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실습 일정
시 간 | 프로그램 | 대 상 자 | 내 용 | 실습생 역할 |
9:00~09:40 | 기획단 활동 준비 | 보라매동 실습생 | - 일정표 재구상 - 오늘의 기획단 활동 내용 정리 | 준비, 기록 |
09:40~12:00 | 보라매동 주민센터 방문 | 보라매동 실습생 | - 새해 카드 전달 - 동장님과의 만남 | 경청, 공유 |
12:00~13:00 | 점심식사 | - | - | - |
13:00~18:00 | 당사자 만남 | 당사자 | - 명함 제작 - 새해 카드 제작 (꽃집 사장님, 마을 선생님) - QR 코드 제작 | 공유, 전달, 모임 진행, |
2. 실습 일정 세부 내용
보라매동 주민센터 방문 (09:40~12:00)
: 사전에 희망하는 기획단 아이들과 함께 보라매동 주민센터에 방문하기로 했었습니다. 은성, 율(중2)이 약속 시간에 맞춰 공유공간에 도착하여 선생님들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보라매동팀 선생님들과 실습생 선생님들과 합류하여 보라매동 주민센터로 이동하였습니다. 주민센터에서 기획단 아이들이 동장님과 주민센터 직원분들을 위해 만든 새해 카드를 전달하고 동장님과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활동 첫 마을 인사, 동장님과 직원분들께 전하는 새해 카드
밀가루도 은성이랑 율(중2)가 직접 옮겼다는 비하인드 스토리ㅎㅎ
기획단 활동 (13:00~18:00)
: 오늘의 활동은 작업량이 많고 노트북 작업, 인터넷 사용 등 한 개의 기계로 다수의 인원이 활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오늘 온 8명의 기획단 아이들이 ‘새해 카드 제작’, ‘명함 제작’, ‘QR 코드 제작’ 세 개의 팀으로 나누어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팀을 나눌 때도 자신이 희망하는 활동에 참여하고 해당 활동에 인원이 불필요하게 많아 보이면 아이들끼리 이야기를 통해 양보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명함 제작팀 : "오징어게임이지만 크리스마스 넣어야 해!"
벌써 세 번째! 이제는 Pro 새해 카드 제작팀입니다 ^_^
설거지하고 청소기 돌리고~~ 강우는 청소기 처음 돌려봤대요~~~~
3. 실습 일정 평가
1) 배운 점
보라매동 주민센터 방문, 동장님과의 만남 “그럼 너희가 기획단 임원진인거네?”
: 기획단 아이들과 처음으로 나가는 마을 인사였습니다. 연휴 직후 오전 시간대라 아이들이 일어나기 힘들었는지 기획단 아이들이 전부 참여하지 못한 것이 아쉬웠습니다. 그러나 동장님께서는 은성이와 율(중2)이가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주민센터에 방문한 것에 대해 “그럼 너희가 기획단 임원진인 거네? 원래 이런 대표하는 자리에는 임원진이 오는 거야”라고 하시며 두 명의 아이들을 칭찬해주셨습니다. 은성이도 “저 일어나려고 알람 다섯 개 맞춰놨어요”라며 자랑스럽게 화답했습니다. 이를 보며 내가 이 아이들을 칭찬하고 자랑스러워할수록 아이들 또한, 그 마음을 알고 화답하며, 이 활동을 더욱 즐겁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았습니다.
우리 기획단의 임원진이 된 아이들은 기획단이 다 같이 만들었던 동장님과 주민센터 직원분들께 보내는 새해 카드를 순차적으로 전달하였습니다. 동장님께서는 “올해도 써줬구나. 나 매번 써서 준 것들 다 모아뒀잖아” 하시며 반가워하셨습니다. 그 틈에 직원분들께 작성한 새해 카드를 보며 “이거는 처음인데! 어머, 너무 좋다. 이거는 직원들이랑 다 돌려보고 입구에 붙여놓을 거야”라며 너무 좋아하셨습니다. ‘주민센터’라는 공간에서 동장님에서 나아가 직원분들과의 교류의 계기를 마련한 것이 이웃과 인정을 더욱 살릴 수 있는 되는 것 아닌가, 이런 식으로 넓혀나간다면 인간적인 사회 만들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동장님과 이야기 도중 우리 ‘2월의 크리스마스’ 활동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동장님께서는 “너무 재밌겠다. 선생님들이 이런 것도 할 수 있게 기획 해주고 좋겠다”라는 말씀을 하시니 이때 은성이와 율(중2)이가 바로 “저희가 다 해요!”, “저희가 기획해요”라며 말하는 것이 나와 지환 선생님이 여태 진행해온 활동 방식이 아이들의 자주성을 헤치지 않고 주인 노릇 할 수 있게 진행되었다고 확인받는 것 같아 앞으로도 아이들이 자신들이 활동을 기획하고 있다는 것을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기획단 활동 “근데 율(중3)이 형은 우리보다 먼저 원했으니까 빼주자.”
: 오랜만에 아이들을 보았습니다. 연휴를 보내고 온 아이들은 저희를 보자마자 “선생님 세배할 테니까 세뱃돈 주세요!”, “설에는 복지관 못 와서 아쉬워요”, “너무 심심했어요”, “쌤 배 안 고프세요? 빵 만들어왔는데” 등 다양한 언어로 많은 표현을 합니다. 저 또한 아이들에게 설 연휴 잘 보내고 왔는지 질문을 했습니다. “차멀미 나기는 했는데 잘 갔다 왔어요!”, “세뱃돈 딱 18만 원 받았어요!” 등 자신들이 보낸 연휴에 관한 하나의 질문에 대해 한참 이야기합니다. 서진이는 나아가 “근데 쌤 못 봐서 아쉬웠어요. 제 생일 이제 곧인데 제 생일도 축하해주실 거죠?”라고도 이야기했습니다. 사실 긴 연휴에 아이들이 저에게 다시 낯을 가리는 것은 아닐까 걱정했는데 오히려 아이들과 2주간 서로 간의 정이 많이 쌓였다는 것을 실감한 날이었습니다.
평소보다 늦어진 활동 시작시각, 평소보다 많은 안건 등 때문에 괜히 제 마음이 급해졌습니다. 아이들에게 활동 별로 팀을 나눌 것을 제안했고 아이들은 서로 자신이 희망하는 활동을 스스로 골랐습니다. 이때 ‘QR 코드 제작’이 필요 인원보다 희망 인원이 많았는데 아이들끼리 가위바위보를 통해 서로 합의하고 팀 인원을 나누었습니다. 강우는 가위바위보 전, “근데 율(중3)이 형은 우리보다 먼저 원했으니까 빼주자. 솔직히 율(중3)이 형 한다고 했는데 우리가 끼어 들은 거잖아”라며 제안했고, 선우와 주아는 수긍하였습니다. 아이들끼리 스스로 팀을 구성한 것은 물론 이전보다 조금 더 양보와 배려하는 모습을 보며, 복지요결을 공부하고 활동 중에는 당사자의 자주성을 살려야 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지만, 아이들은 자주성 이외에도 수많은 요소가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아이들을 좀 더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느꼈습니다.
2) 보완점
- 세 개의 팀으로 나누어 활동을 진행하다 보니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한 것은 좋았으나 이곳저곳에서 질문이 쏟아져나와 개인적으로는 제일 정신없던 날이었습니다. 앞으로는 팀을 나누더라도 모두가 한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하고 아이들의 질문에 대비하여 좀 더 매끄러운 활동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3) 슈퍼비전 요청 사항
- 오늘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