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1964년 겨울(김승옥)
민근홍 언어마을
1. 줄거리
구청 병사계에서 근무하는 ‘나’는 선술집에서 대학원생인 ‘안(安)’과 만나 대화를 나눈다. 새까맣게 구운 참새를 입에 넣고 씹으며 날개를 연상했던지, 날지 못하고 잡혀서 죽는 파리에 자신들을 비유한다. ‘나’는 이미 삶의 현실에서 좌절을 맛본 후였기 때문에 감각이 다소 둔해진 상태다. 부잣집 아들인 ‘안(安)’ 역시 밤거리에 나온 이유는 ‘나’와 크게 다를 바가 없다. 그저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미소를 짓는 예쁜 여자가 아니면 명멸(明滅)하는 네온사인들에 도취해 보기 위해서이다.
자리를 옮기려고 일어섰을 때, 기운 없어 보이는 삼십대 사내가 동행을 간청한다. 중국집에 들어가 음식을 사면서, 자신은 서적 판매원이며 행복한 결혼 생활을 했으나 오늘 아내가 죽었다는 것, 그리고 그 시체를 병원에 해부용으로 팔았지만 아무래도 그 돈을 오늘 안으로 다 써 버려야 하겠는데 같이 있어 줄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셋은 음식점을 나온다.
그 때 소방차가 지나간다. 셋은 택시를 타고 그 뒤를 따라 불 구경에 나선다. 사내는 불길을 보더니 불 속에서 아내가 타고 있는 듯한 환각에 사로잡힌다. 갑자기 ‘아내’라고 소리치며 쓰다 남은 돈을 손수건에 싸서 불 속에 던져 버린다. ‘나’와 ‘안(安)’은 돌아가려 했지만 사내는 혼자 있기가 무섭다고 애걸한다.
셋은 여관에 들기로 한다. 사내는 같은 방에 들자고 했지만 ‘안(安)’의 고집으로 각기 다른 방에 투숙한다. 다음날 아침 사내는 죽어 있었고, ‘안(安)’과 ‘나’는 서둘러 여관을 나온다. ‘안(安)’은 사내가 죽을 것이라 짐작했지만 도리가 없었노라고, 그를 살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를 혼자 두는 것이라 생각했었다고 말한다. ‘나’와 ‘안(安)’은 “우리는 스물다섯 살짜리지만 이제 너무 많이 늙었다.”는 말에 동의하면서 헤어진다. ‘나’는 ‘안(安)’과 헤어져 버스에 오른다. 무엇인지 골똘히 생각하고 있는 그의 모습이 차창 밖으로 보인다.
2. 작품 해제
갈래 : 단편 소설
배경 : 1964년 어느 겨울밤의 서울
성격 : 60년대 우리 사회의 전형성을 지닌 인물의 제시를 통해 시대의 문제를 극명하게 제시함
제재 : 연대성이 없는 세 사내가 우연히 만난 하룻밤을 지낸 일
주제 :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여 느끼는 삶의 공동성(空洞性)과 파편적 개인성
3. 작품 해설
이 작품에는 구청 병사계에 근무하는 ‘나’와 대학원생인 ‘안’, 그리고 월부책 판매원인 30대의 ‘사내’가 등장한다. ‘날 수 있는 것으로서 손 안에 잡아 본 것’은 파리밖에 없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안’과 ‘나’는 상실과 좌절을 경험한 인물이고, 장례 비용이 없어서 급성 뇌막염으로 죽은 아내의 시체를 병원에 팔고 4천원을 받은 ‘사내’는 일상적인 삶에 상실감을 느끼는 인물이다. 이 작품은 세 사람의 우연한 만남과 헤어짐을 통해 열려 있는 공동의 광장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개인의 폐쇄적인 회로 속에 갇혀 있는, 단절된 인간 관계를 보여 준다.
이 작품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작품의 전체적인 흐름이 작가의 서술이나 묘사보다는 대화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는 점이다. 대화는 인물들의 내면을 드러내 주는 동시에 작품의 의미를 완성시켜 주고, 인물들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해 준다. 이 작품에 나오는 많은 대화들은 일상적인 효용성을 떠난, 일종의 작위적(作爲的)인 언어들로 이루어지고 있다. 의사 전달이라는 대화의 본질적인 기능은 사라지고 언어의 무상성(無常性)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 때의 언어는 타자 속에 침투하여 들어가기를 포기한, 자기 혼자만의 소유로 남는다. 그것은 고독한 메아리일 뿐이다. 대화의 이 같은 특징은 주제와 연결된다. 동질성을 상실하고 개인의 폐쇄성에 갇혀 있는, 인간 존재의 고독함이 잘 드러나고 있다.
4. 작품 이해
“서울 1964년 겨울”의 문체적 특징
인상주의적(印象主義的)인 언어 : 모든 사람이 쓰는 상투어를 쓰지 않고 참신하고 인상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비관습적인 문체를 만든다.
상징적인 언어 : 설명적인 언어가 아닌 상징적, 비유적 언어를 사용하여 입체적인 문장을 만든다. 이것은 독자가 책을 읽으며 상상력을 발휘하고 사고력을 동원하여 생각하게 한다.
홑문장과 겹문장의 교차 : 홑문장과 겹문장의 교차는 이 소설의 비판적 어조에 기여한다.
서울_1964년_겨울.hwp
서울 1964년 겨울 12제.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