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왕국 (유다 왕국과 이스라엘 왕국)의 연대기 구약의 열왕기상,하 및 역대하에 등장하는 사건의 중심은 유다왕국과 이스라엘 왕국의 통치자들인 왕중심으로 쓰여져 있다. (사무엘 상하 및 열왕기 상하 모두 4권의 책은 히브리원문에는 한권의 책으로 편집되어 있음)
우리가 히브리 역사를 바로 이해하고 그 곳에서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개략적이나마 이들 왕들의 이름과 통치시기 주변강국과의 정치적인 국제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이 연대기를 염두에 두고 열왕기서등 역사서 및 이사야서 등 선지자서를 읽으면 어느 특정 환경 속에서 하나님께서 어떻게 역사를 해 오셨는가를 이해하게 되고 오늘 우리에게 주시는 그 분의 뜻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연대기를 이해함에 있어서 이웃나라와 전쟁 중이거나, 통치자가 병으로 인해 후계자가 섭정(공유)을 하기도 하였다. 이 기간을 감안하여 남북조 왕국의 연대기를 비교, 대조하면 섭정기간의 이중계산으로 인한 성경상의 시대 계산의 불일치로 보이는 문제가 해결된다. (Edwin Thiele의 히브리왕들의 연대기, ISBE 참조)
아브라함 (BC 2,166 - 1,991년)으로 부터 시작된 족장시대를 거쳐 홍해를 건넌 출애굽 (BC 1,446년 - 왕상 6:1 솔로몬이 주의 성전을 짓기 시작한 해인 966년으로부터 480년 이전)과 40년 광야생활 그리고 요단강을 건너 가나안에 정착하면서 12지파에게 땅이 유업으로 주어진다. 이 때 하나님께서는 필요한 시기에 사사 (judge : 재판관)를 일으켜 그 분의 일을 해 오셨다.(BC 1,400 - 1,050 경)
마지막 사사인 사무엘 선지자 때 이스라엘 백성이 왕을 요구하자, 하나님께서는 사무엘을 통하여 사울을 왕으로 기름부음으로써 통일왕국이 시작되어, 다윗, 솔로몬까지 지속되다가 솔로몬이 죽으면서 남쪽에 유다지파 와 베냐민 지파로 구성된 유다왕국과 북쪽의 나머지 10지파로 구성된 이스라엘왕국으로 분열(BC 931) 된다.
통일왕국 시대의 연대기는 기억하기 쉬운데 이는 3왕이 모두 40년씩 재위에 있었기 때문이다. - 사울왕 1,050 - 1,010 (행 13:21 40년) - 다윗왕 1,010 - 970 (삼하 5:4 40년 통치 : 헤브론 7년 6개월, 예루살렘 33년) - 솔로몬왕 970 - 931 (왕하 11:42 40년 통치)
1.유다왕국 (20대 345년간)
대 | 왕이름 | 섭정기간 | 통치기 간 | 성경기록 | 섭정사유 및 특징 | 1 | 르호보암 | | 931 -13 | 왕상 14:21 | 솔로몬의 아들 | 2 | 아비야 | | 913 -11 | 15:1-2 | | 3 | 아사 | | 911 -870 | 15:9-10 | 2년간 발에 병나 고생하다가 죽음(대하 16:11-14) | 4 | 여호사밧 | 2년 (872-70) | 872 -48 | 22:41-42 | 발병난 아사에 여호사밧 섭정 (872) | 5 | 여호람 | 5년 (853-48) | 848 -41 | 왕하 8:16-17 | 1.아합의 아람과 전쟁하자 아합과 혼인동맹 관계인 여호사밧이 참전(왕상 22) 2.요람이 모압과 전쟁하자 여호사밧 참전. (왕하 3:7) 엘리야 예언대로, 창자에 병들어 죽음 | 6 | 아하시아 | | 841 | 8:25 | 북의 요람이 아람의 하사엘의 공격으로 중상을 입자, 아하시아가 문병왔는데 예후가 알고 므깃도까지 추적하여 아하시아를 살해함 | 7 | 아달랴 | | 841 -35 | 11:3 | 아합의 딸. 아들인 아하시아가 살해되자 정권을 잡고 6년간 통치. 제사장 여호야다에 의해 성전밖에서 제거됨. | 8 | 요아스 | | 835 -796 | 12:1 | 7세 때 즉위. 