品성품을 다하여 사람과 事物사물의 性品성품을 다하면 天地천지와 함께 서게 된다. 이 때문에 “知慧지혜가 萬物만물에 두루한다”고 하고, |
曰樂天知命, 終之以神無方, 所謂至誠如神也. |
“天理천리를 즐거워하고 天命천명을 안다”고 하였으며, “神신은 一定일정한 方所방소가 없다”는 것으로 마쳤으니, 이른바 “至誠지성은 神신과 같다”[주 149]는 것이다. |
148) 경학자료집성DB에서는 「繫辭上傳계사상전」 ‘1章’에 該當해당하는 것으로 分類분류했으나, 內容내용에 따라 이 자리로 옮겼음. |
149) 『中庸중용』:至誠之道, 可以前知, … 禍福將至, 善必先知之, 不善必先知之. 故至誠如神. |
【심대윤(沈大允) 『주역상의점법(周易象義占法)』】 |
卽中庸鬼神, 軆物而不遺者也. |
바로 『中庸중용』 鬼神章귀신장의 “事物사물의 몸―體체가 되어 빠뜨리지 않는다”[주 150]는 것이다. |
右第四章. 以上이상은 第四章제4장이다. |
150) 『中庸중용』:視之而弗見, 聽之而弗聞, 體物而不可遺. |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
範如鑄器之有模範也, 圍如城郭之作外圍也. |
‘範범’은 그릇을 鑄物주물하는 模範모범과 같고, ‘圍위’는 城郭성곽에 겉 둘레를 만든 것과 같다. |
天地之化旡窮, 而聖人爲之範圍, 不使過於中道, 所謂裁成者也. |
天地천지의 造化조화는 다함이 없는데, 聖人성인이 이를 範圍범위하여 中道중도에 지나치지 않게 하니, 이른바 ‘마름질하여 이룬다’는 것이다. |
曲成萬物, 如大以成大, 小以成小, 旡物不成也. 通謂達也, 晝夜之道, 卽幽明死生鬼神也. |
“萬物만물을 曲盡곡진히 이룬다”는 큰 것은 크게 이루고 작은 것은 작게 이루어 事物사물마다 이루지 않음이 없음이다. ‘通통’은 通達통달함이고, 晝夜주야의 道도는 幽明유명과 死生사생과 鬼神귀신이다. |
神旡方, 言聖人之神明不測, 旡有方所也, |
“神신은 一定일정한 方所방소가 없다”는 聖人성인의 헤아릴 수 없는 神신명함이 方所방소가 없음을 말하고, |
易旡體, 言易道之變化不窮, 旡有形體也, 此言聖人之至命也. |
“易역은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다”는 易道역도의 다함이 없는 變化변화가 形體형체가 없음을 말하니, 이는 聖人성인의 ‘天命천명을 다함[至命지명]’을 말한 것이다. |
【이진상(李震相) 『역학관규(易學管窺)』】 |
第四章註 升降三萬里. 第四章제4장 註釋주석의 ‘三萬里삼만리를 오르내린다’. |
地道本静, 一定不易, 而但包在天中, 天依於形, 地附於氣. |
땅의 道도는 本來본래 고요하여 一定일정하게 바뀌지 않지만 하늘의 가운데 쌓여있으니, 하늘은 形體형체에 依支의지하고 땅은 氣運기운에 붙어 있다. |
天氣之有升降, 而地亦與之升降. 夏至地下游萬五千里, 而上畔與天中平, |
하늘의 氣運기운에는 오르내림이 있어서 땅도 더불어 오르내린다. 夏至하지에는 땅이 一萬일만 五千里오천리 아래에 떠 있어서 윗-部分부분이 하늘의 中央중앙과 水平수평이 되니 |
則黃道高, 而日極長矣, 冬至地上游萬五千里, 而下畔與天中平, 則黃道低, 而日極短矣. |
黃道황도가 높아져 해가 至極지극히 길며, 冬至동지에는 땅이 一萬일만 五千里오천리 위에 떠 있어서 아래 部分부분이 하늘의 中央중앙과 水平수평이 되니 黃道황도가 낮아져 해가 至極지극히 짧다. |
春秋分地正當天中, 故日亦中也. 四游升降之說, 自古相傳, |
春分춘분과 秋分추분에는 땅이 바로 하늘의 中央중앙에 該當해당하므로 해가 또한 中央중앙이다. 四方사방으로 돌아다녀 오르내린다는 說설은 例예로부터 서로 傳전해졌고, |
朱子亦曰, 恐有是理, 或疑晝夜長短, 由日道之高下, 不須說地之升降. |
