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행복한 만남 [건시스템] - 건시스템정보처리학원(前)
 
 
 
카페 게시글
˚·. 질문답변 ············ *:.☆ 정보처리시험(기출문제 나온거) FLAG,SW ??
tearhun 추천 0 조회 396 06.11.03 13:16 댓글 1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6.11.03 15:30

    첫댓글 네..아직은 초기라 알고리즘이나 다른부분에서도 중복되는 문제는 출제될 확율이 극히 적다 못해...안나올듯 합니다만...^^ 또 모르는게 사람일이라?? ㅎㅎ 근데...정열은 아직 안나온 문제도 있어 겹치는 문제는 절대 안나올듯 합니다..

  • 06.11.03 15:33

    Flag와sw는 뜻이 있는게 아니라 걍...스위칭 변수의 정의 입니다...그 정의는 출제자 맘이지만...기본적으로 저 두개를 쓰고요...스위칭 변수란...N번째까지 반복을 하며 돌아갈때 한번은 수식을 적용하고 한번은 적용안하고 이러면서 왔다 갔다...한번씩 계산이 되게 만들기 위해 쓰이는 변수 입니다...^^

  • 06.11.03 15:34

    쉽게 설명을 드려야 하는데 아직 내공이 부족하여 ㅎㅎㅎ 스위칭변수가 쓰이는 정열은 버블정열이 있습니다^^

  • 작성자 06.11.03 20:36

    마우님 고수이신가 보네요 ㅋㅋㅋ 그럼 조금 더물어봐도 될까요? sw=1,sw=0 flag=1.flag0 이건 무슨의미일까요? 1이면 수식적용 0이면 수식미적용 인가? 아 넘 힘드네요 기사공부

  • 06.11.03 20:41

    음...제가 고수는 아니고...ㅡㅡ;;; 어케 설명을 드려야 잘 드렸다고 소문날지 모르겠네요...우선 다시 스위칭 변수를 설명드리자면...SW나FLAG는 그냥 정의 즉 이름일뿐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만...기본적으로 이 두가지를 쓰고 출제가가 난 스위칭 변수를 위의 두개로 정의 안하고 YYY로 정의 한다면 이게 스위칭 변수가 되는겁니다 ㅇㅋ? 다시한번 말씀드리면 걍...이름일뿐이라 이거죠 ㅎㅎㅎ

  • 06.11.03 20:53

    그리고 스위칭변수가 쓰인다는것은 반복문이 들어간다는 이야기 입니다...예를 들어 1~100까지 홀수의 합을 구하라는 문제를 들면...변수는 100번 반복된다는 것은 아시죠? 기본적으로 i=i+1로 정의 됩니다 그렇다면...i변수의 초기값이 1이죠?그렇다면 총합의 변수 초기값은 처음부터 1입니다...ㅇㅋ??

  • 06.11.03 20:48

    그럼 1은 홀수고 2는 짝수고 3은 홀수고 4는 짝수고...이걸 컴퓨터는 어케 정의해줘야 해결할까요? 여기에 스위칭 변수를 쓰는 겁니다...젤 첨 변수 1은 홀수니까 총 합계에 포함시켜야 겠죠? 그다음은 2니까 짝수...포함시키면 안되겠죠? 이렇게 한번은 총합계에 포함하고 그담은 포함 안하고...이런식으로 식을 사용하는겁니다 ..그러다 보면 홀수만 100번째항까지 합이 구해지겠죠? ㅇㅋ?

  • 06.11.03 20:54

    그럼 여기서 문의 하신 SW=1이거나 0이 무엇을 의미하냐? 이걸 답해드리겠습니다...우선 스위칭변수를 조건문에 넣어 쓰냐 초기화를 하냐 이 두가지가 있는데요...쉽게 초기화를 했다고 가정하고 설명 드리겠습니다...(지금 드린 말이 이해가 안가시면...곤란한데..ㅡㅡ;;..초기화란...변수들을 처음에 어케 지정을 해줄꺼냐? 입니다...1~100까지 변수 i를 0으로 초기화 하냐 1로 초기화 하냐가...총합 변수 초기화가 0이 되냐 1이되냐...정해지듯이...스위칭변수도 첨에 0으로 할꺼냐 1로 할꺼냐 정합니다...다른 변수와 다르게 도아니면 모인 변수 이므로 0으로 하나 1로 하나 의미는 전혀 없습니다)

  • 06.11.03 20:57

    아...죄송합니다...제가 지금 약속시간이 다되서..ㅡㅡ;; 갔다와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근데 설명 하자니 좀 힘드네요 ㅎㅎㅎ

  • 작성자 06.11.03 21:04

    정말 감사합니다 ㅋㅋㅋ 알고리즘 님정도만하면 합격확실하지싶은데 저한테 기를 불어넣어주세요 ㅋㅋ

  • 06.11.04 13:52

    앗...답변이 좀 늦었습니다...ㅡㅡ;;; 놀다오다 보니 ㅎㅎ...답변 계속 드리겠습니다...우선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스위칭 변수를 0과 1로 나누는 것은 위에 언급했다시피...도아니면 모...이 두가지 상황에만 적용하는 변수 이기 때문이고 숫자를 0과 1 로 주는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숫자를 2와3으로 정해도 무방)...다만....한번은 스위칭 변수가 0일때 계산을 한다면 위에 언급한 예를 들어 홀수에 적용시킬경우 짝수는 1에 적용이 되며 스위칭 변수를 0으로 초기화 하고 홀수를 계산했다면...다시 스위칭 변수를 1로 바꿔줘야 하는 식이 바로 아래 쓰여야 담 짝수 식에 스위칭 변수 1이 적용되어 짝수는 계산이 안되고 넘어 갑니다...

  • 06.11.04 13:54

    당근 짝수의 계산식 아래에도 이번엔 스위칭 변수를 다시 0으로 바꿔주는 식이 나와야 겠지요...이렇게 계속 반복을 100번 까지 하다보면 홀수의 값만 도출이 되는것입니다...아...일어나자마자 답변 드리는거라 좀...부족한 면이 있는듯 합니다...이해가 가셨으면 좋겠는데^^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