성전 보수. Millo의 집에서 신하에 의해 살해됨 | 9 | 아마샤 | | 796 -67 | 14:2 | 북의 여호아스와의 전쟁으로 사로잡혀 갔고 (왕하 14:13 792년)이로써 혼인동맹은 깨짐. 결국 라기스에서 살해됨 | 10 | 아사랴 | 25년(792-67) | 792 -40 | 15:1 | 웃시야. 사로잡힌 아마샤 대신 섭정. 앗시리아의 세력 약화로 비교적 평화로운 시기였음. 750년 문둥병 걸림 | 11 | 요담 | 10년(750-40) | 750 -32 | 15:33 | 웃시야가 성전에서 분향하랴다 주의 진노로 문둥병자가 됨. (대하 26:16-21) 요담의 섭정 | 12 | 아하스 | 3년 (735-2) | 732 -16 | 16:1-2 | 친앗시리아파인 아하스가 득세, 실권장악 (왕하 16:7-9) | 13 | 히스기야 | | 716 -687 | 18:1-2 | 산헤립의 유다침공 (701) 후 히스기아는 병들었고 기도로 생명이 15년 연장됨. | 14 | 므낫세 | 10년(697-87) | 697 -43 | 21:1 | 히스기아의 몸이 약해지자 므낫세 섭정(697) | 15 | 아몬 | | 643 -41 | 21:19 | 집에서 살해됨 | 16 | 요시아 | | 641 -09 | 22:1 | 종교개혁 단행, 북왕국의 영토 일부회복. 므깃도에서 이집트의 바로느고와 싸우다 전사. | 17 | 여호아하스 | | 609 | 23:31 | 3개월 통치. 요시아 아들. 이집트로 잡혀감 | 18 | 여호아킴 | | 609 -598 | 23:36 | 요시아 아들. 605년 바빌론 1차 포로 (다니엘 등) 이방인 시대의 원년의 해. 왕이 살해됨. | 19 | 여호아킨 | | 598 -7 | 24:8 | 3개월 통치. 여고냐라 함. 597년 바빌론 2차 포로 때 잡혀감. 561년 에빌 므로닥이 통치중 옥에서 풀림 (왕하 25:27) | 20 | 시드기야 | | 597 -86 | 24:18 | 예루살렘 성전 불타고, 멸망. 왕이 보는 앞에서 아들들이 살해되었고 그는 두 눈이 뽑혀 바빌론으로 잡혀감. (3차 포로) |
2.이스라엘 왕국 (20대 208년)
대 | 왕이름 | 섭정(경쟁)기간 | 통치기간 | 성경기록 | 섭정사유 및 특징 | 1 | 여로보암 | | 931 -10 | 왕상 14:20 | 벧엘과 단에 금송아지 제단을 만들어 이곳에서 하나님을 경배케 함 (여로보암의 죄) 20명의 왕이 모두 이 죄을 범해 하나님 앞에서 악하다 하심. 수도 : 티르사 | 2 | 나답 | | 910 -09 | 15:25 | 바아사에 의해 살해됨 | 3 | 바아사 | | 909 -886 | 15:33 | 남하정책으로 남의 아사와 전쟁. 아람(시리아)의 전쟁 개입 | 4 | 엘라 | | 886 -85 | 16:8 | 2년 통치. 병거 절반을 맡은 시므리에 의해 살해됨 | 5 | 시므리 | | 885 | 16:15 | 7일간 통치. 군대맡은 오므리에 의해 살해� | 6 | 티브니 | 5년 (885-80) | 885 -80 | 16:21 | 시므리가 살해되자 나라가 둘로 나뉨. 오므리와 5년간 경쟁관계 | 7 | 오므리 | | 885 -74 | 16:23 | 880년 티브니가 죽자 단독 통치. 웅장한 사마리아성 건축시작. 이 후에 사마리아는 북왕국의 수도가 됨. | 8 | 아합 | | 874 -53 | 16:29 | 시돈의 이세벨과 결혼으로 바알 숭배 사상을 들여옴. 엘리야의 사역 시기. 벤하닷(아람)과의 전쟁에서 전사함. (853) | 9 | 아하시아 | | 853 -52 | 22:51 | 다락방에서 떨어져 병상에서 죽음.(엘리야 예언) | 10 | 요람 | | 852 -41 | 왕하 3:1 | 엘리야 승천. 엘리사 사역 시기. 아람의 하사엘에 의해 중상입고, 예후에 의해 살해됨으로써 오므리 왕조가 막내림. | 11 | 예후 | | 841 -14 | 10:36 | 이세벨과 요람을 죽이고 예후왕조 시작. 앗시리아에 조공. | 12 | 여호아하스 | | 814 -798 | 13:1 | | 13 | 여호아스 | | 798 -82 | 13:10 | 남의 아마샤를 포로잡고 예루살렘까지 진격 섬벽허물고 보물탈취해 감. 