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9:00 – 9:40 | 일정 구상 및 회의 준비 | 보라매동 실습생 | 활동 일정 수정 회의 내용 정리 | 일정표 수정 |
9:40 – 12:00 | 보라매동 주민센터 방문 | 보라매동 실습생 | 동장님 만남 | 경청, 활동 계획 전달 |
12:00 – 13:00 | 점심시간 | - | - | - |
13:00 – 18:00 | 기획단 회의 | 보라매동 실습생 | 명함 만들기 새해 카드 만들기 QR 만들기 | 안건 전달, 모임 진행 |
일찍 일어나 동장님께 새해 인사하고 칭찬받는 기특한 은성이랑 율이
복지관에 놀러와서 가은선생님이랑 피구하고 컴퓨터 실에 숨어있는 아이들 ㅎㅎ
강우와 선우가 만들어온 빵과 설에 민주가 선생님들 줄려고 시골에서 가져온 스티커! 고맙다 애들아 ㅎㅎ
새해 카드를 역할을 정해서 만다는 귀여운 남매와 서로 아이디어 공유하면서 만드는 서진이와 민주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 일정 구상 및 회의 준비 (9:00 – 9:40)
프로그램에 많은 변화가 있어 일정표를 수정하고 계획을 구체화했습니다. 아이들과 이야기한 위주로 일정표를 다시 정리하고 오늘 회의 때 해야 할 것을 정하며 아이들과 만날 준비를 했습니다.
- 보라매동 주민센터 방문 (9:40 – 12:00)
기획단 아이들과 만나 보라매동 주민센터로 이동하였습니다. 은성, 율(중2)이가 미리 공유공간에 도착하여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함께 만나 10시에 보라매동 주민센터로 가서 동장님을 만나고 우리의 활동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이야기하며 새해 카드를 전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아이들이 직접 만든 새해 카드를 받고 동장님이 기뻐하시는 모습을 보이며 아이들에게 덕담과 많은 이야기를 해주시며 사진 찍고 마무리하였습니다.
- 기획단 회의 (13:00 – 18:00)
기획단 아이들과 9번째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총 8명의 아이들이 와서 바로 회의를 진행하였고, 오늘 할 일이 많아 역할을 나누며 각자 해야 하는 일을 정해 3팀으로 나누어서 “새해 카드 만들기”, “QR 만들기”, “명함 만들기” 등 3가지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서로 하고 싶은 것을 고르며 활동하니 더욱 수월하게 진행되었습니다. 다음 회의 때 명함을 두꺼운 종이에 붙여 전단지처럼 나눠주고, 홍보지를 붙이자는 이야기를 하며 회의를 마쳤습니다.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 보라매동장님의 아이들을 생각하는 마음 “귀하다 애들아”
아이들과 보라매동 공유공간에서 만나 보라매동 주민센터로 이동하였습니다. 이동하면서 아이들이 직접 만든 새해 카드를 가져가며 “이거 제가 만들었어요” 아이들은 보라매동팀 선생님들에게 자랑했습니다. 아이들은 자기들이 만든 새해 카드가 마음에 들고 의미 있는 활동을 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게 뿌듯했습니다. 당사자가 주인 되고 지역사회와 복지를 이루어 더불어 살게 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깨닫는 시간이었습니다. 도착 후 아이들과 동장님을 만나 카드를 전달하며 이번 겨울에 하는 활동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동장님은 “주민들과 아이들이 너무 좋아하겠어요. 재밌어 보이네요”라며 활동을 지지해 주셨습니다. 이후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하며 일찍 온 은성이와 율(중2)이를 기특해하셨습니다. “너네는 동사무소 올려고 일찍 일어나서 나온거야?”, “네!”라고 답하며 아이들은 자랑스럽게 이야기하였습니다. 참여하고 함께하는 것을 좋아하는 아이들은 동장님의 말 한마디에 힘을 얻는 모습을 보며 아이들에게 자랑스럽다고 칭찬해주자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동장님과 이야기를 통해 아이들이 얼마나 귀한지에 대해 깨달았습니다. “원래 보라매동에서 200~300명 정도의 출생신고가 들어오는데 작년엔 80명 신고했어요. 그만큼 아이들이 엄청 줄어들고 있어요.” 이 이야기를 듣고 아이들이 진짜 많이 줄어들고 있고, 여기 나와서 활동을 함께하는 아이들이 얼마나 귀한지 깨닫는 시간이었습니다. 이후 동장님은 아이들에게 “귀하다. 애들아”라며 따뜻한 말을 해주시고 아이들은 부끄러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계속 동장님을 온 아이들을 위해 “잠 많이 자야한다, 이런 활동 하니 기특하다”라며 계속 칭찬을 해주셨고 아이들과 동장님이 소통하며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지난번에도 계속 왔어서 얼굴을 기억하고 계셨지만 아이들을 만나며 항상 좋아하고 기뻐하시는 동장님과 나온 아이들이 만나며 사회사업은 이런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이 떠올랐습니다. 당사자가 직접 만들어서 지역사회의 전달하는 모습들이 복지 요결에 나온 사회사업 철학처럼 “보이지 않게 합니다, 사회 속에 흐르게 합니다, 바탕이 살게 합니다”라는 이야기가 떠오르며 이러한 것이 지식과 실천이 공존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잘하고 있는지 계속 의심이 들고 어려울 때, 배웠던 지식과 경험을 함께 두고 생각하니 더욱 어려움 없이 진행하고 있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렇게 복지 요결과 나의 경험 그리고 지금 활동하며 배우는 모든 것들이 모여 하나의 가치관이 되고 그 가치관으로 사회사업을 이끌어 나가야겠다는 다짐을 하였습니다.
