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코님 안녕하세요
HB Partners 대전충청본부 정주홍입니다.
6년 간의 직장생활 동안 저축을 하지 못하고 항상 잔고가 부족하셨군요
그리고 지금 그에 대한 충분한 위기감과 저축을 해야하겠다는 의지가 보이십니다.
먼저 이 위기감과 의지를 남은 인생의 기간동안 잊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현재 싱코님의 경우를 볼때 인생의 중요한 기점에 있으신것 같습니다.
지금부터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예전과 같이 마이너스 통장으로 지내다
대출을 받아 결혼하여 대출금을 계속적으로 갚느라 한달한달 불안하게 지낼지
아니면 원하시는 목표를 하나씩 이루워가는 성취감과 행복을 느끼실지 입니다.
이것을 결정짓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실천과 의지입니다.
---------------------------------------------------------------------------------
1. 현재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올바른 길을 찾은다음 실천해야하고
그것을 계속적으로 지켜나가는 의지가 필요합니다
싱코님 실천과 의지가 충분하시다고 자신있게 말씀하실 수 있으신가요? ^^
자신있으시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 가겠습니다.
2. 싱코님의 경우 어떤 저축상품을 구하기 앞서 지금까지 어떻게
소득대비 지출을 해왔는지를 알아보야 합니다.
아무리 좋은 저축, 투자상품을 고르더라도 매달 생각했던데로
저축, 투자할 금액이 부족하다면 효과가 미비하거나 예전과 똑같이 마이너스 상태일 것 입니다.
현재의 문제점을 곰곰히 생각해 보셔야 합니다.
본인이 모르시겠다면 신용카드와 통장거래내역서를 1년치 뽑아서 각 달에
지출되었던 금액을 한번 더해 보십시오. 어떤곳에 많이 썼는지
시간이 지나서 볼때 꼭 필요했던 것인지 말입니다.
지출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 문제점을 보완하기로 각오하여
매달 가능한 저축금액을 정해야 합니다.
가능 저축액을 정하셨나요?
3. 가능 저축액을 정하셨다면 이제 본인이 진정으로 원하는 목표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정해야 합니다. 남들이 하는데로 '2~3년 뒤에 결혼을 할 자금을
모으지, 뭐!" 라고 생각하셨다면 절대로 이룰 수 없습니다.
2~3년 뒤에 결혼을 하고 싶은데 필요자금이 얼마일까?
집에서 큰 도움을 받기는 어렵겠고 주변 언니들을 볼때
최소한 2~3천만원이 필요하겠구나! 그럼 얼마를 모아야 하지?
24개월 준비해야 하니까 매월 80만원이 필요하겠구나!
월급 125만원에서 처음부터 80만원은 무리일 것이고
처음에는 50~60만원 고정적으로 적금을 들고 잉여금액은 펀드를 가입해야지!
그리고 계속적으로 지출을 줄여나가서 펀드에 수시로 투자해야겠다
그리고 보너스나 추가자금이 있으면 투자해야지!
나의 투자성향은 안정형이니까!
2년 후 전체 투자자금대비 60~70%는 예적금에 30~40%는 펀드에 투자를 해야겠다!
등과 같이 나의 목표를 역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 그럼 어떻게 해야하지?
무엇을 준비해야 하지? 와 같이 항상 자기에게 물음을 던지면서 준비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이렇게 계획을 세우고 준비한다면 불필요한 지출에 사용되는
금액을 줄이고 저축, 투자금액을 줄여 본인이 원하시는 목표를 성공할
확률이 높아질 것 입니다.
이것은 분명이 이론적이고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의지와 실천을 가지고 계시다면 싱코님도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이와 같은 길을 좀더 구체적이고 계속적으로 도움을 받고 싶다면
전문가와 상의하셔서 지출분석, 투자성향 대비 자산배분, 투자비중 조절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도움을 받기 바랍니다.
4. 전반적인 계획을 잡았다면 그 계획에 알 맞는 상품들을 가입하고 관리하셔야 합니다.
싱코님의 투자성향과 목표를 모르는 상황에서 상품들을 말씀드리기에는 제약이 있습니다.
하지만 싱코님께서 연금상품을 가입하고 싶다고 하셨는데요
소득을 볼때 연금으로 인한 소득공제가 큰 메리트가 없다고 봅니다. 또한
마이너스 대출 상환, 결혼자금 등과 같은 단기 목표들도 준비하지 못한 상황에서
장기목표를 준비한다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그래도 투자시기를 빨리하여 연금자산을 미리 준비하신다고 하신다면
납입이 보다 자유로운 연금펀드가 본인의 투자시기에는 보다 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연금자산은 결혼자금이 최소 60% 모아진 시기 이후로 시작하는
것을 권하여 드립니다.)
5. 계속적인 사후관리 및 여러 목표들에 대한 비중을 조절 하셔야 합니다.
처음 계획하였던 것이 100%로 지속되지도 않고 중간에 큰 생활의 변동으로
바뀌게 됩니다. 그러므로 계속적인 사후관리가 이루워져야 합니다.
그리고 여러 목표들을 작은금액이라도 같이 시작하는 것이 향후 전반적인
목표달성을 위해 유리하고 이전 목표들이 달성된다면 이후의 목표들의
비중도 전체적으로 조절하셔야 합니다.
----------------------------------------------------------------------------
참고로 조언드리자면 마이너스 대출이 계속적으로 줄어들지 않는 것은
빨리 갚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싱코님의 경우 마이너스 대출을 타원금이나 원리금균등분할대출로 전환하여
매달 강제적으로 갚아나가시기 바랍니다.
마이너스 대출이 있는 상황에서 적금을 한다는 것은 은해을 위해서 열심히
돈을 모아주는 행동입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정확한 금융상품에 대한 조언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싱코님의 경우는 어떻게 지금상황에서 판단하여 큰 길을 나가야 할지가 중요한
것 같아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으길 바라며 꼭 마이너스 대출을 상환하시고 예적금과 펀드를
통해 50%이상 선저축을 하시기 바랍니다.
추가적인 질문이나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메일 주십시오.
도음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행복한 부자되세요^^
|
첫댓글 제 후배들 중에도 직장 생활 8.9년 차들 열심히 살은 후배는 좀 종자돈 쥐고 있고 그렇치 못한 후배는 한심하다 십게 씁씁이가 ㅠㅠ 절약과 절제 쓰기를 잘해야 돈이 모이는데 ㅎㅎ 생활 펫턴은 안바꾸면서 한숨들만 쉬니 참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