엘리사의 죽음. | 14 | 여로보암 2 | 11년(793-82) | 793 -53 | 14:23 | 여호아스가 남의 아마샤와의 전쟁에 전념하자 아들인 여로보암이 793년부터 내정을 맡음. | 15 | 스가랴 | | 753-52 | 15:8 | 6개월간 통치 살룸에 의해 살해됨. 예후왕조 끝남 | 16 | 살룸 | | 752 | 15:13 | 1개월간 통치. 므나헴에 의해 살해됨. | 17 | 므나헴 | 10년 (752-42) | 752 -42 | 15:17 | 임신한 여인 배갈라 죽인 악한 왕. 앗시리아의 Pul왕에 조공을바침. 길리앗의 베가와 10년간 경쟁관계 | 18 | 브가히야 | 2년(742-40) | 742 -40 | 15:23 | 길리앗의 베가와 2년간 경쟁관계. 베가에 의해 살해됨 | 19 | 베가 | | 752 -32 | 15:27 | 740-32 단독통치. 아람과 연합하여 남의 아하스와 전쟁 (735-33). 남이 손잡은 앗시리아에 영토및 재물 앗김. 호세아에 의해 살해됨. | 20 | 호세아 | | 732 -22 | 17:1 | 앗시리아의 살람에셀에 3년간 사마리아성 포위되고 결국 722년 사르곤 2세때 멸망함. |
3.주변 강국의 왕조
1)시리아 (아람-다마스커스) - BC 900 ~ 732 - -벤하닷 1세 900 ~ 860 : 남 아사왕을 도와 북 바아사 왕(909 ~ 886)을 견제함 (왕상 15:20) -벤하닷 2세 860 ~ 42 : 아합왕이 그와의 3차례 전쟁중 마지막 전투인 라못-길리앗에서 전사함 (853) -하사엘 842 ~ 06 : 북의 요람왕에게 라못-길리앗에서 중상을 입힘 (841) -벤하닷 3세 806 ~ 740 : -르신 740 ~ 32 : 북의 베가왕과 연합하여 남의 아하스왕을 침공함. (735-33) -멸망 732년 : 르신 때에 앗시리아에 멸망.
2)앗시리아 (수도 : 니느웨) -BC 885 ~ 609 - -앗슈르나시르발 2세 885 ~ 860 : (Ashurnasirpal) -살만에셀 3세 859 ~ 24 : (Shalmaneser) *Qarqar (하맛 북쪽)에서 아람, 이스라엘, 하맛등 11개 연합군과 전쟁 (853) *북의 예후왕을부터 조공을 받음 (841) -약한 왕들 824 ~ 745 : 군사령관이었던 Pul이 무력으로 정권을 장악하여 745년에 티글랏블레셀 3세로 왕위에 올라 앗시리아 제2기 왕조시대를 열음. -티글랏블레셀 3세 745 ~ 727 : (Tiglath-Pileser) 아하스왕을 도와 북의 베가왕과 르신을 물리치나 대신 왕궁과 성전의 재물을 그에게 바침 -살만에셀 5세 727 ~ 23 : 3년간 사마리아성 포위 -사르곤 2세 722 ~ 05 : 북이스라엘의 멸망 (722) -산헤립 705 ~ 681 : 유대 왕국 침입, 예루살렘 성 포위, 라기스 성 공방 (701년) -에살하돈 681 ~ 69 -아슈르바니발 669 ~ 27 -내부 분열시기 627 ~ 612 : 612년 수도 니느웨가 바빌론에 의해 함락됨 -멸망 609년 갈그미스 전투에서 바빌론에 패하므로써 멸망함
3)바벨론 (수도 : 바빌론) - BC 625 ~ 539 - -나보폴라살 625 ~ 605 : 니느웨 함락시킴 (612) -느브갓넷살 2세 605 ~ 562 : 유대민족을 를 3번 포로 잡아갔고(605, 597, 586), 586년에 예루살렘을 멸망시킴. -에빌 므로닥 562 ~ 60 : 561년 여고냐가 포로에서 풀림(왕하 25:27) 매부인 네글리살에 의해 살해됨 -네글리살 : 560 ~ 56 -나보니두스 : 556 ~ 39 : 귀족으로서 정권 탈취. -멸망 : 539 : 나보니두스의 장남으로서 섭정인 벨사살 왕 (다니엘 5장)은 비빌론에서 페르시아의 고레스의 공격에 제국의 최후를 맞이하며, 살해된다. 2.주목해서 볼 역사적 사항
