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설 <케겔슈타트 트리오, Eb장조,K.498>는 모차르트가 '클라리넷,비올라,피아노를 위한 피아노'위한 3중주(trio)로 1786년에 작곡하였고, 1788년에 출판되었다. ◆ 작곡 배경 모차르트는 이 피아노 트리오를 10장(19페이지)에 걸쳐 빈에서 작곡했으며, 1786 년 8월 5일에 원고의 날짜를 기록했다. 모차르트(1756~1791)는 화학·생물 분야의 과학자이며 교수인 네델란드 출신의 니콜라우스 요셉 폰 자퀸(Nikolaus Joseph von Jacquin,1727~1817,1752년 빈으로 이주)의 아들 고트프리트(1767~1792)와 딸 프란치스카(Franziska,1769~1850)가르치며, 자퀸가와 친하게 지내는 사이였다. 이 곡은 프란치스카에 헌정되었고,니콜라우스가 플루트,프란치스카가 피아노를 연주하는 하우스 콘서트를 함께 열었습니다. 모차르트는 폰 자퀸 가족에게 여러 작품을 헌정했는데, 1788년에는 고트프리트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가곡 "루이제의 짧은 사랑"(K. 520)과 "트라우마"(K. 530)를 작곡했습니다.
독일어로 케겔슈타트(Kegelstatt)는 skittles게임(영국에서 행해졋던 공을 굴려 핀을 쓰러뜨리는 경기로 선술집이나 클럽 등지에서 성행했다)인데, 모차르트는<두 개의 프렌치 호른(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바셋 호른이 아님)을 위한 12개의 듀오곡K.487>을 "스키틀 놀이를 하면서" 작곡했다고 썼는데, K.487의 사인 원고의 첫 페이지에 모차르트는 다음과 같이 새겨 넣었습니다:
"Wienn den 27.t Jullius 1786 untern Kegelscheiben"(비엔나, 1786년7월27일 스키틀 놀이를 하는 동안)
일주일 반 후,모차르트는 트리오 E♭,K.498을 작곡하고 자신의 작곡 목록에 다음과 같이 간단히 적어 넣었했습니다: "클라비어,클라리넷,비올라를 위한 테르제트" (피아노,클라리넷,비올라를 위한 트리오). 모차르트가 <K. 498 트리오>에 별명을 붙였다는 증거는 없으며, 케겔슈타트라는 별명은 1862년 루드비히 폰 쾨헬의 모차르트 음악 주제별 카탈로그에서 <K. 498트리오>에 처음 등장한다.
이 클라리넷-비올라-피아노 트리오는 폰 자퀸의 집에서 처음 연주되었는데,안톤 슈타들러가 클라리넷을,모차르트가 비올라를,프란치스카 폰 자퀸이 피아노를 연주했습니다. 클라리넷은 모차르트 당시에는 아직 비교적 새로운 악기였고,이 트리오는 그의 클라리넷5중주와 클라리넷 협주곡(후자의 두 곡은 바셋 클라리넷을 위한A장조)과 함께 악기의 인기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 트리오는 1788년 출판사 아르타리아에서 <바이올린,비올라,피아노를 위한 트리오>로 모차르트의 동의를 얻어 악보화했으며,원래 클라리넷 파트는 "대체 파트"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라 파르테 델 비올리노는 클라리네토로도 연주할 수 있다.
■ 음악 구성 3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트리오이다. * Andante * Menuetto * Rondeaux: Allegretto 첫 번째 악장은 전통적인 알레그로가 아닌 좀 더 관조적인 안단테로 시작됩니다.이어서 두 번째 악장은 당연히 전통적인 느린 악장이 아니라 온건한 미뉴엣트,마지막 악장은 활기차기는 하지만 표준적인 알레그로는 아닙니다.요컨대,이 트리오의 템포 대비는 대부분의 피아노 트리오에서처럼 극명하지 않습니다.
◆ 1악장 Andante 6/8박자, 3부형식 이 곡은 모차르트의 성숙한 실내악곡에서는 드물게 도입부와 나머지 악장이 반복되지 않는다.이 악장의 주요 주제에서 특히 눈에 띄는 특징은 67회 등장하는 그루페토(gruppetto=turn :돈 꾸밈음–본음 위에서 시작하여,본음과 그 아래 음을 거쳐 다시 본음으로 돌아오는 꾸밈음)이다.
◆ 2악장 Menuetto 미뉴에토와 트리오의2악장은 먼저 A-B-A’의 3부 형식으로 구성된 미뉴에트로 시작된다. 처음 A부분의 미뉴에트 주제가 안정된 Bb장조인 것과 대조적으로 도돌이표 이후 길지 않은 악구에서는 계속된 전조가 나타난다. 뒤따르는 트리오 역시 같은 구성의 3부 형식으로 작곡되었으며, g단조의 트리오 첫째 부분(A)에서는 클라리넷의 선율과 비올라의 셋잇단음표 진행에 피아노가 화음을 더하는 진행이 나타난다. 트리오에서는 A부분부터 조성이 계속 변화되며,역시 변화가 이어지는 트리오의 B부분을 지나 g단조의 트리오 A’부분으로 돌아온다.이후 미뉴에트 전체가 반복되며 끝난다.
◆ 3악장 Rondeaux: Allegretto 2/2박자 대단히 변칙적인 론도이다. 론도 주제는 전부 6번 나오는데,두 번째는 딸림조,세 번째는 모방적으로,네 번째는 원형으로 매우 풍부한 변화를 보여준다. 아울러 에피소드의 규모도 다양하며,마지막 론도 주제로 끝나지 않는다. 조성도 분명한 조옮김 외에 단조에서 빌려온 화음(차용화음)으로 빈번하게 흔들린다. 피아노나 비올라에서 급속한 패시지가 등장하고 화려함을 드러내는 한편 클라리넷은 도처에서 아름다운 선율을 연주하여 협주곡과 같은 화려함을 맛보게 하는 악장이다.
<출처: Wikipedia & 필유린클래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