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승방편 진실일승’이란 어떤 가르침인가
석사모니 부처님께서는 보리수 아래에서 정각을 이루신 후, 깨달은 법을 마음의 때가 두터운 중생들에게 설하더라도 과연 이해할 수 있을까 하는 회의를 품으셨다. 그래서 중생교화를 위해 생각하신 것이 과거의 부처님들과 같은 방편교화의 방법이었다.
즉 삼승을 방편으로 시설하는 것으로, 성문, 연각, 보살이라는 삼승의 교설 분류는 부처님의 깨달음의 길로 이르는 방법은 모두 한 길[一佛乘]이지만, 중생 각자의 근기에 맞게 교설을 하기 위한 수단적 의미이다.
《법화경》에서는 성문승은 사제(四諦)와 팔정도를 닦아 열반을 증득하고, 연각승(벽지불승)은 12연기를 닦고, 보살승은 육바라밀을 닦아 깨달음을 구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삼승방편 진실일승(三乘方便 眞實一乘)’이란 부처님께서는 오직 하나의 불승을 설하셨고, 삼승에 대한 교설은 단지 진실의 일승에 대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삼승은 방편이고 일승은 진실이라고 누누이 강조하신 것이다.
《법화경, 방편품》에서는 ‘오직 일승법만이 있고, 이승도 삼승도 없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 내용은 이승이라든가 삼승이라든가 하는 것은 일승으로 인도하기 위한 방편에 지나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법화경》의 주장은 《화엄경, 명난품》과 《승만경, 일승장》에서 일승만을 설하고 일승에 의해 부처님이 된다는 내용과는 조금 차이가 있다.
그러나 '삼승방편 진실일불승'은 이타행을 무시하는 성문승과 연각승의 소승과 자리이타행을 겸하는 대승의 보살승의 대립관계를 청산하는 의미에서 삼승 모두 불승에 귀의하여 깨달음을 얻는다는 《법화경》의 선언적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대승경전이 출현하면서 대승교단과 소승교단의 불교내적인 갈등이 제기되어 《법화경》은 그와 같은 갈등을 통일시킨 경전으로 해석한다.
<참고: ‘알기쉬운 불교’>
[출처] ‘삼승방편 진실일승’이란 어떤 가르침인가|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