1)북왕국의 8대 왕인 아합은 남진하여 해상로를 확보하려는 시리아 왕국에 대항하고저, 페니키아 지역의 시돈왕의 딸인 이사벨을 아내로 맞이하는데 이사벨은 이방종교인 Baal신을 이스라엘에 들여온다. 그는 또 한편으로 남의 4대 왕인 여호사벳과 혼인동맹을 맺어, 그의 딸인 아달랴를 여호사벳왕의 아들인 여호람에게 혼인하게 한다.(865년경) 시리아의 벤하닷이 쳐들어오자 라못길리앗에서 남북연합군과 시리아군이 충돌하는데(왕상 22장), 이 전투에서 아합은 전사한다. (853년)
2)엘리야와 엘리사는 분열왕국 시대의 유명한 선지자들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 임한 하나님의 말씀을 별도로 기록하지 아니하고 열왕기서에 그들의 사역이 나와 있다. 엘리야는 왕상 17-19장에 북왕국 8대 왕인 아합왕 시대 (874 -53)의 사역자로, 엘리사는 왕하 2- 8장에 역시 북왕국의 10대 왕인 요람 왕 시대 (852-41)의 사역자로 일하였다. 모두 오므리 왕조 (7-10대)때로 이 시대는 여로보암의 죄에 바알신 숭배를 더한 영적으로 악한 시대로서 결국 엘리사의 기름부음을 받은 예후에 의해서 요람, 이사벨과 그 모든 일족을 제거하므로써 오므리왕조가 끝나고 만다.
3)성경의 기록은 BC, AD 몇년에 등등으로 기록되어 있지 아니하고, 사건 중심으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성경상의 역사적 사건이 세속의 역사와 중첩되어 나타난 경우에는 세속역사 연대를 기준점으로 하여 성경상의 기록연대를 계산해 낼 수 있다. 에드윈 틸레 (Edwin Thiele)가 히브리 역사를 연구하던 가운데 분열왕국 시대의 대조연대가 실제적인 사건과 일치하지 않은 곳이 많음을 발견하고, 세속역사의 고증을 받아 가면서 십수년간 연구�에 유다와 이스라엘 왕국의 왕들의 연대기를 완성하게 되었다. 그의 연구의 기준점이 되는 역사적 사건은 다음과 같다. - Qarqar 전쟁 : 앗시리아와 11개 연합군(이스라엘, 아람, 하막 등)의 전쟁 -- 853 (BC) - 예후왕 (북왕국 11대왕)이 앗시리아의 살만에셀 3세에 조공 바침 -- 841 - 북왕국의 멸망 (사마리성 함락) -- 722 - 산헤립의 유다 침공, 라기스성 공방 -- 701 - 예루살렘 멸망, 바빌론 포로 -- 586 이제 성경기록과 세속역사 기록의 불일치의 예를 하나만 살펴본다. 왕하 18:10 에 히스기아 6년에 사마리아가 멸망한다. 이는 세속역사의 722/23년에 해당한다. 왕하 18:13 에 히스기아 14년에 산헤립이 유대침공. 이는 세속역사의 701년에 해당한다. --------------------------------------------------------------------------------------- (8년 차이) (21년 차이) 세속역사에 의하면 사마리아 함락에서 산헤립의 유다침공이 21년의 간격이 있는 반면, 성경 기록상의 간격은 8년 밖에 안 된다. 이 차이(13년)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가. 우리는 성경의 대조년도 연대기 편집이 후세대 누군가(제사장인 에스라 ?)에 의해서 편집된 것으로 안다. 비록 하나님의 말씀이지만 편집 상에서 인간에 의한 오류가 전혀 없었다고 할 수 있을까.
4)예수님의 족보가 기록된 마태복음 1장의 8을 보면 "아사는 여호사밧을 낳고 여호사밧은 요람을 날고 요람은 웃시야를 낳고"라고 되어 있다. 여호사밧은 4대, 요람(여호람)은 5대요, 웃시야은 10대 왕임.
따라서 6~ 9대의 4명의 왕(아하시아, 아달랴, 요아스, 아마샤)이 족보에서 빠져 버리는데, 아마도 이들은 여호사밧과 아합의 혼인동맹으로 요람이 아달랴와 혼인을 하게 됨으로써 북왕국의 바알신을 섬기는 풍습이 남왕국으로 들어와 그 순수치 못한 피를 받은 3대 (아달랴는 아하시아 어머니로서 아들이 북의 예후에 의해 살해되자 정권을 장악)가 제외되지나 않았는가 생각되어 진다. *이 4명의 왕들은 모두 살해되었음.
|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