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한양도성의 가치를 알 수 있는 *한양도성박물관을 소개했다. 동대문에는 한양도성박물관 외에도 같이 보면 좋은 역사관과 기념관이 자리하고 있다. 바로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에 자리하고 있는 동대문역사관과 동대문운동장기념관으로 한양도성박물관까지 포함해 이 세 곳은 서울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었던 **서울역사박물관의 분관에 해당한다.
조선왕조부터 지금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수도로서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서울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동대문역사관과 동대문운동장기념관도 같이 둘러보자.
*한양도성박물관에 대해 궁금하다면? 한양도성을 품은 한양도성박물관 보러 가기
**서울역사박물관에 대해 궁금하다면? 서울의 역사를 저장하다 서울역사박물관 보러 가기
조선 시대 수도 한양의 문화유산을 만나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東大門歷史文化公園)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1](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3012722_thumb.jpg)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방향으로 나오면 만나게 되는 어울림광장 유구전시장. 어울림광장 유구전시장은 동대문운동장 야구장 부지 내야석(1루 쪽) 아래에서 발굴된 조선 전기 도성 방어를 위한 군사 건물의 유구들이 전시되어 있다.
동대문역사관과 동대문운동장기념관을 방문하기에 앞서 해당 역사관과 기념관이 자리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에 대해 알고 가면 좋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東大門歷史文化公園)은 2007년 12월 동대문디자인플라자를 건설하기 위해 동대문운동장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매장된 유물이 출토되어 2008년 1월 문화재발굴조사에 착수하였는데 조선 시대 수도 한양의 문화유산들이 여러 발견되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2](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3034892_thumb.jpg)
조선 태조 및 세조 때 축성된 한양도성과 이간수문이 운동장 아래 매몰된 채 그대로 드러났을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영조 때 만든 치성(雉城)¹⁾의 기초부가 발굴되었다. 또한, 조선 전기 수도방어용 관청 및 부속시설이 자리하고 있던 건물터, 조선 후기 훈련도감의 분영인 하도감(下都監)의 건물터까지 발굴되었다. 그래서 2009년 6월 발굴된 해당 유구(遺構)²⁾들을 복원·전시하기 위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이 10월 27일에 개장했다.
덕분에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 방문하면 자연스럽게 곳곳에 자리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의 유구전시장을 만날 수 있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를 방문한다면 전시 관람, 행사 참여뿐만 아니라 이러한 유구들을 통해 조선 시대 당시 건축 구조와 생활상에 대해서도 같이 알아보자.
치성(雉城)¹⁾ : 성 위에 낮게 쌓은 담.
유구(遺構)²⁾: 옛날 토목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자취.
동대문운동장 부지의 역사를 되짚어보다.
동대문역사관(Dongdaemun History Museum)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3](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3223306_thumb.jpg)
동대문역사관은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조성 과정에서 발굴 조사된 매장 유물을 보존·전시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간이다. 영상을 통해 동대문운동장 지역의 역사와 특징을 소개하는 인트로 공간부터 훈련원과 하도감, 도성의 수문, 이십 세기의 변화, 땅속에서 찾은 역사 순으로 전시가 진행되며 마지막으로 조선 시대부터 현재까지 동대문 운동장 지역의 변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연표도 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발굴 과정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어린이 전시실도 마련되어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4](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3236730_thumb.jpg)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5](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3249492_thumb.jpg)
동대문역사관 Ⅰ 훈련원과 하도감.
지금의 동대문디자인플라자가 자리한 부지에 조선 시대에는 군사 선발과 훈련을 담당했던 훈련원(訓鍊院)과
조선 후기 도성 방어에 핵심이 되는 군영, 훈련도감의 분영이자 다수의 군병이 주둔하고 있었던 하도감(下都監)의 면면을 확인할 수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6](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3310549_thumb.jpg)
동대문역사관 Ⅱ 도성의 수문.
조선 시대 도성 안 물길 분포와 동쪽에 축조된 두 개의 수문 오간수문(五間水門)과 이간수문(二間水門)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7](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3358899_thumb.jpg)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8](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3412081_thumb.jpg)
동대문역사관 Ⅲ 이십 세기의 변화.
개항 이후 군사 제도에 대한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훈련도감은 폐지되었고
그 자리에 경성운동장이 건립되었던 당시의 변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9](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3638133_thumb.jpg)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10](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3651105_thumb.jpg)
동대문역사관 Ⅳ 땅속에서 찾은 역사.
2008년 동대문운동장 철거 이후 이루어진 발굴 조사에서 출토한 유물을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철기 생산 관련 유물은 하도감 터에서 대규모 철기 조업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11](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3711937_thumb.jpg)
동대문역사관 어린이전시실.
