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목환율이 아닌 PPP 환율을 기준으로 환산한 것은 PPP 환율이 물가를 반영하기 때문에 현실의 생활수준을 더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한편 미국의 명목환율 계산값과 PPP 환율 계산값이 동일한 건 애시당초 PPP 환율을 계산하는 기준이 미국(달러)이라서 그렇다.
중위 가처분소득은 소득을 기준으로 특정 국가의 생활수준을 측정하는 데 있어 단일 지표로서는 제일 적합하다고 볼 수 있으나 역시 한계가 존재한다. 소득 분배 구조에 따라 중위소득이 큰 차이가 없어도 중위소득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상대적 빈곤 문제의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인구가 5명인 나라 "A" 와 "B" 가 있고, A의 소득분배는 "5, 5, 6, 8, 10" 이고 B의 소득분배는 "1, 1, 6, 8, 10" 라고 가정했을 때 저소득층의 소득수준은 매우 큰 차이가 나는데도 불구하고 중위소득은 6으로 동일하다. 그리고 중위값에 해당되는 소득계층과 최상위에 해당되는 소득계층 간의 격차 또한 알 수 없다. 예로 들어 A의 소득분배는 "5, 5, 6, 8, 10" 이고 B의 소득분배는 "5, 5, 6, 30, 50" 일 때도 중위소득은 똑같이 6이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지니계수, 상대적 빈곤율, 빈곤 갭, 소득 분위 배율 등 다양한 분배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균등화 소득은 균등화를 거치지 않은 가구소득과는 별개로 가구 구조에 큰 영향을 받는다. 단적으로 설명하면, 1인 가구가 많을수록 더 불리하다. 균등화 소득은 가구원수 한 명이 늘어날 때마다 2배, 3배의 소득이 더 필요하다고 보지 않기 때문에 똑같은 액수를 버는 두 사람이 있을 때 이 둘이 각각 가구를 이루고 있을 때보다 하나의 가구로 합쳤을 때 후생 수준이 훨씬 높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300만원을 버는 두 사람이 각자 살고 있을 때 이 둘의 균등화 소득은 300만원. 반면 살림을 합치면 600만원÷1.4 = 428만원이다. 자세한건 중산층 항목 참고.
한국의 중위소득이 유럽 국가들에 비해 크게 뒤지지 않는 건 1인 가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도 하나의 원인이라는 식으로 잘못 호도하는 경우가 있는데 한국의 여느 발전형 통계(도시화율, 1인당 GDP 등)든 쉽게 나타나는 인식 지체 현상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특히 소가구/1인 가구화가 지난 20년간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2010년대 중반부터는 대부분의 통계가 주요 선진국과 큰 차이가 없는 수준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1인 가구가 통계에 미반영되었다는 얘기가 있지만, 이미 2019년부터는 반영되고 있으며, 반영 이후에도 중위 소득 자체는 기존값/증가속도와 크게 다르지 않다. 선진국의 가구원수의 변화를 감안해 동시기인 2015년 센서스 기준으로 각국 통계를 맞추는 경우, 한국의 2.5인은 미국(2.5인), 일본(2.4인), 유럽 평균(2.3인)과 비슷하다. 소가구화가 진행된 북유럽(2.0인)보다는 많지만, 이 정도면 주요 선진국 수준과 거의 동급이며 한국의 중위 소득 자체가 주요 선진국 수준으로 올라온 것 맞다. 게다가 비슷한 수준의 국가 중에서 한국의 소가구화 진행속도는 여전히 빠른 수준인데 한국의 중위 소득이 경제 성장과 크게 괴리되지 않고 연동되어 성장하고 있다는 점을 보면 한국의 중위 소득 수준이 높은 수준이라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게 맞다.
4. 여담
노르웨이는 PPP 기준 1인당 GDP에서 미국과 스위스를 앞서는 데도 불구하고 소득에서는 두 나라에 비해 떨어지는데, 이는 노르웨이의 경제-산업구조가 일반적인 선진국과는 많이 달라서 그렇다. 노르웨이는 칠레와 함께 OECD 국가들 중 GDP에서 천연자원 관련 산업 비중이 20%를 넘는 둘뿐인 국가로 지출 측면의 GDP를 기준으로 봐도 순수출의 비중이 20%를 넘는다.
캐나다와 호주도 칠레, 노르웨이만큼은 아니지만 GDP에서 광업(천연자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8%로 절대 작은 규모는 아니다. 호주의 경우 광업이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제조업보다 높다. 이들 산업의 후방 연쇄 효과, 그리고 대외균형에서 맡는 역할까지 고려했을 때[3] 대단히 큰 이득을 보고 있는 셈.
자국 화폐 단위 기준으로 보면 대한민국 원화가 얼마나 단위가 큰지를 볼 수 있다. 유일하게 천만 단위까지 가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