朱子주자도 “이러한 理致이치가 있는 듯하다”고 하였는데, 어떤 사람은 “낮과 밤의 길고 짧음은 黃道황도의 높고 낮음에 起因기인하는 것이기에 땅의 오르내림은 말할 必要필요가 없다”고 疑心의심하였다. |
然日道之有高下, 果不由於黃進之低昂耶. 當更詳之. |
그러나 黃道황도에 높고 낮음이 있는 것은 結局결국 黃道황도의 나아감이 낮아졌다 높아졌다 하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當然당연히 다시 살펴야 할 것이다. |
○ 神旡方而易旡體. 神신은 一定일정한 方所방소가 없고 易역은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다. |
神與易, 不争多了. 在陰在陽至妙, 故謂之神, 能陰能陽至變, 故謂之易. |
神신과 易역은 많음을 다투지 않는다. 陰음에도 있고 陽양에도 있어서 至極지극히 神妙신묘하므로 ‘神신’이라 하고, 陰음이 될 수 있고 陽양이 될 수 있어서 至極지극히 變化변화하므로 ‘易역’이라 한다. |
無方所, 無形體, 畢竟是太極之所爲, 故下文便說一陰一陽之謂道. |
一定일정한 方所방소가 없고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음은 畢竟필경 太極태극이 하는 것이기 때문에 아래 글에서 다시 “한 番번은 陰음이 되고 한 番번은 陽양이 됨을 道도라 한다”[주 151]고 하였다. |
151) 『周易주역‧繫辭傳계사전』 |
【이병헌(李炳憲) 『역경금문고통론(易經今文考通論)』】 |
京曰, 準等也, 彌遍, 綸知也. |
京房경방이 말하였다. “‘準준’은 同等동등함이며, ‘彌미’는 두루함이고 ‘綸륜’은 主管주관함이다.” |
虞曰, 凖同也. 綸絡, 謂包綸萬物. 以言乎天地之間, 則備矣. |
虞飜우번이 말하였다. “‘準준’은 같음이다. ‘綸륜’은 잡아맴이니, 萬物만물을 包括포괄하여 잡아맴을 말한다. 이를 天地천지의 사이에서 말한다면 갖추어질 것이다.” |
荀曰, 陰升之陽, 則成天之文, 陽降之陰, 則成地之理. |
荀爽순상이 말하였다. “陰음이 上昇상승한 陽양이니 하늘의 文章문장을 이루고, 陽양이 下降하강한 陰음이니 땅의 理致이치를 이룬다.” |
宋曰, 說始銳反, 舎也. 緯筮類. |
宋衷송충이 말하였다. “‘說세’는 始시와 銳예의 反切반절이니, 陰음이 ‘舍사’이다. ‘緯위’는 占점의 類류이다. |
* 緯씨 위: 1. 씨, 씨줄 2. 豫言書예언서 3. 현, 樂器악기의 줄 4. 가로 5. 짜다, 만들다 6. 묶다 7. 構想구상하다 8. 다스리다, 主管주관하다 |
* 筮점대 서: 1. 占점대. 아주 옛날에는 비수리를 썼으나, 뒷날에는 댓개비를 썼음. 2. 占점을 치다. 占점대로 점을 침. |
비수리(夜關門야관문) | 댓개비(算산가지로 사용) |
占점을 칠때 아주 옛날에는 비수리를 썼으나, 뒷날에는 댓개비(대를 쪼개 가늘게 깎은 오리)를 썼음. * 夜關門야관문: 콩-科과에 屬속한 비수리의 生藥名생약명. 地上部지상부를 藥用약용하며 韓方한방에서는 性機能성기능을 改善개선하는 데 쓴다. |
謀[주 152]曰, 精氣謂七八, 遊魂謂九六. |
鄭玄정현이 말하였다. “精氣정기는 七칠과 八팔을 말하고, 遊魂유혼은 九구와 六육을 말한다.” |
152) ‘謀모’는 鄭玄정현임. |
鄭曰, 遊魂, 謂之鬼物終所歸, 精氣, 謂之神物生所信也. |
鄭玄정현이 말하였다. “遊魂유혼은 鬼物귀물이 끝마침에 돌아가는 바를 말하고, 精氣정기는 神物신물이 태어남에 依支의지하는 바를 말한다.” |
本義謂, 安土, 隨處皆安. |
『本義본의』에서 말하였다. “‘자리에 便安편안함’은 곳마다 모두 便安편안함이다.” |
鄭曰, 範法也. 鄭玄정현이 말하였다. “‘範범’은 本본받음이다. |
荀九家曰, 圍者周也. 荀爽순상이 『九家易구가역』에서 말하였다. “‘圍위’는 두루함이다. |
干[주 153]曰, 言神之鼓萬物, 無常方, 易之應變化, 無定體也. |
