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학교 3학년 때에 당시 대구 칠성동에 있는 권투 도장인 국일 권투구락부(관장사범: 김달원)에서
처음 배운 권투를 줄곳 사회에 나와서도 건강을 위해 계속해 왔다.
세월이 지나 직장을 은퇴하고는 보다 적극적으로 운동을 하고 있으며,
현재 다니는 쳬육관(인천 태풍 범진 체육관)에는 5년 전부터 다니는 곳이다.
주 2회(화.금요일)는 특벌한 사정이 없는 한 거의 빠짐없이 나가고 있다.
체육관에 가서 운동을 하다보니 초보자들은 대부분 용어 와 반칙 등에는 관심이 없이
마구잡이로, 또 제법 하는 사람도 쳬계적인 이론의 받침이 부족하기에 권투를 배우는 사람들에게
기본적인 용어 정리한 것을 무공 게시판에 올린다.
권투(boxing) 용어 해설 (인천의 태풍 범진체육관 특별사범 무공 강재웅 정리)
<기본 발동작 및 기본 훈련 부문>
[기본 발동작]
* 풋 워커(foot work): 발놀림.(발의 동작이나 발의 자세 등)
* 스테핑(stepping): 발을 전 후 좌우로 한발 내 딛는 것.
[발동작의 진전]
* 사이드 스텝(side step): 상대방의 공격을 빗나가게 하기 위하여 좌우로 발을 내딛고 위치를 바꾸는 것.
*무브 어라운드(move around): 발의 동작에서 상대의 타격을 피하며 공격의 기회를 잡기 위해 상대의 주위를 빙빙 도는 것.
* 시프트(shift): 발의 위치를 좌우 반대로 바꾸는 것.
상대를 현혹 시켜 반격을 가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기본 훈련 및 자세]
* 로프 스키핑(rope skipping): 줄넘기
* 포즈(pose): 자세. 폼. 즉 공격과 방어에 적절한 자세로서 오른 손 잡이가 취하는 오오더독스 포지션과 그 반대인 외손잡이가 취하는 언오오더독스 포지션이 있다.
* 오오더독스 포지션(orthodox position): 몸을 측면과 직면 교착점인 45도 각도로 하여 왼 쪽과 왼발을 앞으로 내어 체중을 양발 중심에 두고 발뒤꿈치를 올린다.
왼쪽 주먹을 코 높이 정도에서 앞으로 내되, 팔 굽이가 직각(90도)이 되도록 한다.
오른 쪽 주먹은 가슴으로부터 10cm 정도 떼어 오른 쪽 턱 부위에 갖추고, 이때 양 주먹 안쪽이 스스로 보아 약간 보이도록 하되, 얼굴은 정면을 향하는 자세이다.
* 언오오더독스 포지션(unorthdox position): 왼손잡이 복서의 자세. 주먹이나 발의 위치가 위의 오오더독스의 반대이다. 즉 오른 쪽과 오른 발이 앞으로 내밀어 취하는 자세이다.
* 사우스포(southpaw): 왼손잡이 복서(boxer)
* 스위치 복서(switch boxer):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 함께 좌우를 전환하며 가격할 수 있는 권투 선수.
* 인사이드 포지션(inside position): 접근전에서 상대의 팔 안쪽으로 들어가 유리하게 싸울 수 있는 위치를 가리킨다.
[종합훈련 형태]
* 새도우 복싱(shadow boxing): 가상의 상대를 두고 공격과 방어의 여러 가지 기술을 혼자서 행하는 훈련 방법.
* 스파링(sparring): 글러브(glove)를 끼고 상대를 두고 실제의 경기와 동일하게 3분식 끊어하는 연습경기. (대련). 스파링 상대는 스파링 파트너(partner)도는 스파링 메이트 라고 함.
