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ghyun Ji
6.25 전쟁에 숨겨진 사연들
아이젠하워 대통령과 그의 아들 존 소령
1952년 12월 어느날,
대통령 당선자인 노르만디의 영웅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한국 전선을 살피기 위해 방한하여 8군 사령부를 찾았다.
8군과 한국군의 고위 장군들과 참모들이 모두 참석하고 전 세계의 기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밴프리트 사령관이 전선 현황에 대해서 브리핑을 끝내자 조용히 듣고 있던 차기 미국 대통령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당선자가 뜬금없는 질문을 하였다.
“장군, 내 아들 존 아이젠하워 소령은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얼마 안 있어 대통령에 취임할 당선자의 야전 전투 사령관에 대한 첫 질문 치고는 너무나 대통령답지 않은 사적인 질문이기도 했지만 상대가 아들을 잃고도 꿈쩍하지 않은 밴프리트 장군이였기에 모두들 무슨 일이 벌어질까
바짝 긴장하지 않을 수가 없는 상황이었다.
" 아이젠하워 소령은 전방의
미 제3사단 정보처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라고 밴프리트 장군이 사무적으로 짤막하게 대답했다.
아이젠하워는 그야말로 참석자 모두가 놀라자빠질 사적인 부탁을 공공연히 했다.
“사령관, 내 아들을 후방 부대로 배치시켜 주시오.”
참석자들이 모두 서로 두리번
거리면서 웅성거리고 밴프리트 사령관도 언짢은 표정으로 아이젠하워를 응시하면서 의아해 하자 당선자가 조용히 말했다.
“내 아들이 전투 중에 전사한다면 슬프지만 나는 그것을 가문의 영예로 받아들일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에 존 아이젠하워 소령이 포로가 된다면 적군은 분명히 미국 대통령의 아들을 가지고 미국과 흥정을 하려 들 것입니다. 나는 결단코 그런 흥정에 응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사령관이 잘 알다시피 미국 국민은 대통령의 아들이 적군의 포로가 되어 고초를 겪는 것을 용납하지 않고
‘대통령의 아들을 구하라’고
외치며 나와 미국에게 적군의 요구를 들어주라고 압력을 가할 것입니다.
나는 그런 사태를 원치 않습니다.
그래서 나는 사령관이 즉시 내 아들이 포로가 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 주실 것을 요청하는 것입니다.”
순식간에 두리번거리면서 의아해하던 분위기가 반전되어 모두들 고개를 끄덕이며 웃는 표정이 되었다.
“옛써, 즉각 조치하겠습니다. 각하!”
밴프리트 장군의 힘차고 또렷한 목소리가 장내에 울려 퍼졌다.
이 에피소드는 이 자리에 참석했던 미 2사단 72 탱크 대대의 대대장 T.R Fehrenbach 중령이 전역 후 쓴 "This kind of war(한국 전쟁)" 라는 책에서 생생하게 증언하고 있다.
(페렌바하는 전역 후 유명한 역사 저술가와 칼럼니스트가 되었다.)
T.R Fehrenbach와 저서
★에필로그
마지막 UN군 사령관인 마크 클라크 대장의 아들 클라크 대위도 금화지구의 저격능선에서 중대장으로 싸우다가 세 번에 걸친 부상으로 전역을 했으나 결국 그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한국전에 참가한 미군 장성과 유명인사의 아들들은 모두 142명, 그중 35명이 전사하였다.
한국전에서의 미군 전사자는 모두 54,000여명 부상자는 10만명이 넘었다.
칼레에서 유래한 노블레스 오브리쥬 정신...!!
남의 나라 전쟁에 참전하여
사령관이 전사하고 사단장이 포로가 되며 자기 자식들마저 참전시켜 전사를 당하게 하는 장군들과, 남의 나라 전쟁에
54,000여명의 전사자를 내고도 꿈쩍않는 국민을 둔 미국...
이글을 읽으시는 분들께서도
미국 국민의 국가에 대한 사명감을 짚어 보시고, 다 함께 자성을...........
감사합니다. ☆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