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별곡"에서 중요한 것
(1) '관동별곡'에서 작자의 현실 인식은?
관직에서 물러나 있던 작자가 관찰사로 제수되자, 현실에의 참여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우국, 연군의 노래를 읊은 점은 작자의 현실 인식의 표출이라 할 수 있다.
① 선정(善政)에의 포부
ⓐ '風풍雲운을 언제 어더 三삼日일雨우를 디려난다. 陰음崖애예 이온 플을 다 살와 내여사라' : 헐벗고 굶주린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어야겠다는 목민관으로서의 자세가 나타나 있다.
ⓑ '일이 됴흔 世셰界계 남대되 다 뵈고져.' : 작자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의 표현이다.
② 연군지정(戀君之情)
ⓐ '東동州주 밤 겨오 새와 北븍寬관亭뎡의 올나하니. 三삼角각山산 第뎨一일峰봉이 하마면 뵈리로다.' : '소양강→한양→임금' 의 연상을 통해 연군의 정을 읊었다.
ⓑ '찰하리 漢한江강의 木목覓멱의 다히고져' : '한강→목멱→한양→임금이 계신 곳'의 연상을 통해 아름다운 풍경을 임금께 보여 드리고 싶다는 연군의 정을 표현하였다.
③ 우국지정(憂國之情)
ⓐ '孤고臣신 去거國국에 白백髮발도 하도 할샤' : 임금 곁을 떠난 신하의 착잡한 심정을 노래하였다.
ⓑ '아마도 녈구름 근쳐의 머믈셰라.' : 간신배들이 임금의 총명과 예지를 흐리게 할까 염려하는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2) '관동별곡'에서 갈등의 양상과 극복은?
자연에의 몰입, 도취를 추구하는 도교적 신선 지향과 충의, 우국, 애민 등을 지향하는 유교적 충의 사상의 대립과 갈등을 드러내지만 도교적 신선 지향성은 연군의 정, 애민 사상, 우국적 감정에서 연유된 관찰사의 소임에 대한 강한 자각에 의하여 극복된다.
(3) '관동별곡'에서 경치 묘사의 특징은?
관동별곡은 생략과 비약에 의한 비약적인 전개, 역동적인 움직임의 포착에 의한 박진감 있는 경치 묘사가 특징이다. 대표성을 가진 하나의 사물만으로 전체의 상황을 독자로 하여금 상상케 하고 과감한 생략과 압축된 표현으로 박진감을 자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