[장구]
* 글러브(glove): 권투를 할 때 끼는 가죽 제품의 장갑. 무게는 아마추어와 프로가 서로 다르며, 또 체급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 밴디지(bandage): 연습이나 시합에서 손에 감는 천으로 주먹이나 손가락 보호와 펀치력 증대를 목적으로 한다.
* 마우스 피스(mouth piece): 입속이나 이(치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입에 무는 고무로 만든 보호구.
* 해드기어(headgear): 머리나 귀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호 장구.
* 샌드백(sandbag): 자루에 모래 등을 넣은 타격용 연습용구.
* 미트(mitt): 훈련할 때 가격을 받아주기 위한 글러브.
<공격 부문>: 어택(attack)
* 블로(blow): 타격(打擊). 즉 자신의 주먹을 자신이 유도한 타격부위로 가격하는 동작.
* 펀치(punch): 가격하는 주먹.
* 보디 불로(body blow): 복부 및 흉부에 타격하는 것.
* 쇼트 블로(short blow): 근거리에서 치는 펀치.
[블로의 4가지 기본]
* 잽(jab): 앞서있는 주먹으로 팔을 곱게 뻗어 견제하듯 상대방의 얼굴이나 복부에 빠르고 가볍게 치는 타격 법.
* 스트레이트(straight): 타격의 중요한 기술로 상대의 급소를 겨냥하여 주먹을 일직선으로 쭉 뻗어 치는 가격법.
치는 거리에 따라서 쇼트(short)스트레이트와 롱(long)스트레이트가 있고,
좌우의 치는 주먹에 따라 스트레이트 라이트와 스트레이트 래프트가 있다.
* 훅(hook): 팔을 옆에서 직각(90도)으로 굽혀 치는 타격 법.
* 어퍼커트(uppercut): 상대방의 턱이나 복부를 수직으로 아래서 위로 올려치는 타격 법.
- 훅과 어퍼커트는 주로 근거리 타격 법(쇼트 블로: short blow)에서 사용된다.
[블로의 진전]
* 스매시 블로(smash blow): 훅과 어퍼커트의 중간 형태로 45도 각도로 처 올리는 것.
* 스윙 블로(swing blow): 스트레이트와 혹의 중간 형태로 팔을 굽혀 반원형을 그리듯이 후려치는 것.
* 초퍼 블로(chopper blow): 도끼로 내려찍듯 위에서 아래로 내려치는 것.
(이 경우 자칫 너클 파트{knuckle part: 주먹의 정면의 네 손가락의 제1및 제2관절사이에 생기는 4각의 부문}이 아닌 글러브의 측면 등을 이용하여 치면 촙 불로(chop blow)라 해서 반칙이 됨에 주의를 요한다.)
* 플로우 업(follow up): 추가 타격. 펀치가 단발로 끝내지 않고 연이어 계속 다음을 가하는 타격.
* 더블 펀치(double punch): 같은 손으로 두 번 연거푸 치는 것.
* 더블 잽(double jab): 잽을 두 번 뻗는 것.
* 터투잉 블로(tattooing blow): 좌우의 펀치를 연타 하는 것. 연속 가격.
* 원투 블로(one two blow): 잽과 더불어 스트레이트를 연타하는 것
즉 한쪽 팔로 가볍게 쳐서 상대의 밸런스를 무너뜨리고 연이어 다른 쪽 팔로 강타로 타격을 가하는 공격법이다.
* 원투트리 플로(one two three blow): 레프트잽. 라이트스트레이트. 레프트훅 또는 레프트잽. 래프트훅. 라이트 스트레이트로 연타하는 것.
* 트리플 블로(triple blow): 같은 손으로 3번 연거푸 치는 것. 또는 3단 치기의 펀치로 제1타는 가볍게 치고, 제2타는 강하게, 제3타는 아주 강하게 치는 타격 법.
* 콤비네이션 블로(combination blow): 3번 이상 연속으로 치는 적절한 좌우의 타격 법.
* 카운트 블로(counter blow): 받아치기. 상대의 공격을 재치 있게 피하면서 순차적으로 연타를 퍼붓는 펀치.
