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한반도관속식물목록’ 이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식물 목록들 사이에 서로 다른 학명과 국명을 채용하고 있어 발생되는 혼란을 줄이고자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한반도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여 공개하게 되었습니다. 본 식물 목록은 속식물지(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1), 국가생물종목록(국립생물자원관)2), 국가식물표준목록(국립수목원)3)의 학명과 국명을 기초로 작성되었으며, 우리나라 자생식물 4,420분류군과 자생은 아니지만 야생에 퍼진 귀화식물과 흔히 심는 식재종을 포함한 외래종 972분류군의 학명과 국명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식물 목록에는 조사·연구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법정관리대상식물 및 희귀식물 등 10종류의 특정한 식물목록4)을 따로 표시함으로써 이용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였습니다.
목(order)의 배열순서, 과(family), 속(genus)의 구성은 APW(Angiosperm Phylogeny Website, version 14)5)에서 제시하는 진화적 유연관계에 따랐습니다. 단, APW에서 목 상위 분류체계는 기존의 계층적 구조를 따르지 않으므로, 본 식물 목록에서는 석송식물, 양치식물, 나자식물, 피자식물로 구분하였습니다. 또한 피자식물 내에서는 원시쌍자엽식물-진정쌍자엽식물-붕어마름목-단자엽 식물 순서로 나열하였고, 과 이하 분류군은 라틴명의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었습니다.
종 및 종 이하 분류군 학명은 IPNI(Th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6), WCSP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7), Tropicos8), The Plant List9)를 참고하여 오탈자를 수정하고, 명명자의 표기는 IPNI에서 제시하는 명명자 표준형을 따랐습니다. 본 목록에서 정명을 채택함에 있어서 최근 분류학적 연구결과를 반영하고자 하였으나 미처 검토하지 못한 분류군들과 비합법명임에도 불구하고 적합한 학명으로 대체하지 못한 분류군이 있음을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국명은 먼저 발표된 이름, 널리 통용되는 이름을 선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지만, 맞춤법에 맞는 이름, 비속어 배제 등의 원칙을 이보다 우선하여 적용하고자 하였습니다. 현행 맞춤법을 따른 것으로는 난초 이름 끝에 오는 ‘-난’ 또는 ‘-란’을 ‘풍란’, ‘지네발난’ 등으로 표기한 것이나 ‘-족도리(풀)’을 ‘-족두리(풀)’로 표기한 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비속어 이름을 배제한다는 원칙 아래, 비속어로 된 이름은 순화된 이름을 채택하였는데, ‘개불알풀→봄까치꽃(박만규, 1974)', '며느리밑씻개→가시모밀(박만규, 1949)', '소경불알→알더덕(박만규, 1974)', '중대가리나무→구슬꽃나무(이영노, 1996)' 등이 그 예입니다. 다만, 현재의 모든 비속어 이름을 순화하는 데는 연구와 시일이 필요하여 순화하지 못한 것들도 있음을 밝혀 둡니다. 또한, ‘-꼭두서니(선이)’, ‘-방동사니(산이)’처럼 두 이름이 쓰여 혼란을 초래하는 이름은 각각 ‘-꼭두서니’와 ‘-방동사니’로 통일하여 표기하였습니다.
본 식물목록은 많은 식물이름을 담고자 우리나라에서 기록된 식물 5.392분류군의 학명과 국명을 실었습니다. 다만 재배하거나 식재하는 식물과 함께 미소한 차이로 구분되어 학술적으로 다른 의견이 있는 변종과 품종, 과거에 보고되었으나 실체가 명확하지 않은 종들도 포함되어 있으니 목록의 사용에 유의해야 함을 밝혀둡니다.
한편, 일제 청산이라는 차원에서 수정한 학명과 국명도 있습니다. 학계의 최신 연구를 통해 잡종 기원이 각각 다른 나무로 밝혀진 우리나라와 일본산 왕벚나무는 각각 ‘왕벚나무(Prunus nudiflora (Koehne) Koidz.)’와 ‘소메이요시노벚나무(Prunus yedoensis Matsum.)’로 국명과 학명을 정리하였습니다. 그리고, 상록성 참나무에 붙어 있는 이름인 ‘-가시나무’는 일본어 ‘가시(ガシ)’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조선 후기 문헌 등에 가시목(加時木)이 언급된 것으로 보아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보류하였습니다.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 한반도관속식물목록’의 이용과 배포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사용하면서 발견되는 학명의 오류, 학술연구에 의한 수정사항, 불편 사항 등 본 식물목록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시면 목록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가신 길에 엑셀목록도 다운받으세여~~?
지역별 꽃도감도 참여하시믄서 눈이 시원한 식물공부도 해보세요
첫댓글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사발커피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