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ROTC 출신 장교로서, 1차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훈장을 받고 또한 6.25 한국전쟁까지 참전한 미군 장성이자 당시에 미군 군수 총사령관이었다.
1952년 11월 27일, 부산 역 건너편 판자촌에 대형 화재가 났다.
판자집도 변변히 없어 노숙자에 가까운 생활을 하던 수많은 피난민들은 부산역 건물과 인근에 있는 시장 점포 등이 유일한 잠자리였는데 ...
큰화재로 인해 오갈 데가 없게 됐다.화재로 인해 입을 옷은 커녕 먹을 것조차 없었다.
이때 위트컴 장군은 군법을 어기고 군수창고를 열어 군용 담요와 군복, 먹을 것 등을 3만 명의 피난민들에게 골고루 나눠 주었다.
이 일로 위트컴 장군은 연방 의회의 청문회에 불려가야 했다.
의원들의 쏟아지는 질책에 장군은 조용히 말했다. "우리 미군은 전쟁에서 반드시 이겨야 하지만, 미군이 주둔하는 곳의 사람들에게 위기가 닥쳤을 때 그들을 돕고 구하는 것 또한 우리의 임무입니다. 주둔지의 민심을 얻지 못하면 우리는 전쟁에서 이길 수 없고, 이기더라도 훗날 그 승리의 의미는 쇠퇴할 수 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라고 답하자, 의원들은 일제히 기립하여 오랫동안 박수를 쳤다고 한다.
다시 한국으로 돌아 온 뒤 장군은 휴전이 되고도 돌아가지 않고, 군수기지가 있던 곳을 이승만 정부에 돌려주면서 "이곳에 반드시 대학을세워달라" 고 청하였다. 부산대학이 설립된 배경이다. 그러나 부산대 관계자도, 교직원도, 졸업생도 재학생도 이런 역사적 사실을 거의 모른다.
그리고 장군은 메리놀 병원을 세웠다. 병원기금 마련을 위해 그는 갓에 도포를 걸치고 이 땅에 기부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애썼다.
'사람들은 장군이 체신없이 왜 저러느냐'고 쑤근댔지만 개의치 않았고 온 맘과 힘을 쏟았다.
전쟁 기간 틈틈이 고아들을 도와온 위트컴 장군은 고아원을 지극 정성으로 운영하던 한묘숙 여사와 결혼했다. 위트컴 장군이 전쟁 고아들의 아버지로 불리는 연유다.
그리고 그는 부인에게 유언했다. ''내가 죽더라도 장진호 전투에서 미처 못 데리고 나온 미군의 유해를 마지막 한 구까지 찾아와 달라''고...
부인 한묘숙 여사는 그 약속을 지켰다. 북한은 장진호 부근에서 길죽길죽한 유골만 나오면 바로 한묘숙 여사에게로 가져왔고, 한 여사는 유골 한 쪽에 300불씩 꼬박꼬박 지불했다. 그렇게 북한이 한 여사에게 갖다 준 유골 중에는 우리 국군의 유해도 여럿 있었다. 하와이를 통해 돌려 받은 우리 국군의 유해는 거의 대부분 한 여사가 북한으로부터 사들인 것들이다. 한 여사는 한 때 간첩 누명까지 쓰면서도 굴하지 않고 남편의 유언을 지켰다. 남편만큼이나 강한 여성이었다.
장군의 연금과 재산은 모두 이렇게 쓰였고, 장군 부부는 끝내 이 땅에 집 한 채도 소유하지 않은 채 40년 전에 이생을 달리 했다.
부산 UN공원묘원에 묻혀 있는 '유일한 장군 출신 참전용사'가 바로 위트컴 장군이다.
끝까지 그의 유언을 실현한 부인 한묘숙 여사도 장군과 합장되어 있다.
이 땅에는 이러한 장군을 기리는 동상 하나가 없다. 부산에도, 서울에도 , 아니 부산대학교에도 메리놀병원에도 물론 없다.
그런데 장군이 떠난지 꼭 40년 만에 뜻있는 사람들이 모여 위트컴 장군 조형물을 만들기로 결의하고 모금을 시작했다고 한다 .
70년 전, 전쟁 고아들을 살뜰하게 살피던 위트컴 장군을 생각하면서, 메리놀 병원을 세워 병들고 아픈 이들을 어루만지던 장군의 손길처럼, 대학을 세워 이 땅에 지식인을 키우려던 그 철학으로, 부하의 유골 하나라도 끝까지 송환하려고 했던 그 마음을 조형물을 통해 기려볼수 있을 듯하니 그나마 다행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도 장군에게 최고의 영예인 무궁화 훈장을 추서한다는 소식입니다.
11월 11일 11시에 장군의 동상이 부산 시민들의 손에 의해 세워진다고 하니 참 기쁜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