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 위치이탈 & 방향 틀어짐 원인인 '흔들림 현상' 대응 전략 수립!
방법: 수위변동과 바람파도에 동요 않는 '회전추적 계류장치' 적용하여 시설 안정성 확보!
1.서론
수상 태양광은 유체 위에 설치되어서 '흔들림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중 많은 시설이 육상보다 못한 발전량을 실현하고 있다. RPS 제도 상 부여하는 가중치로 한 보상이 없다면 적자사업으로 전락할 위험이 있다. 이를 만회하고자 사업비를 강제로 낮추는 시도를 하면서 시설의 안전성 및 수익성을 심대하게 훼손할 위기에 노출되어 있다. 즉 공익적 명분없는 혈세를 투입하는 허름한 '空益 實現 鷄肋 事業(공익 실현 계륵 사업)'으로 상황을 몰아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들어서 한반도 주변 기후변화가 더욱 심해진다면 수상 태양광 사업은 불확실성이 증폭되어서 최근 발생한 인도 600메가와트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파손침몰 사고와 같은 사례가 국내에서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본 상황의 근본 원인은 첫째, 수위변동, 바람 파도 등 외력에 의한 정남향 이탈 일수의 증가와 이탈각이 늘어나고 이는 즉시 발전량 감소를 증폭시킨다. K-water 사이트에 공개된 보령댐 수상 태양광 가동자료를 보면 8~23% 감소량 예측이 분석된다. '흔들림 현상'이 심각한 이유는 첫째로, 수중 송전케이블을 파손하여 누전 및 단선문제를 일으켜 전력송출 불가한 상황을 야기하는 주요인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둘째로, 낮은 태양전지 경사각으로 인해 발전효율 12% 이상 감소하여 대규모 적자를 실현시키는 도미노 현상의 Key역활을 한다. 세째, 기술적 한계를 회피하고자 강제적인 사업비 감소하면서까 인위적 수익을 도모함으로써 전체 발전시설의 안정성을 약화시키고 피로도를 증폭하는 매우 위태한 상황을 조성하고 있다. 넷째, 이와 맞물려 바람 파도 등 외력에 의한 동요는 시설안전을 더욱 훼손하고 위험 노출빈도 증가는 수상 구조물 피로도를 누적시킴으로써 수상 태양광 시설은 극단적 위기상황에 몰리고 있다. 다섯째, 낮은 경사각도로 설치한 태양전지는 새똥 오염 범위를 더욱더 확산시켜서 전기 생산량 감산 현상을 증폭시킨다. 이와같은 '5대 원인' 분석을 토대로 현재 설치된 수상 시설들을 조사해 보면 안전과 효율을 위한 대응력에서 볼 때 매우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가 표출되고 있다.
2.본론
태양광 발전은 발전량을 최대로 끌어올리기 위해선 경사각과 방위각을 추구한다. 과학적 상식으로 보면 한국 내 태양광 경사각은 32~33°가 최적이다. 수상 고정식인 경우, 정남향일때 최고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현실은 녹녹치 않다. 광활한 수면 위에서 방향을 못잡고 흔들린다면 수상 태양광 시설 발전량은 불규칙적으로 급감한다. 발전량 감소 예측위해 보령댐 사례를 참고하 8~23% 범위에서 감소한다. 경사각을 낮추어 12도 내외로 설치한 국내 수상 태양광의 경우 약 20도의 경사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발전량은 대략 12% 이상 감소한다. 비율은 시설의 크기에 무관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규모가 클수록 막대한 손실액을 실현할 것이다. 국내 수상 태양광을 조사해 본다면 위에 기술한 설치조건과 크게 다르지 않거나 동일하게 조성하고 있어서 경사각이 낮고 정남향을 유지 못하고 흔들리므로 최대 20~35% 발전량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국내 수상 태양광 발전 시설은 자연 극복으로 기술적 진보를 이루면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보다는 퇴보적 기술구현으로 RPS제도의 본래 취지를 훼손하면서 사업수익을 얻으려는 의도로 오해받기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정의롭지 못하다. 다시말해 태양전지의 경사도를 낮추어 설치후 자의적 전력감산으로 인한 손실을 RPS제도로 보상 받겠다는 의도는 결국 국민 세금으로 손실보전 받아서 수익성을 얻는 '계륵 사업'으로 전락하면서 수상 태양광 산업을 매도할 것이기에 그렇다. 태양전지 경사도를 낮추어 감소한 수익구조가 되면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내용은 궁색해지며, 자칫 성공이 불확실한 사업으로 전락하여 위험 노출 빈도수 증가로 인한 사업적 붕괴는 모두 사회적 부담이 될 우려가 있다.
3.결론
국내 수상 태양광은 '수상시설 흔들림 현상'이 증폭되므로 발전수익을 감소시키는 주원인이 되어 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경사각을 12도 내외로 낮추면서 발전량 감소와 더불어 새똥오염 범위가 넓어지는 역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국내 수상 태양광 프로젝트가 얻으려는 바가 RPS제도 뒤로 숨어서 명분실익 모두 잃은 사업으로 국민들을 현혹하려는것은 아니리라. 수면 위 방향 못잡는 흔들림이, 보유한 기술의 한계라면 전기 생산량 12% 이상 인위적인 손해보면서, 경사도를 낮춘 구조물이 만들어낸 허름한 결과를 감추고자 무리한 공사비 낮춘작금의 상황은 수상 태양광 산업 전체를 심각한 위기로 내몰고 있으며 단순 연산상 오차범위를 벗어난 치명적 손실을 예고하고 있다.
현재 국내 수상 태양광은 기술적 후퇴와 영합하고 태양전지 경사각을 12도 내외로 낮추면서 풍압 감소 효과를 기대한 모습으로 떠있다. 자연은 발전량 급감과 조류오염 확산하는 역작용으로 인간의 무지와 무능을 책망하고 있다. 이는 자연현상을 극복하려하지 않고 회피하려는 시도가 낳은 예견된 결과이다. 도전을 포기한 즉시 기술은 생존성을 상실하기에 효율과 안전 위한 진화는 계속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