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槪要 : 제사문화의 승화(昇華): 한복 입은 예수님.
우리민족의 아름다운 전통인 제사문화를 기독교와 접목시켜 기독교적 제사문화를
토착화시키는 것이 선교와 민족복음화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2], 기독교 제사문화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유익.
그리스도인의 제사에 대하여 비판적이거나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신 분들에게 우리
예수 믿는 사람들은 아래와 같은 이유 때문에 더욱 제사(추도예배)를 소중히 여긴
다는 인식을 반드시 인식시켜 드려야 한다.
1), 족보와 가문의 뿌리를 잊지 않고 교육, 계승할 수 있다.
2), 친족과 가문이 친교하고 화목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3), 어린 자녀들에게 혈연과 조상에 대하여 이해하고 공부할 수 있다.
4), 불신자, 특히 제사문화를 고집하시는 완고하신 분들을 전도할 수 있다.
그리스도인들이 족보와 가문을 더욱 소중히 여기고, 형제사랑과 화목의 모본이
됨을 실천으로 보여주어 조상숭배(제사)에 집착하시는 분들에게 설득하여 예수님
을 호의적으로 생각하고 전도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3], 추도예배의 의미
1), 기일의 온 가족이 가장 모이기 좋은 시간을 선택하여 추도식을 한다.
2), 절하지 않는 것을 확고하게 인식시킨다. 절은 인격에게 드리는 경배의 의미이
므로 기일에는 고인을 추모하는 것이지 고인의 영이나 인격이 오시는 것이 아
니기 때문에 절을 해서는 안된다. 절을 할 때 고인이 아닌 조상을 빙자한 귀신들
이나 마귀가 대신 경배(절)을 받으므로 십계명 중 1, 2 계명을 어기는 것이 됨
을 이해해야 한다.
3), 오직 돌아가신 분을 자손 모두가 기억하고 추모하는 기회이며 우주와
생명의 주관자되시는 하나님께 예배(제사)하는 것임을 잊지 않아야 한다.
4], 추도예배의 방법
1), 대청마루나 큰 방에서는 예배 전면 상위에 고인의 사진을, 좌우에는 꽃을(꽃
바구니 등) 진열한다.
2), 사진이 없을 때는 "조부, 증조부, o o o " 등 고인의 이름과 출생일, 서거일을
기록하여 모두가 보도록 한다.(어린 자녀들은 고인의 성함도 모르는 경우가 많다.)
3), 완고하신 분이나 음식을 집착하시는 분이 계시면 여러 가지 제물을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고인이 생전에 가장 즐겨하시던 음식을 준비하여 상위에 함께
놓아도 된다.
4), 좌석은 예배의 주관자가 맨 앞에, 나머지는 자연스럽게 전면을 향하여 않는다.
예배순서 중에 성경본문 봉독과 기도문은 미리 준비하여 교독문과 같이 연장자
순으로 읽으며 기도하게 한다. (예배순서에 가능하면 모두 한가지 씩 들어가게
한다)
5), 생전에 고인과 친분이 두터웠던 분을 초대하여 함께 예배드릴 수 있다.
6), 예배순서 중 최 연장자가 고인의 약력(하시던 일, 업적 등)을 소개하고 가문의
계보를 알려주고, VTR, 생전의 사진 등이 있으면 함께 본다.(예배 후에 볼 수도
있다)
7), 아직 믿지 않는 분이나 극구 반대하시는 분이 없을 경우는 보통 가정예배와 같
이 둘러않아 예배를 드린다.
아름다운 기하성 모임 운영자
박 승 학 목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