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영 기자]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귀지를 파는 것이 귀 건강에 좋지 않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에도 불구하고 일반인 10명 가운데 9명은 귀지 제거를 멈출 생각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명ㆍ난청 비수술 전문 마포소리청한의원이 118명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89%(105명)가 ‘귀 건강과 상관없이 귀지를 제거하겠다’고 응답한 것. 이에 대한 이유로는 ‘청결유지(35%/37명)’가 가장 많았으며 ‘가려워서’ 30%(32명), ‘이물감’ 29%(30명), ‘청각장애’ 6%(6명) 순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마포소리청한의원 변재석 원장은 “귀지는 귓속의 면역력을 책임지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자꾸 걷어내면 그 과정에서 외이도가 상처를 입거나 세균증식으로 인해 귓속 건강이 나빠질 뿐 아니라 밀려난 귀지가 고막을 자극해 이명이 생길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귀지를 파내는 수단으로는 대다수인 72%(85명)가 ‘면봉’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귀 후비개’ 17%(20명), 볼 펜촉ㆍ연필심ㆍ성냥개비ㆍ이쑤시개 등 끝이 뾰족하거나 얇은 주변물체를 이용한다는 대답도 11%(13명)를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더불어 귀지를 가장 많이 파내는 때로는 ‘샤워 혹은 머리감을 때마다’가 62%(73명), ‘가렵거나 이물감이 느껴질 때’가 19%(23명), ‘습관적으로’가 10%(12명), ‘이명ㆍ난청'이 느껴질 때 7%(8명), 기타 2%(3명)순이었다. 특히 이명은 과로나 스트레스, 돌발성 난청, 메니에르병, 소음성 난청, 머리 외상, 노인성 난청, 청신경 종양, 중이염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귀 주변을 지나가는 혈관에서 나는 소리 혹은 경추와 턱관절 장애도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요즘처럼 일교차가 크고 건조한 날씨에도 귓속 피부가 푸석거리지 않는 이유는 바로 약간의 기름기를 머금고 있는 귀지 덕분. 아울러 귀지의 산도는 약산성을 띄고 있어 세균의 증식을 막아 줄 뿐 아니라 때가 되면 스스로 사라지는 능력을 발휘한다. 또 얼마 전 미국에서는 귀지를 파는 것보다 그냥 남겨두는 것이 귀 건강에 좋다는 국가지침까지 발표된 바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귀 건강을 생각한다면 귀지제거는 하지 않는 편이 더욱 현명한 선택일 것이다. 한경닷컴 bnt뉴스 기사제보 goodluck@bntnews.co.kr -------------------------------------------------- 지금 제컴퓨터 옆에도 귀 후비개가 있고 저도 심심하면 후비는데..-_-;; 건강에 좋지 않은 것이었군요.... 저처럼 잘 모르고 잘 파내시는 분들을 위해서 올려봅니다.. |
카페 게시글
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첫댓글 저의 어머니가 목욕후, 꼭 면봉으로 귀청소 하시는 버릇이 있스셨는데, 귀지가 안쪽에서, 굳어져서, 이명으로 고생하시다가, 마지막엔, 이비인후과에서 굳어진 귀지를 액체를 넣어서, 부드럽게 한 후에 바큠으로 빼냄....엄청 아프시다고 호소...그뒤로는 면봉을 집에서 없애버림.
자주 면봉으로 귀를 후비는 습관이 있는 저로서는, 좋은 정보이네요~^-^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