干寶간보가 말하였다. “神신이 萬物만물을 鼓舞고무시킴이 一定일정한 方所방소가 없고, 易역이 變化변화에 呼應호응함이 一定일정한 몸―體체가 없음을 말한다.” |
153) 干간:경학자료집성DB와 影印本영인본에는 ‘于우’로 되어 있으나, 文脈문맥을 살펴서 ‘干간’으로 바로잡았다. |
* 出處: daumNaverGoogle바이두한국주역대전(韓國周易大全)DB한국경학자료시스템 등 |
** 주역대전 > 십익 > 계사상전:제4장 총 5건의 硏究연구성과가 있습니다. http://waks.aks.ac.kr/rsh/dir/rdirItem.aspx?rptID=AKS-2012-EAZ-2101_BOOK&rshID=AKS-2012-EAZ-2101&dirRsh=주역대전$십익$계사상전:제4장:편명$繫辭上傳:제4장(第四章): |
4.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4장(第四章)_4절 http://waks.aks.ac.kr/rsh/dir/rdirItem.aspx?rptID=AKS-2012-EAZ-2101_BOOK&rshID=AKS-2012-EAZ-2101&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4장%3a편명%24繫辭上傳:제4장(第四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69_004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4장(第四章)_5절
p.259 【經文】 =====
右第四章
右, 第四章.
右는 第四章이라
履霜이상은 第四章제4장이다.
中國大全
p.259 【本義】 =====
此章言易道之大聖人用之如此
此章, 言易道之大, 聖人用之如此.
此章은 言易道之大를 聖人用之如此라
이 章장은 易역의 道도가 큼과 聖人성인이 使用사용하기를 이와 같이 함을 말하였다.
韓國大全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
右第四章. 此章, 言易道之大與天地凖, 而聖人用易, 亦與天地同也. |
以上이상은 第四章제4장이다. 이 章장은 易道역도가 커서 天地천지와 나란하고, 聖人성인이 易역을 쓰는 것도 天地천지와 같음을 말하였다. |
【이병헌(李炳憲) 『역경금문고통론(易經今文考通論)』】 |
此章言易之道, 而繼言聖人體易之道又如此. 後章倣此. 〈右四章〉 |
이 章장은 易역의 道도를 말하고, 이어서 聖人성인이 易역의 道도를 體得체득함이 또한 이와 같음을 말했다. 뒤의 章장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以上이상은 4章장이다〉 |
* 出處: daumNaverGoogle바이두한국주역대전(韓國周易大全)DB한국경학자료시스템 등 |
** 주역대전 > 십익 > 계사상전:제4장 총 5건의 硏究연구성과가 있습니다. http://waks.aks.ac.kr/rsh/dir/rdirItem.aspx?rptID=AKS-2012-EAZ-2101_BOOK&rshID=AKS-2012-EAZ-2101&dirRsh=주역대전$십익$계사상전:제4장:편명$繫辭上傳:제4장(第四章): |
5.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4장(第四章)_5절 http://waks.aks.ac.kr/rsh/dir/rdirItem.aspx?rptID=AKS-2012-EAZ-2101_BOOK&rshID=AKS-2012-EAZ-2101&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4장%3a편명%24繫辭上傳:제4장(第四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69_005 |