[펀치력 증강]
* 상대와의 거리를 고려해서 적당한 위치인지 어떤지를 판단하는 것을 저지먼트 오브 디스턴스(judgement of distance)라고 하며, 복싱에서 타이밍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따라서 유효타격을 위해 자신의 리치(reach)와 레인지(range)를 잘 파악하여야 한다.
(리치(reach)란 팔 길이. 주먹이 닿는 거리. 가격권(加擊圈). 사정거리를 말하며,
레인지(range)란 경기를 할 때, 상대와의 사이에 유지하는 거리를 말한다.
레인지에는 가격할 수 있는 거리를 인(in)레인지, 접근전은 크로스(cross)레인지, 가격할 수 없는 거리는 아웃오브(out over)레인지. 또는 롱(long)레인지 라고 한다)
* 타격(blow) 시에는 반드시 임팩트(impact)를 구사할 줄 알아야 한다.
그래야만 펀치력이 생긴다.
임팩트(impact)란 강력한 찰라 적 충돌. 충격에 영향을 미친다. 는 뜻으로,
그 어원(語源)은 야구에서 투구한 궁이 타자가 휘두른 배트(bat)에 맞는 순간을 말하며, 또한 골퍼에서도 이 용어를 쓴다.
권투에서 꼭 표현하자면 “순발력에 의한 맞딱뜨리는 순간 찰나적 끊어치기”라고 말 할 수 있으며, 임팩트를 주어야 스내피 블로(snappy blow: 탄력 있는 펀치)가 나온다. 따라서 임팩트의 기술은 펀치력 증강에 꼭 필요하다.
* 웨이스트 피벗(waist pivot): 허리를 회전시키는 반동을 이용하여 펀치에 힘을 가하는 것.
* 플로우 드루(follow through): 전신(全身)의 중량을 실어 타격하는 것. 이는 롱스트레이트에 주로 사용된다.
* 자신의 특성에 따라 선데이 펀치를 가져야 한다.
선데이 펀치(sunday punch)란 가장 주 무기(장기)로 하는 펀치.
* 급소: 타격하면 상당한 고통 등을 수반하는 인체의 생리적인 약점을 말한다.
!. 턱의 끝부분. 2. 옆쪽의 턱. 3. 인중(코와 입 사이) 4. 관자놀이(귀와 눈 사이의 두개골 옆 부분) 5. 명치. 6. 간장. 7. 심장 등의 타격은 인정되지만, 밸트라인 아래의 복부. 국부. 후경부. 신장 등의 가격은 금지 되어 있다.
<방어 부문>: 디펜스(defense)
* 가드(guard): 팔로 자신의 안면과 상체를 보호하는 것.
* 가딩(guarding): 상대방 펀치를 사전에 제어하는 법으로 이쪽에서 팔을 자주 뻗어 상대방 펀치의 위력을 감퇴시키는 공격적 방어 법.
* 리버레지 가드(leverage guard): 상대가 가격해 오는 순간 동시에 팔을 뻗어 상대방 펀치의 힘을 죽이는 방어 법.
* 카버(cover): 상대의 공격에 대하여 팔이나 손으로 머리와 복부 등을 방어하는 것.
* 케치(catch): 커버에서 상대의 잽을 글로버를 벌려 막는 것.
* 블로킹(blocking): 가드를 올려 상대방 주먹을 막는 동작. 다음의 두 가지가 있다.
1. 일레븐 브로킹(eleven blocking)이란 양 팔을 일자형으로 하는 상대의 펀치를 막는 방어 법.
2. 크로스 브로킹(cross blocking)이란 십자 브로킹으로 팔을 십자모양으로 하여 상대의 펀치를 막는 방어 법. 이는 자칫 공격동작으로 바꾸기가 힘들 수 있다.
* 엘보우 블록(elbow block): 팔꿈치로 상대의 펀치를 막는 방어 법.
