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ur View on Memory Market
지난주 HP와 델의 전분기(2~4월) 실적을 통해 컨슈머 PC 수요는 저조한 반면, 기업용 PC 수요는 비교적 견조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컨슈머 PC 실적 부진은 2월 인텔 칩셋 오류의 영향이 컸던 것 같고, 태블릿의 확산도 일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반면, 기업용 PC는 그 동안 미뤄왔던 기업들의 PC교체 수요가 작년 말부터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목해야 할 점은 컨슈머 PC의 부진에도 DRAM 고정거래가격은 지난 3월 후반기부터 5월까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비록, PC수요에 대한 기대감은 크지 않으나, DRAM 업체들의 Capex 감소와 일본지진의 영향으로 2분기 및 하반기 DRAM 공급증가율 역시 높지 않은 상황에서 3분기를 앞두고 세트업체들의 재고확보 수요로 고정거래가격의 상승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우리의 반도체 업황에 대한 판단은 지금까지는 적중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HP의 실적전망 하향과 팍스콘의 공장 사고 등 부정적 뉴스 플로우는 반도체 투자심리에 네거티브한 요인으로 작용할 듯.
그렇지만, 메이저 PC 업체들은 백투스쿨 수요에 대해 기대감을 표명하고 있어, 하반기 DRAM 수급은 상반기보다는 점차 나아질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
반도체 가격이 하반기 급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은 반면, 반도체 업체들의 실적이 개선될 가능성은 이보다 훨씬 높다.
아직 국내 반도체 업종의 펀더멘털에는 큰 영향이 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계속해서 긍정적 의견을 유지한다.
4월 BB ratio 0.98 로 3개월 연속 상승
4월 BB ratio는 0.98로 전월 0.95 대비 상승. 수주액은 16억달러 (Y/Y +11%, M/M +1%), 출하액은 16.3억달러 (Y/Y +27%, M/M -2%)를 기록.
3월 수주액 16.2억달러 -> 15.8억달러, 출하액 17억달러 -> 16.6억달러로 소폭 하향 조정.
BB ratio가 1월 0.85를 저점으로 3개월 연속 상승 중.
BB ratio는 반도체 경기의 선행지표로 자주 인용된다는 면에서, BB ratio 상승은 긍정적 소식.

--------------------------------------------------------------------------------------------------
애플 iPad2 생산라인 Foxconn 중국공장 폭발사고 영향
■ 중국, iPad 생산공장 폭발
애플 iPad의 생산지인 중국 청두의 팍스콘 공장에서 폭발 사고 발생.
구체적인 피해규모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Foxconn측은 조사가 완료될 때까지 생산을 연기할 것이라고 발표함.
Wall Street Journal에 따르면, 이번 폭발이 발생한 곳은 제품 생산의 마지막인 Cleaning 단계를 수행하는 Foxconn의 Polishing 공장일 것으로 예상됨.
■ 부정적인 사안이기는 하지만, 그 영향이 critical하지는 않을 것
1. 일단 표면적으로는 반사이익보다는 악재성격이 더 커 보임
- 삼성전자: 갤럭시탭 등 정보통신부문 반사이익 / 반도체부문은 악재.
- 하이닉스: 메모리 공급차질 가능성으로 악재.
2. 중요한 것은 폭발사고에 따른 삼성전자/하이닉스 반도체 매출영향
- 삼성전자 메모리 매출에서 애플이 차지하는 비중은 20%대.
(DRAM내에서의 비중은 15% 정도이나, 낸드 비중이 높아 전체적으로는 20%정도)
- 하이닉스에서 애플이 차지하는 매출비중은 8%전후.
(낸드 비중이 크지 않기 때문)
3. 삼성전자/하이닉스 반도체의 직접적인 매출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
1) 애플의 반도체 수요에서 iPhone의 비중이 iPad보다 크고,
2) 금번 사고로 인해 애플 iPad2 전체 생산의 10~20%정도가 차질을 빚는다고 가정하면,
삼성전자 전체 메모리 매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1~2%, 하이닉스 메모리 매출에 대한 영향은 1%미만일 것으로 판단. 아울러, 조립라인은 장치설비가 아니기 때문에 정상가동까지 장기화되지 않을 것.
4. 결국, 단기적인 메모리 수급 우려가 핵심포인트
단기적인 차질은 일부 불가피하나, 전체 메모리 수급에는 큰 영향 없을 것으로 판단.
기본적으로 메모리 재고가 낮은 상태에서 삼성전자의 올 3,4분기 메모리 공급증가율이 각각 single digit에 그칠 전망이며, 하이닉스의 2분기 DRAM 출하증가율 역시 Low single digit에 그칠 것이기 때문.
5. 결론: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사안이기는 하나, 그 영향이 critical하지는 않을 것
현재 메모리 시장이 공급과잉 상태였다면 메모리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겠지만, 현재의 낮은 재고수준을 감안할 때 동 사건에 따른 메모리 수급차질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함.
자료출처 : 신영증권/맥파워의 황금DNA탐색기
첫댓글 문제없다고도 하고 뭐 정확히 알수가 없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