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 빙 얼음이 물로 부터 만들어 지므로 물 수(水)에 점을 하나 찍어 표시하였다.
얼음이나 차가운 의미의 글자에 들어감. 변으로 쓸 때에는 두개의 점으로 표시됨
▶ 寒 : [회의]찰 한, 집 면(宀) + 볏단 모양 + 얼음 빙(冫) 집(宀)안에서 볏단으로 둘러쳐진 안에 사람(人)들이 있고, 그 아래에 얼음(冫)이 있는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 한파(寒波) : 기온이 떨어져 추운 현상 ▶ 冬 : [회의]겨울 동, 걸을 쇠(夊) + 얼음 빙(冫) 상형 문자를 보면 나무가지에 잎이 두개 달린 모습이다. 걷는다(夊)는 의미와는 상관없다. 겨울의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글자 아래 얼음(冫)의 간략형인 두점을 넣었다. - 동지(冬至) : 이십사절기의 하나로,12월 22일경 ☞ 夏 : [회의]여름 하, 머리 경(頁)의 변형자 + 걸을 쇠(夊) 상형문자에는 머리(頁)와 손과 발(夊)이 있으나 생략되어 손과 머리의 일부가 생략되고 하(夏)가 되었다. 여름에 기우제를 지내는 무당의 모습으로 추측하여, 하(夏)가 여름을 의미한다는 설이 있다. ▶ 冷 : 찰 랭, 얼음 빙(冫) + [하여금 령(令)→랭] 얼음은 차므로, 얼음 빙(冫)자가 들어간다. - 냉장고(冷藏庫) ▶ 凄 : 차가울 처, 얼음 빙(冫) + [아내 처(妻)] 얼음은 차므로, 얼음 빙(冫)자가 들어간다. - 처절(悽絶) : 더할 나위 없이 애처로움. ▶ 凍 : 얼 동, 얼음 빙(冫) + [동쪽 동(東)] 얼음이 얼므로, 얼음 빙(冫)자가 들어간다. - 동빙한설(凍:얼 동 氷:얼음 빙 寒:차가울 한 雪:눈 설) : 얼음이 얼고 눈보라가 치는 추위 ▶ 凉 : 서늘할 량, 얼음 빙(冫) + [서울 경(京)→량] 얼음이 서늘하니까, 얼음 빙(冫)자가 들어간다. - 납량(納凉) : 여름에 더위를 피하여 서늘함을 맛봄(납량특집극) ☞ 서울 경(京)이 량으로 발음 나는 또 다른 예 : 양해(諒解)를 바랍니다. ▶ 凝 : 엉길 응, 얼음 빙(冫) + [의심 의(疑)→응] 얼음(冫)처럼 액체가 고체가 되는 것을 엉긴다고 함. - 응고(凝固) : 엉기어 굳어짐. 액체나 기체가 고체로 변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