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달게, 또 쓰게
거기에는 아침의 맑은 공기와도 같은 청명한 호흡이 있고, 그 공기를 떨게 하는 차가운 시대에의 공명이 있다.
깨끗하고도 가슴 시린 노래들, '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세노야 세노야', '한 사람','하얀 목련'은 우리를 서정의 세계로 불러들이고,
'상록수', '늙은 군인의 노래','한계령' 그리고 '아침이슬'은 1970년대 포크문화에 낭만보다 저항정신이 살아 있음을 일깨운다.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 / 차가운 네 눈길에 얼어붙은 내 발자국 /
돌아서는 나에게 사랑한단 말 대신에 / 안녕 안녕
목 메인 그 한 마디 /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었기에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우리들 가진 것 비록 적어도 / 손에 손 맞잡고 눈물 흘리니 /
우리 나갈 길 멀고 험해도 / 깨치고 나가 끝내 이기리라
(상록수)
이 노래들고 함께 우리는 참 달게도 또 쓰게도 살았다고 얗희은 스스로가 말한다.
"제 노래가 우리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무언지 모를 가슴속의 응어리를 풀어 주고 쓰라린 마음을 해소해 주었다고 봅니다.
제 노래로만 말하자면 팬들은 틀에서 벗어나는 싱그러움을 느꼈던 것 같고요, 한마디로 타성에 젖지 않는 모습이었던 거겠지요!"
틀에서 벗어나는 싱그러움은 서정성이요,가슴속의 응어리를 풀어 주는 것이 뜻하는 의미는 시대성이다.
양희은은 서정성과 시대성이라는 대중가요를 한때의 유행가에서 때로 오랜 세월 면면히 흐르는 전설로 탈바꿈해 주는
이 두가지 축과 함께 40년의 기록을 써 왔다. 하지만 가수 데뷔 50년을 수놓은 그 어떤 노래들도 양희은 자신의 삶,
아니 우리 삶의 실제 모습과 동떨어진 것들은 없다.
'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 내 나이 마흔 살에는', 그리고 ' 당신만 있어 준다면', 영화< 선생 김봉두 >에 나왔던
' 내 어린 날의 학교'는 음악이란 무엇보다 먼저 남의 이야기 아닌 아티스트 자신의 독백이라는 기본을 말해준다.
강산이 네 번 바뀌는 긴 세월 동안 양희은은 그렇게 자신의 나이 듦과 그사이 본 세상을 고백하듯이 한편으로는 달게,
다른 한편으로는 쓰게 노래로 삶을 그려낸 것이다.
어떤 쪽이든 따지고 보면 모든 것이 사랑이었다. 언제나 양희은의 노래는 마치 세상을 모두 자기 팔 안에 안고 감싸려는
포용과 연민의 숨결이 흐른다. 그의 음악이 공감을 자극하는 것도 거기에 복류하는 인간적인 측면일 것이다.
"내 노래는 물이다. 물처럼 어떤 그릇에 담든 모양이 변한다.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 불러도 손색없는 것이 매력이다."
2011년 서울 대학로 아르코예술극장에 올랐던< 어디까지 왔니>는 양희은 음악이 품은 서정성과 시대성 그리고
그의 인생을 압축한 휴먼 뮤지컬이었다. 낭랑한 음악들이 있고 60년대와 70년대가 있고, 그 시절을 껴안고 살아온
한 여자의 스토리가 있다.(<어디까지 왔니>는 양희은이 1981년 발표한 앨범의 제목이다)
우리 국민이 기꺼이 양희은과 그의 노래에 긴 생명력을 수여한 것도 시대정서든, 인간미든 변치 않은 진실함 때문이라고 본다.
그렇지 않고서야 어떻게 '아침이슬'이 우리 국민의 삶과 생각에 가장 영향을 끼친 노래가 되고, 노래방의 엔딩 레퍼토리가 되어
그날의 마침표가 될 수 있겠는가. 스스로의 말처럼 양희은이 타성에 젖지 않는 모습을 유지하는 것도 그 투명하고도 시린
노래들이 가슴속에 고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 아닐까.