*****(2024.03.17.)
- DAUM 뉴스 실시간 국제 뉴스 https://news.daum.net/foreign/#1 |
국제 뉴스 서울신문/‘반미 우군’ 모으는 시진핑…아프리카 앙골라와 ‘전면적 동반자 관계’ 격상 한국일보/법정서 계속 통하는 트럼프 ‘재판 지연’ 전략... 특검 사임, 공판 연기 이데일리/“빚 갚기도 어려운데”…유럽, 올해 나토 국방비 81조 지출해야 연합뉴스/"갱단, 아이티 수도 80% 장악"…미국, 자국민 대피 전세기 파견 뉴시스/바이든 캠페인, 2000억원 현금 축적…지난달만 700억원 모아 중앙일보/81세 바이든, 77세 트럼프에 전한 말…'고령 리스크' 의식하나 한국경제/"투표소에 불 질렀다"…푸틴 종신집권에 '분노 폭발' 한국경제/"일본에 '이 주사' 맞으러 가요"…한국인들 우르르 몰려갔다 세계일보/‘현대판 차르’ 푸틴, 스탈린 넘어 ‘30년 집권’ 확실시 한국일보/'즉각 종전' 요구 철회한 하마스… 가자지구 협상 돌파구 찾나 매일경제/복지·예산 다 줄였다 … 100일새 10년치 개혁 몰아쳐 뉴스1/아프가니스탄서 오토바이와 버스, 유조차 충돌로 21명 사망 강원도민일보/춘천시 의암피암1터널 인근 싱크홀 복구 완료 동아일보/“美 입국땐 서양브랜드 입어라”…미중갈등에 中 유학생까지 줄었다 한겨레/러시아 대선 종료…점령지 투표 강행에 우크라 공습 맞불 문화일보/이번 주 세계 미리 보기…본선 돌입하는 바이든·트럼프, 미 연준 FOMC 뉴스1/美부통령 후보 "저출산 '한국의 길' 걷고 있어…사회 붕괴 온다" 국민일보/‘조회수 2억회’…마크롱 인터뷰한 27세 유튜버는 누구 서울신문/한국인 중국에 대한 비호감, 20년 만에 왜 49% 증가했나 프레시안/"지하철 범죄 탓 뉴욕 떠난다"…주민 불안 확산 |
18:05뉴시스/마크롱 "언젠가는 우크라내 서방 지상작전 필요"…파병론 거듭 피력 18:00한국일보/'즉각 종전' 요구 철회한 하마스… 가자지구 협상 돌파구 찾나 17:53머니투데이/스스로 총 쐈다는 보잉 내부고발자... 사고 전 "내손으로 안죽어, 믿지마" 17:52이데일리/21세기 차르 ‘더 강한 푸틴’ 온다 17:50서울경제/BOJ, YCC·ETF 매입 중단 유력···국채 매입은 유지할 듯 17:48매일경제/5선 푸틴 '차르 대관식' 나발니 지지자들 시위 17:48매일경제/中 반색 … 작년 결혼 12.3% 늘어 17:48매일경제/가자 휴전협상 곧 재개 … 이스라엘, 대표단 파견 17:45아시아경제/중국, 생성형 AI 규제 강화…"'AI 생성' 또는 '허구' 표시해야" 17:45매일경제/"빈곤탈출 해법 저축·근면뿐" 밀레이의 포퓰리즘 톱질 17:44연합뉴스/다저스-키움전 본 김하성 "2안타 친 송성문, MLB 와야겠는데요?" 17:42서울신문/“노브라 산책” 선정적인 영상만 올린다…수상한 日유튜버에 ‘발칵’ 17:41뉴스1/아프가니스탄서 오토바이와 버스, 유조차 충돌로 21명 사망 17:41연합뉴스/바이든, 트럼프 겨냥 "너무 늙고 정신적으로 부적합" 17:40한겨레/일본, ‘금리 있는 세계’로 가나…마이너스 금리 해제할 듯 17:33연합뉴스/러 대선 마지막 날 모스크바에도 우크라 드론 공격 시도 17:28연합뉴스TV/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4차 해양방류 완료…총 3만1천200t 처분 17:28서울신문/“라멘에 이쑤시개 500개 넣었다”…日라멘 가게의 사연 17:24연합뉴스/中 "생성형 AI 이용 인터넷 콘텐츠, 'AI 생성' 표시 달아야" |