* 숄더 불록(shoulder block): 상대의 공격을 어개로 방어 하는 것.
* 위빙(weaving): 접근전의 선행 동작으로 더킹(ducking)과 슬립핑(slipping)을 혼합한 방어 법.
1. 더킹(ducking)이란 상대의 공격에 허리를 굽혀 머리를 숙이며 피하는 법이며,
인사이드 덕(inside duck)이란 상대가 안면 공격을 해 올 때, 상체를 안쪽으로 향해서 허리를 낮추고 머리를 숙여 피하는 것이다.
2. 슬립핑(slipping): 상대의 공격에 머리나 상체를 옆으로 이동시켜 상대가 헛치게 하여 편치를 피하는 법.
* 인사이드 슬립(inside slip): 상대가 안면을 스트레이트로 공격 해 올 때, 상체를 앞으로 구부리며 헛치게 하는 것.
* 록 어웨이(rock away): 상체를 뒤로 젖혀 상대의 펀치를 피하는 것.
* 셔빙(shoving): 손이나 팔로 상대의 공격을 밀어버리고 역으로 공격하는 방어 법.
* 커핑(cuffing): 상대의 주먹을 손으로 쳐서 선제공격을 막는 방어 법
* 클린치(clinch): 상대의 맹공으로 불리할 때 재빨리 상대에게 밀접해서 상대의 팔이나 팔꿈치 등을 껴안는 일시적인 방어 방법. 그러나 홀딩(holding: 고의적으로 상대의 팔을 껴안고 동작을 제압하는 것)은 반칙이 됨.
<복싱의 스타일>
* 아웃 복싱(out boxing): 상대와 거리를 두고 스피드 위주로 치고 빠지는 타입.
* 인파이트(infighter): 상대편에게 바짝 달라붙어 공격하는 타입의 선수.
* 업 라이트 스타일(up right style): 상체를 바로세우고 턱이나 가슴을 당기고 싸우는 타입.
* 크라우칭 스타일(crouching style): 상체를 앞으로 구부리고 맹렬히 돌진하는 자세로 접근전에서 주로 파이트(공격타입의 선수)가 사용한다.
<경기 부문>
* 링(ring): 복싱 경기장. 4.9- 6.1m의 정방형으로 3단의 로프로 둘러 싸여 있다.
* 스툴(stool): 링의 코너에서 쉬는 작은 의자.
* 레프리(referee)란 링 안에 있는 심판.
* 저지(judge): 링 아래에서 경기를 채점하는 심판원.
* 라운드(round): 경기가 몇 회인가로 구분된 한 구분을 말한다. 프로에서는 4. 6. 8. 10. 12. 15회전의 6종류가 있으며, 한 라운드는 3분간이며, 30초 휴식으로 한다.
* 공(gong): 각 라운드시작과 끝을 알리는 종소리.
* 파울(foul): 반칙을 말하며, 다음과 같은 행위는 금지 되어 있다.
1. 벨트라인 이하의 가격 행위.
2. 다운(down)중 또는 다운에서 일어서려는 상대에게 하는 행위.
3. 고의로 클린치(clinch)나 홀드(hold)를 계속하는 행위.
4. 머리. 어깨. 팔꿈치 등으로 상대를 버팅(butting)하는 행위.
버팅(butting): 상대의 몸에 들이받는 것.
5. 상대의 목구멍을 죄거나 치거나 껴안고 던지는 행위.
6. 오픈 블로(open blow)나 촙 불로(chop blow)로 치는 행위.
오픈 블로(open blow): 글로브를 벌리고 안쪽 부분으로 치는 것.
촙 블로(chop blow): 글로브의 측면 등을 이용해서 찍어 내리듯이 치는 것.
7. 피벗 블로(pivot blow): 몸을 한 바퀴 돌려, 그 여세를 이용해서 주먹의 측면으로 타격하는 행위. 백핸드 블로(back hand blow): 손잔등으로 돌려치기를 하는 것.