이곳에서는 동대문운동장 유적 발굴부터 조선 시대 군사 시설에 관련된 체험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12](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maps.googleapis.com%2Fmaps%2Fapi%2Fstaticmap%3Fcenter%3D37.56717%2C127.01211%26zoom%3D15%26size%3D500x370%26maptype%3Droadmap%26markers%3Dcolor%3Agreen%7C37.56717%2C127.01211%26key%3DAIzaSyBdNWKBpXHz-UDSmoiz_-IVjXz3Zo_pFZ8)
/*0) generatedType=2; if (generatedType==2) { dMap.style.cursor = "pointer"; dMap.xxonclick = function(e) {initGmapsLoader(e||event)}; var t = document.createTextNode("Click to load"), d = document.createElement("div"); d.appendChild(t); d.style.cssText="background-color:#e5e5e5; filter:alpha(opacity=80); opacity:0.8; padding:1em; font-weight:bold; text-align:center; position:absolute; left:0; box-sizing:border-box; width:100%; max-width:500px; top:0"; dMap.appendChild(d); } function CreateGMapgmap202142922387() { var dMap = document.getElementById("gmap202142922387"); if (dMap) dMap = dMap.parentNode; else dMap = document.getElementById("wgmap202142922387"); if (!dMap) return; if (dMap.ckemap) { var map = dMap.ckemap.map, center = map.getCenter(); google.maps.event.trigger(map, "resize"); map.setCenter(center); return; } dMap.xxonclick = null; var mapOptions = { zoom: 15, center: [37.56717,127.01211], mapType: 0, zoomControl: "Default", mapsControl: "Default", heading: 0, tilt: 0, overviewMapControlOptions: {opened:true}, pathType: "Default", googleBar: false }; var myMap = new CKEMap(dMap, mapOptions); dMap.ckemap=myMap; myMap.AddMarkers( [{lat:37.56717, lon:127.01211, text:"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을지로45길 동대문역사관",color:"green", title:"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을지로45길 동대문역사관", maxWidth:200, open:0}] ); } if (!window.gmapsLoaders) window.gmapsLoaders = []; window.gmapsLoaders.push(CreateGMapgmap202142922387); if (generatedType==3) window.gmapsAutoload=true; window.gmapsKey="AIzaSyBdNWKBpXHz-UDSmoiz_-IVjXz3Zo_pFZ8"; /*]]>*/
동대문역사관(Dongdaemun History Museum)
- 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 281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내
- 전화번호 : 02-2153-0200
- 관람시간 : 10:00~19:00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추석 당일
- 관람료 : 무료
역사 속으로 사라진 동대문운동장을 추억하다.
동대문운동장기념관(Dongdaemun Stadium Memorial)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13](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3842127_thumb.jpg)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14](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4211530_thumb.jpg)
서울시 중구 을지로 7가에는 1925년 10월에 건립되어 2007년 철거되기까지 한 자리를 지켜온 동대문운동장(東大門運動場)이 있었다. 경성운동장에서 시작해 서울운동장을 거쳐 동대문운동장으로 이름은 바뀌었지만, 무려 82년이라는 세월 동안 시민들과 함께한 만큼 서울 스포츠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은 그 자리에 동대문디자인플라자가 자리하고 있지만, 동대문운동장기념관에서 동대문운동장과 관련된 사진과 유물, 영상 등을 통해 그 시절에 대한 추억을 회상할 수 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15](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4124051_thumb.jpg)
동대문운동장 철거 시 수집한 동대문운동장 간판. 일부 유실된 글자는 모형으로 대체하였다고 한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16](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4144328_thumb.jpg)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17](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4153186_thumb.jpg)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18](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4225169_thumb.jpg)
동대문운동장기념관은 1존 ”시작은 경성운동장“, 2존 ”두 번째 이름 서울운동장”, 3존 “마지막 이름, 동대문운동장”순으로 명칭의 변화에 따라 전시가 진행된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19](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maps.googleapis.com%2Fmaps%2Fapi%2Fstaticmap%3Fcenter%3D37.56717%2C127.01211%26zoom%3D15%26size%3D500x370%26maptype%3Droadmap%26markers%3Dcolor%3Agreen%7C37.56717%2C127.01211%26markers%3Dcolor%3Agreen%7C37.56717%2C127.01211%26markers%3Dcolor%3Agreen%7C37.56717%2C127.01211%26markers%3Dcolor%3Agreen%7C37.56717%2C127.01211%26key%3DAIzaSyBdNWKBpXHz-UDSmoiz_-IVjXz3Zo_pFZ8)