12:29뉴스1/국방부 당국자 "폴란드 방산수출에 韓시중은행 10조원 대출 지원" 12:11연합뉴스/"일본인 2명, 美 달착륙 계획 참가해 2028년 이후 달 밟는다" 12:10YTN/美 잇단 총격사건...경찰관 등 5명 사망 12:04경향신문/‘브라질 트럼프’ 보우소나루, ‘대선 불복 폭동’ 지시한 정황 나왔다 12:03노컷뉴스/美부통령 후보의 '저출산' 경고…"한국처럼 될 수 있어" 12:02뉴시스/이스라엘, 시리아 군사기지 등 공습…올들어 24번째 공격 12:00연합뉴스/챗GPT의 산실 오픈AI 본사를 가다…회색건물에 숨겨진 혁신 모태 12:00연합뉴스/'오픈AI를 잡아라' 7분간 피칭·송곳 질문…올트먼 '깜짝' 등장 11:54SBS/3명 살해 총격범…경찰 저지선 밖에서 체포 11:51매일경제/“투표소 불 지르고 녹색액체 끼얹고”…대선 진행중인 ‘이 나라’ 상황은 11:47경향신문/고위 당국자, 삼성 반도체 보조금 “기대 부응”…대중 반도체 수출통제 협의는 ‘NCND’ 11:34뉴시스/니제르, 유럽연합 이어 미군도 철수 요구…"지하디스트 확산 우려" 11:30연합뉴스/통영 어선 전복에 사망한 인니인 유해 운구…"실종자 수색 속도" 11:25데일리안/일본 후쿠시마현서 5.4 규모 지진…"쓰나미 우려 없어" 11:22경향신문/‘유권자 10억’ 인도 총선 일정 확정…노골적 힌두 국수주의 모디 3연임 가능성↑ 11:21연합뉴스/中, 자국 영토주장·주권 해칠 수 있는 외국어 지명 사용 금지 11:21문화일보/이제 국민 과일은 ‘딸기’…金사과로 반사이익 11:16연합뉴스TV/"가자지구 휴전 논의 카타르서 재개 전망" 11:13연합뉴스TV/일본 후쿠시마 앞바다 5.4 지진…"쓰나미 없어" 11:09머니투데이/"시진핑, 듣고 있나"… 트럼프 "멕시코산 중국 차에 100% 관세" |
05:00중앙일보/무역전쟁 비켜간 '2분 드라마'…미국 돈 쓸어가는 중국발 숏폼 05:00연합뉴스/"나도 아름다운 여인에 흔들린 적 있어" 교황의 첫 회고록 04:41뉴시스/한국·쿠바 수교 이후 주쿠바 北대사 귀임…쿠바 대통령 접견 04:37YTN/우크라 접경지역 공격에 러 '보복' ..."美 공작 시도" 04:34YTN/"바이든·트럼프 모두 싫어"...이중혐오자 지지가 '변수' 04:20뉴시스/백악관, '애틀랜타 총격' 3주기 성명…"反아시아·젠더폭력 맞서야" 04:04MBC/로이터 "스페이스X, 미국 정부와 2조원 계약‥스파이 위성 확장" 03:55연합뉴스/한·쿠바 전격 수교 영향?