- 각자의 강점이 돋보이던 기획단 회의 “저는 명함 만들기 할래요.”
아이들과 공유공간에 모여 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도착하니 아이들은 “설 명절 잘 보내고 오셨어요? 세배 할테니 세뱃돈 주세요”, “설 때 못만나서 아쉬웠어요”라며 만남과 동시에 많은 표현을 하였습니다. 아이들에게는 설 명절이 좋은 시간과 동시에 만나지 못해 아쉬운 시간으로 남았던 것 같아 아이들의 정이 느껴지는 시간이었습니다. 이후 아이들과 회의를 진행하였고, 아이들에게 오늘 해야 할 안건들과 나누어야 할 이야기를 하니 “활동이 3개니까 3팀으로 나눠서 빨리 끝내버릴까요?”라며 효율적인 시간 분배를 제안하였습니다. 이후 아이들은 ‘새해 카드 만들기’, ‘QR코드 만들기’, ‘명함 만들기’ 3가지를 각자 자신이 자신 있어 하는 것으로 골라 팀을 구성하였습니다. “저는 명함 만들기 할래요”, “저는 새해 카드 만들고 싶어요”, “그럼 저는 QR코드 만들래요” 아이들은 서로 하고 싶은 것을 말하고 이후 겹치는 활동들은 가위바위보를 통해 서로 합의하며 분배하였습니다. 이 모습을 보고 아이들의 자주성이 점점 들어나고 있고, 선생님들이 없이 아이들끼리 활동을 하는 것이 더 많아지고 서로에 대한 관계가 생기는 것을 보았습니다. 또 각자 잘하는 강점을 살려 하고 싶은 것을 하며 지역 주민들과 함께 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들이 보였습니다. 이후 나눈 팀끼리 이야기하고 찾아보며 서로 협력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내가 글 쓸테니 종이 접어줄 수 있을까?”, “아이디어 내면 내가 쓸게 어떻게 꾸밀까?”라며 아이들끼리 묻고, 의논하고, 부탁하며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사회 사업가가 해야 할 부분까지 서로 이야기하며 활동하는 모습을 보며 이렇게 하는 것이 사회사업이라는 것을 깨닫고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이후 학원 시간이 겹쳐 일찍 가야 하는 아이들은 가면서 “저 가면 또 놀잖아요. 맨날 저가면 놀고 속상해요”라며 아쉬움을 표현했습니다. 아이들은 아직 활동 회의와 노는 것 두 가지를 나누어 생각하고 빨리 끝내고 놀자는 생각을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후 활동하면서도 아이들에게 활동 회의도 하나의 ‘놀이’라는 것을 이야기하며 그것도 놀이처럼 만들 수 있게 노력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 보완점
- 회의를 진행하며 아이들에게 너무 많은 과업을 요구하는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갈수록 마음이 급해져서 아이들에게 부탁하는 일이 많아지는데 계획을 더 확실히 세워서 아이들이 힘들어하지 않을 양의 과업을 함께 의논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또 아이들에게 우리가 준비하는 활동도 하나의 숙제가 아닌 놀이로 생각해서 준비하면서 즐거움을 느끼고 이후 함께하는 활동에도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해보자는 생각도 하였습니다. 다시 하게 된다면 여유를 가지고 아이들과 소통한 후 다음 계획까지 함께 생각하여 정할 수 있게 노력할 것입니다.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 아이들이 회의를 노는 것으로 생각하게 만들 방법은 따로 없을까요? 활동을 구체화 하면서 함께 준비한 오징어 게임을 할 때에는 가능하지만 새해 카드 만들기나 포스터 만들기, 홍보는 아이들이 회의로 생각하고 놀이로 생각하지 않고 즐거워하지 않는 것 같아 고민입니다!
첫댓글 출생신고를 한 아이들을 숫자로 보니 정말 아이들이 줄어들고 있음이 체감되네요.
더욱 아이들과 함께하는 만남을 귀하게 생각해야겠어요 !!
선생님의 일지와 기관에 방문한 아이들을 보면 항상 아이들이 활동을 즐기고 있다는 생각이 저는 드는 것 같아요 ~
보라매동 화이팅! 지환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