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우리말의 유래
◇건달
원래 '건달'은 불교 용어인 '건달바'에서 나온 말이다. 음악의 신인 '건달바'는 술과 고기는 먹지 않고 향기만 맡으며 허공을 날아 다녔다고 한다. 인도에서는 음악을 전문적으로 하는 배우나 악사를 '건달바'라고 부른다. 그런데 그 뜻이 우리 나라에 와서는 그만 변하고 말았다. 옛날 우리 나라에서는 배우나 광대를 천시하여 '건달바'라는 말이 놀면서 빈둥거리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변하였다. 이 건달바가 줄어 건달이라는 말이 된 것이다.
◇고수레
고수레란 음식을 먹기 전에 먼저 조금 떼어 '고수레' 하고 외치며 허공에 던지는 신앙적 행위를 말하는데, 이 관습은 충남 당진 (또는 경북 안동)의 한 시골 농부가 논에서 식사를 할 때 죽은 고씨 노인의 묘를 향해 첫술 밥을 던진 데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옛날 충청도 당진 땅에 고씨라는 노파가 살았는데, 워낙 가난하여 들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호의로 끼니를 이어가며 연명하였습니다. 얼마 후 기력이 다한 노파는 들에서 쓰러져 죽었고, 죽은 며칠 후 마을 사람들에게 발견되어 그 들이 바라다 보이는 건너편 산허리에 묻혔습니다.
그 후 한 마을에 살던 전 서방이 논두렁에서 점심을 먹으려고 첫술을 드는 순간 눈 앞 산허리에 고씨네 무덤이 보이는지라, "고씨네" 하고 묘를 향해 허공에 던져 그의 혼을 위로하였습니다. 이 때문인지 전 서방네 농사는 다른 해보다 갑절은 잘 되었고, 이 사실을 전해 들은 마을 사람들은 논이나 밭에서 음식을 먹을 때는 먼저 "고씨네" 하고 첫술을 던졌는데, 그렇게 한 사람들은 모두 풍년이 들었다 하며, 그 뒤로 이 행위가 전국에 퍼졌습니다. 고씨 무덤을 향한 고수레 행위는, 그 후 고수레를 하지 않고 음식을 먹으면 반드시 체하거나 혹은 재앙을 받게 된다는 속신으로 의미가 변이되었고, "고수레!" 는 풍요를 기원하는 주술적 말이 된 것입니다.
◇골탕먹다
'골탕먹다'는 크게 손해를 보거나 곤란을 당한 경우를 말한다. 그런데 원래 '골탕먹다'는 맛있는 고기 국물을 먹는다는 뜻이다. 맑은 장국에 소의 머릿골과 등골을 넣고 푹 끓인 음식이 바로 골탕이다. 그럼, '골탕먹다'가 어떻게 완전히 다른 뜻으로 변하였을까? 그건 '골탕'의 골자가 곯자와 비슷해, '곯다'라는 뜻을 떠올리게 되었다. 여기에 '먹다'라는 말에는 '당하다', '피해를 입다'라는 뜻도 담겨있어 그 뜻이 완전히 다르게 변하였다.
◇까마귀 고기를 먹었나
어떤 일을 잊었을 때 주로 '까맣게 잊었다'는 말을 쓴다. 이 '까맣게 잊었다'는 말을 까마귀의 까만 빛깔에 빗대어, '까마귀 고기를 먹었나'라는 말이 생겨났다. 따라서 '까마귀 고기를 먹었나'는 어떤 일을 잘 잊어버리는 사람을 가리켜 쓰는 말입니다.
◇까불다
'까불다'는 차분하지 못하고 가볍게 행동하는 모습을 뜻한다. '까불다'는 원래 곡식에 섞여있는 잡티를 날려보내기 위해 키질을 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키질을 하기 위해서는 쉴새 없이 바삐 움직여야 했다. 여기에서 유래하여 아이들이 장난을 치거나 가볍게 행동하는 것을 '까불다'라고 했다.
◇깍정이
조선시대에 청계천 주변에는 전과자들이 모여 살았다. 이들은 거지노릇을 하거나 초상집에서 뜯어낸 돈으로 살았는데 이들을 가리켜 '깍정이'라고 불렀다. 이 '깍정이'라는 말이 변해서 깍쟁이가 되었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그 뜻도 변해 '인색하고 얄밉게 행동하는 사람'을 뜻하는 말이 되었다.
◇꼭두각시
'꼭두각시'는 원래 우리나라 고대 민속 인형극의 하나인 '박첨지 놀이'에 나오는 여자 인형을 말한다. 나무로 깎아 만든 이상한 탈을 쓴 이 인형은 사람이 뒤에서 조종을 해야 움직였다. 이런 이유로 그 뜻이 넓어져 '꼭두각시'하면 무조건 남이 시키는 대로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을씨년스럽다
을사보호조약이 있던 을사년에는 나라가 온통 어수선하고 슬픔에 잠겨 있었다. 그 훗날에도 사람들은 마음이나 날씨가 어수선하고 쓸쓸한 것을 '을사년스럽다'고 했다. 그러다가 '을씨년스럽다'로 말이 변하게 되었다.
◇꿀먹은 벙어리
옛날 한 벙어리가 꿀을 너무 많이 먹어 배탈이 났어요. 아내가 왜그러냐고 묻자 계속 꿀단지만 손으로 가리켰지요. 그래 아내는 꿀이 먹고 싶어서 그러는 줄 알고 꿀물을 탔대요. 꿀을 많이 먹어 배탈이 났는데 또 꿀을 먹으라니 벙어리는 얼마나 애가 탔겠어요. 이리하여 '꿀먹은 벙어리'라는 말이 생겨났지요.
◇꿩 대신 닭
옛날에는 떡국을 끓일 때 꿩고기로 국물을 우려냈다. 그런데 꿩고기가 흔하지 안아 꿩 대신 닭고기로 국물을 우려냈다. 이처럼 흔히 적당한 물건이나 사람이 없을 때, 그와 비슷한 걸로 대신한다는 뜻으로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이 생겨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