…북한, 쿠바대사 교체 03:52MBC/'EU 의장국' 벨기에 총리 "이스라엘, 굶주림을 무기 삼지 말라" 03:45연합뉴스/테슬라, 북미·유럽서 모델Y 가격 100만∼300만원 인상 03:40MBC/미국 필라델피아 교외서 총격 사건으로 3명 사망 03:34연합뉴스/"평생 잊지 못할 추억"…브라질서 '나의 한국여행기' 전시 개막 03:33YTN/로이터 "스페이스X, 美 정부와 스파이위성 구축 2조 원 계약" 03:31MBC/백악관, 애틀랜타 총격 3주기 성명‥"아시아계 혐오 범죄 근절" 03:22뉴시스/러 "우크라, 자포리자 투표소 인근에 드론 포탄 공격" 03:02연합뉴스/美 필라델피아 교외서 총격 사건으로 3명 사망 02:44연합뉴스/'EU 의장국' 벨기에 총리 "이스라엘, 굶주림을 무기삼아선 안돼" 02:44연합뉴스/러 "우크라, 자포리자 투표소 드론 공격…대선 영향 목적" 02:37뉴시스/"트럼프, '중도하차' 헤일리와 여전히 접촉 없어"[2024美대선] 02:22연합뉴스/"머스크의 스페이스X, 스파이 위성 확장…美정부와 2조원 계약" |
첫댓글
방화·액체 테러로 얼룩진 러 대선..
.'투표소 시위' 경계 강화
/ YTN
https://www.youtube.com/watch?v=kwWDhZcXeIc
PLAY
방위군 1천 명 풀었지만…
뉴욕 지하철서 또 총격전
| 뉴스A
https://www.youtube.com/watch?v=0S9qNsMz_Us
PLAY
“오늘 사냥감은 너” 해안가에 매복 중인 악어…
일촉즉발
[잇슈 SNS] / KBS 2024.03.13.
https://www.youtube.com/watch?v=LkCjQL4GlIo
PLAY
'감옥 섬' 만든 부켈레…
아이티 갱단, 맡겨만 다오?
|지금 이 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iXSV5frbNpg
PLAY
[예고] 두 얼굴의 태권도 관장 라이언
유, 호주 한인 일가족 살인 사건의 진실 #그것이알고싶다
#UnansweredQuestions | SBSNOW
https://www.youtube.com/watch?v=Kd8bEDz1LFM
PLAY
1조 원대 소송 중에 '또'…
풀리지 않는 의문 속 '사망'
/ SBS / 모아보는 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iZGOIo8jDqw
PLAY
"北 붕괴 위험시 中, 전면 침공"...
美서 나온 섬뜩한 시나리오
[지금이뉴스] / YTN
https://www.youtube.com/watch?v=Ksk170a_lAs
PLAY
기시다 “전투기 수출이 국익”…
무기 수출 논의 본궤도
/ KBS 2024.03.08.
https://www.youtube.com/watch?v=1KWb5NNtfcw
PLAY
통행료 3배 올려놓고…
숙박비 냈는데 또 돈 내라?
/ SBS / 모아보는 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6pn8WVPIXeM
PLAY
미국 팝스타 올리비아 로드리고,
여성 낙태권 단체와 연대해 콘서트서 피임도구 배포…
논란 끝에 중단
https://www.youtube.com/watch?v=AZ2w9rHtPA4
PLAY
"딱 30cm 옆에 있었는데?!"
미공개화면속 손흥민 죽이기 뜻밖의 진범 밝혀지자
토트넘 감독 "XX 선발제외로 안끝날것" 영국 발칵
https://www.youtube.com/watch?v=PUcYZG93Rqc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