8. 키드니 블로(kidney blow): 신장(콩팥)부위를 고의로 치는 행위.
9. 래빗 펀치(rabbit punch): 목덜미의 후두부를 고의로 타격하는 행위.
10.더밍(thumbing): 글러브의 엄지손가락으로 상대의 눈을 찌르는 행위.
11. 코너나 로프의 부당한 이용 행위.
12. 고의적인 다운(down) 행위.
13. 브레이크(brake)시의 가격 행위.
브레이크(brake)란 클린치가 되었을 때, 양선수를 때어 놓는 것. 또 그 때에 레프리 (referee)가 선언하는 일.
14. 그 외에 비 스포츠맨 적인 행위를 하였을 때.
* 녹다운(knockdown): 다운의 상태가 된 다음 10초 이내에 일어서거나, 또는 의식을 회복하여 경기를 하는 경우.
다운(down)의 상태란?
1. 발 이외의 부분이 바닥에 닿고 있는 경우.
2. 타격에 의하여 의식을 잃고 로프에 기대는 상태.
3. 몸이 로프 밖으로 나간 경우.
* 슬립 다운(slip down): 발이 미끄러져 무릎을 꿇거나 쓰러지거나 하는 것.
* 케이오(KO)란 록 아웃(knock out)의 약자: 경기 판정의 하나로, 한쪽의 경기자가 다운되어 10초 이내에 경기를 재개할 수가 없을 때 상대방의 승리로 경기가 종료된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프로에서는 테크니칼 녹아웃으로 하고, 아마추어에서는 레프리 스톱. 콘테스트나 기권으로 인정한다.
1. 라운드(.round)가 시작되어 10초를 경과해도 경기를 하지 않을 때.
2. 라운드 중 유효타에 의한 다운이 3회 있었을 때. (프로의 경우 협약에 의해 무제한 다운을 인정하는 경우도 있음)
3. 실력의 차이가 심하고 한쪽이 심한 부상을 입었을 때.
4. 라운드 중 세컨드(second)가 타월을 링(ring) 안으로 던져 넣거나(toss towel into ring), 라운드 사이에 기권의 신청이 있어 레프리가 인정 하였을 때.
* 세컨드(second): 경기에서 경기자에게 작전을 지시하거나, 부상한 경우를 돌보는 사람을 말하며, 아마추어 에서는 2명. 프로에서는 3명을 둘 수 있다.
* 닥터 스톱(doctor stop): 의사의 권고에 따라 경기가 중단 되는 것.
* 워닝(warning): 경고를 말하며 아마추어에서는 경고 3회를 받으면 실격이 된다.
* 스테이블 메이트(stable mate): 같은 체육관의 동지.
* 프로 복싱의 체급
한국(K B C) 동양(O P B F)(F A B A) 세계기구(W B A)(W B C)(I B F)(I B O)
[미니멈급]--- 47.600kg 이하, 105파운드 이하.
[라이트플라이급]--- 48.980kg 이하, 108 "
[플라이급]--- 50.800kg 이하, 112 "
[슈퍼 플라이급]--- 52.160kg 이하, 115 “
[밴텀급]--- 53.520kg 이하, 118 "
[슈퍼 밴텀급]--- 55.340kg 이하, 122 "
[페더급]--- 57.150kg 이하, 126 "
[슈퍼 페더급]--- 58.969kg 이하, 130 "
[라이트급]--- 61.230kg 이하, 135 "
[슈퍼 라이트급]--- 63.504kg 이하, 140 "
[웰터급]--- 66.680kg 이하, 147 "
[슈퍼 웰터급]--- 69.850kg 이하, 154 "
[미들급]--- 72.570kg 이하, 160 "
[슈퍼미들급]--- 76.200kg 이하, 168 "
[라이트헤비급]--- 79.380kg 이하, 175 "
[크루저급]--- 90.719kg 이하, 200 "
[헤비급]--- 90.719kg 초과. 200파운드 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