/*0) generatedType=2; if (generatedType==2) { dMap.style.cursor = "pointer"; dMap.xxonclick = function(e) {initGmapsLoader(e||event)}; var t = document.createTextNode("Click to load"), d = document.createElement("div"); d.appendChild(t); d.style.cssText="background-color:#e5e5e5; filter:alpha(opacity=80); opacity:0.8; padding:1em; font-weight:bold; text-align:center; position:absolute; left:0; box-sizing:border-box; width:100%; max-width:500px; top:0"; dMap.appendChild(d); } function CreateGMapgmap2021429224339() { var dMap = document.getElementById("gmap2021429224339"); if (dMap) dMap = dMap.parentNode; else dMap = document.getElementById("wgmap2021429224339"); if (!dMap) return; if (dMap.ckemap) { var map = dMap.ckemap.map, center = map.getCenter(); google.maps.event.trigger(map, "resize"); map.setCenter(center); return; } dMap.xxonclick = null; var mapOptions = { zoom: 15, center: [37.56717,127.01211], mapType: 0, zoomControl: "Default", mapsControl: "Default", heading: 0, tilt: 0, overviewMapControlOptions: {opened:true}, pathType: "Default", googleBar: false }; var myMap = new CKEMap(dMap, mapOptions); dMap.ckemap=myMap; myMap.AddMarkers( [{lat:37.56717, lon:127.01211, text:"동대문운동장기념관",color:"green", title:"동대문운동장기념관", maxWidth:200, open:0}, {lat:37.56717, lon:127.01211, text:"동대문운동장기념관",color:"green", title:"동대문운동장기념관", maxWidth:200, open:0}, {lat:37.56717, lon:127.01211, text:"동대문운동장기념관",color:"green", title:"동대문운동장기념관", maxWidth:200, open:0}, {lat:37.56717, lon:127.01211, text:"동대문운동장기념관",color:"green", title:"동대문운동장기념관", maxWidth:200, open:0}] ); } if (!window.gmapsLoaders) window.gmapsLoaders = []; window.gmapsLoaders.push(CreateGMapgmap2021429224339); if (generatedType==3) window.gmapsAutoload=true; window.gmapsKey="AIzaSyBdNWKBpXHz-UDSmoiz_-IVjXz3Zo_pFZ8"; /*]]>*/
동대문운동장기념관(Dongdaemun Stadium Memorial)
- 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 281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내
- 전화번호 : 02-2153-0201
- 관람시간 : 10:00~19:00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추석 당일
- 관람료 : 무료
함께 보면 좋은
이간수문(二間水門)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20](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4436618_thumb.jpg)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21](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4507545_thumb.jpg)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22](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storage.doopedia.co.kr%2Fupload%2F_upload%2Fimage5%2Ftravel%2Feditor%2F2021%2F05%2F29%2F20210529224516517_thumb.jpg)
동대문역사관과 동대문운동장기념관 근처에 자리하고 있는 이간수문. 이간수문(二間水門)은 남산에서부터 청계천 본류와 합류하는 물길을 위해 만든 문으로 동대문운동장 철거 도중 2008년 9월 축구장 부지에서 이간수문 홍예 부분이 처음 드러났다. 그 후 상단 일부를 제외하고는 홍예를 이루고 있는 수문 전·후면과 바닥, 좌우 날개 석축 등 양호한 상태의 유구가 대량으로 발굴되어 수문의 하단부는 복원하고 상부는 새로 쌓았다.
<해당 기사는 2021년 5월 기준으로 작성된 내용입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동대문역사관, 동대문운동장기념관23](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maps.googleapis.com%2Fmaps%2Fapi%2Fstaticmap%3Fcenter%3D37.56675%2C127.01010%26zoom%3D15%26size%3D500x370%26maptype%3Droadmap%26markers%3Dcolor%3Agreen%7C37.56675%2C127.01010%26key%3DAIzaSyBdNWKBpXHz-UDSmoiz_-IVjXz3Zo_pFZ8)
/*0) generatedType=2; if (generatedType==2) { dMap.style.cursor = "pointer"; dMap.xxonclick = function(e) {initGmapsLoader(e||event)}; var t = document.createTextNode("Click to load"), d = document.createElement("div"); d.appendChild(t); d.style.cssText="background-color:#e5e5e5; filter:alpha(opacity=80); opacity:0.8; padding:1em; font-weight:bold; text-align:center; position:absolute; left:0; box-sizing:border-box; width:100%; max-width:500px; top:0"; dMap.appendChild(d); } function CreateGMapgmap2021429224547() { var dMap = document.getElementById("gmap2021429224547"); if (dMap) dMap = dMap.parentNode; else dMap = document.getElementById("wgmap2021429224547"); if (!dMap) return; if (dMap.ckemap) { var map = dMap.ckemap.map, center = map.getCenter(); google.maps.event.trigger(map, "resize"); map.setCenter(center); return; } dMap.xxonclick = null; var mapOptions = { zoom: 15, center: [37.56675,127.01010], mapType: 0, zoomControl: "Default", mapsControl: "Default", heading: 0, tilt: 0, overviewMapControlOptions: {opened:true}, pathType: "Default", googleBar: false }; var myMap = new CKEMap(dMap, mapOptions); dMap.ckemap=myMap; myMap.AddMarkers( [{lat:37.56675, lon:127.01010, text:"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7가 을지로 동대문역사문화공원",color:"green", title:"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7가 을지로 동대문역사문화공원", maxWidth:200, open:0}] ); } if (!window.gmapsLoaders) window.gmapsLoaders = []; window.gmapsLoaders.push(CreateGMapgmap2021429224547); if (generatedType==3) window.gmapsAutoload=true; window.gmapsKey="AIzaSyBdNWKBpXHz-UDSmoiz_-IVjXz3Zo_pFZ8"; /*]]>*/
/* CK googlemapsEnd v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