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Rail+ 철도동호회
 
 
 
카페 게시글
③ 도시/광역철도 경전철 건설과 노선번호명칭문제
고속철도 시속 천킬로 추천 0 조회 392 07.07.02 13:19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7.07.02 15:03

    첫댓글 반송선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07.07.02 16:40

    지방에서 간선을 경전철로 건설하겠다는 것은 서울의 그것과는 그 성격과 비중에서 차이가 난다고 보아야 하지 않을까요? 서울에서는 간선을 경전철로 짓지는 않고 있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간선은 노선번호를 부여하고 지선은 지역명을 부여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죠. 부산 반송선의 경우는 4호선으로, 대구 3호선은 3호선으로 부여하고 추후 지선 성격의 노선은 서울이고 부산이고 관계 없이 지역명을 부여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서울이냐 지방이냐의 문제가 아니라 지선이냐 간선이냐의 문제라는 것이죠. 그것이 간선 - 지선의 구분이나 지선 노선이 위치한 지역을 노선 이름만 보아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하지 않을까 합니다.

  • 07.07.02 18:27

    중전철과 경전철이 사람을 얼마나 실어나르느냐만 다르지 요금이 다른것도 아니고 환승이 안되는것도 아닌데 굳이 다른이름을 붙일 필요가 있을까요?? 1,2,3,4,로 명칭을 붙였으면 그냥 계속 나가는것이 일관성 측면에서 좋을것같습니다..

  • 07.07.02 21:06

    도심부와 특정 지역을 연결하는 지선은 그 특정지역명을 붙이는 것이 좋겠네요. 반대로 경전철이라도 도시의 광범위한 지역을 커버한다면 (예 : 대구 3호선, 반송선이 초읍+서면까지 연장시) 호선을 부여하는 것이 좋겠네요. 부산의 영도선,용호선, 송도선 등등은 그대로 지역명을 붙이는 것이 노선의 방향을 쉽게 알 수 있어 좋겠네요.

  • 07.07.02 23:58

    대구의 경우 3호선의 겨우 경전철로 짓고 있습니다 만약 경전철 1호선이라고 칭하다면 대구1호선과 혼동이 오지 않을까요 그래서 3호선으로 사용하는게 아닐런지 생각이 듭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