어떤 순간에도 양희은은 음악적이다. 설령 라디오 방송진행자로 인식할지 몰라도 양희은은 미디어종사자에 앞서
영원한 뮤지션이다. 누적된 히트곡만을 다시 일깨워 추억을 자극해도 충분한 마당에 그는 여전히 신곡과 새 앨범을 고집한다.
"사람들이 아무리 옛 노래만을 찾더라도 새 노래를 만들어 내야 합니다.
과거의 복제는 가수로서 끝이지요!"
그가 음악을 통해 우리 시대 음악작가를 굴착해내는 부가적성과를 거두었다는 사실 하나만 봐도 명백하다.
먼저 '아침이슬'과 '금관의 예수','상록수','늙은 군인의 노래'를 쓴 김민기는 두말 할 필요 없는 역사 그 자체이고
'한사람','내님의 사랑은','네 꿈을 펼쳐라','들길 따라서'등 서정과 낭만이 가득한 곡들을 쓴 사람은 포크듀엣 따로 또 같이의
주역인 이주원이었다. 그는 양희은이 활동하지 않았어도 가요 팬들의 가슴에 그 존재를 지속시켜 준 곡들로 포스트 김민기의
최강 콤비플레이를 만들어 냈다. 이어서 하덕규의 '한계령','찔레꽃 피면', 이병우의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 그리고
김의철은 '저 하늘에 구름따라','망향가'등이 양희은의 목소리를 통해 음악 이미지를 구축했다.
그는 언제나 작곡가들의 작품을 풀어낼 줄 아는 빼어난 역량을 발휘했다. 이것은 자신의 음악적 비전을 잘 풀어 줄 작가와 곡을
선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대중들은 창조자들 이상으로 그 음악을 명쾌하게 해석한 위대한 전달자 양희은을 사랑했다.
그토록 오랜 세월 노래를 들었어도 어찌해서 그의 노래들은 다시 접할 때마다 싱그러운 느낌이 드는 걸까.
양희은은 미국의 존 바에즈가 그렇듯 소프라노 음역으로 조금의 장식, 과잉, 변형, 멋 부림 없이 있는 그대로의 창법을 구사한다.
치솟을 때든 옆으로 퍼질 때든 언제나 그의 목소리는 티없이 맑고 영롱하다. 이 단순함과 순수함이 사람들이 양희은 노래에
결코 질리지 않는 비결일 것이다. 1970년대 초중반 포크 음악 무대에서 통기타를 맨 유일한 여가수로,
당대의 여학생들을 또 나중의 아줌마들을 움켜쥐는 여성시대를 개척할 수 있었던 것도 결국은 가창의 기본인 무가공 창법 덕이다.
1952년생으로 1971년에 음악계에 등장햇으니 40년을 넘긴 커리어다. 처자식을 버린 아버지에 대한 미움으로 살아온 어린 시절,
난소암으로 3개월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은 것등 파노라마같은 그의 인생을 다 나열하기는 힘들다.
막연하게 셈해서 아는 것보다 훨씬 많은 애창곡과 기구한 역정을 지니고 그는 여기까지 왔다.
그처럼 달고도 쓰디쓴 인생이었기에 더욱 그 음악에 우리는 공감한다.
- 가수를 말한다에서 발췌; 임진모 지음"빅하우스" 펴냄 -
첫댓글 아
그렇군요.. 재미난 글 고맙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쉬는날 창원에 한번 놀러오세요


운랑님
아님, 마산 창동에서 볼까요
운랑님~~
역시나 이방에서 계속 수고하고 계셨구나~~
잘계시죠?
ㅋㅋ 수월심 말마따나 창동문화의 거리로 나들이 함 갈까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