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부위
뿌리를 약으로 이용한다.
수치법
외용(外用) : 소존성(燒存性), 연말(硏末)한다.
성미
감(甘), 한(寒)
효능해주(解酒)주독(酒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소식체(消食滯)식체(食滯)를 치료하는 효능임제번(除煩)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주치병증사교상(蛇咬傷)뱀에 물린 것. 독뱀에 물리면 3일내에 치료하지 못하면 독기(毒氣)가 심장에 들어가서 사망함.소갈(消渴)다음(多飮), 다식(多食), 다뇨(多尿)하며 소변이 단 병증. 소갈(痟渴)이라고도 쓰고 소단(消癉)이라고도 한다. [소문(素問)] <기병론(奇病論)>에 나옴. (1) 다음(多飮), 다식(多食), 다뇨(多尿)가 특징인 병증. 대부분 기름지고 단 음식물을 과식하거나 음식에 대한 무절제, 또는 정지실상(情志失常), 노일실도(勞逸失度)로 인한 장부조열(臟腑燥熱)로 음허화왕(陰虛火旺)하게 되어 나타난다. 주로 자음(磁陰), 윤조(潤燥), 강화(降火)로써 치료하며, 병기(病機)와 증상, 병세 발전의 차이에 따라 상소(上消), 중소(中消), 하소(下消)의 3가지로 구분한다. [증치회보(證治滙補)] <소갈장(消渴章)>에 "상소(上消)는 심(心) 때문이다. 많이 마시고 적게 먹으며 대변은 평소 때나 다름없되 소변은 양이 많으면서 자주 마렵다. 중소(中消)는 비(脾) 때문이다. 목이 잘 마르고 배가 잘 고프며 잘 먹는데도 마르고 소변이 붉으면서 대변이 막힌다. 하소(下消)는 신(腎) 때문이다. 정(精)이 말라 수(髓)가 고갈되니 물을 마셔 스스로 구하고자 하나 마시는 즉시 소변으로 나오는데 소변이 마치 기름처럼 뿌옇다.(上消者, 心也. 多飮少食, 大便如常, 溺多而頻. 中消者, 脾也. 善渴善飢, 能食而瘦, 溺赤便閉. 下消者, 腎也. 精枯髓竭. 引水自救, 隨卽溺下, 稠濁如膏.)"고 하였다. 이 증은 당뇨병, 요붕증(尿崩證)에서 나타날 수 있다. (2) 다음(多飮), 다뇨(多尿), 요첨(尿甛; 소변의 맛이 단 증상)이 특징인 병증. [외대비요(外臺秘要)] 제11권 <소중소갈신소방(消中消渴腎消方)>에서 "목이 말라 물을 많이 마시니 소변을 자주 보는데 소변이 기름기가 없으면서 밀기울 떡처럼 단 것이 소갈병(消渴病)이다.(渴而飮水多, 小便數, 無脂似麩片甛者. 皆是消渴病也.)"라고 하였다. 이 증은 현대의 당뇨병과 같다. (3) 구갈(口渴)을 말함. [상한론(傷寒論)] <변태양병맥증병치(辨太陽病脈證幷治)>에서 "태양병(太陽病)을 발한(發汗)한 후에…… 만약 맥(脈)이 부(浮)하고, 소변불리(小便不利)하며, 미열(微熱)이 있고, 소갈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오령산(五苓散)으로 치료한다.(太陽病, 發汗後, ……若脈浮, 小便不利, 微熱, 消渴者, 五苓散主之)"라고 하였다. (4) 소갈병(消渴病)의 일종. 목이 마르면서 소변량이 적은 것이 주된 증상이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제53권에 "소갈(痟渴)은 목이 마름에도 불구하고 소변을 보지 못하는 것이다.(夫痟渴者, 爲雖渴而不小便也.)"라고 하였다.소변불금(小便不禁)정신이 멀쩡할 때도 소변이 저절로 나와 이를 깨닫지 못하거나 자주 마려워 스스로 조절하지 못하는 병증. 소변실금(小便失禁)이라고도 함.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소변병제후(小便病諸候)>에 "소변불금(小便不禁)은 신기(腎氣)가 허하여 하초(下焦)가 찬 기운을 받았기 때문이다. 신(腎)은 수(水)를 주관하고 그 기(氣)가 내려가 전음(前陰)으로 통하는데 신이 허하여 하초가 차서 수액(水液)을 제대로 데워서 조절하지 못하므로 소변불금이 된다.(小便不禁者, 腎氣虛, 下焦受冷也. 腎主水, 其氣下通於陰. 腎虛下焦冷, 不能溫制水液, 故小便不禁也.)"라고 하였다.탕화상(燙火傷)끓는 물이나 뜨거운 기름에 팔다리를 데었거나, 혹은 불에 타서 화상을 입는 병증. 탕발화소(湯潑火燒)라고도 한다. 뜨거운 액체나 증기에 상한 것은 탕상(燙傷)이라고 하며, 화염이나 화기(火器)에 상한 것은 화상이라고 한다
관련 화합물 (총 1건)
NHHONH2
5-Hydroxytryptamine (C10H12N2O)
관련 논문
다래순의 데침, 건조 및 발효 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열풍건조 및 데침 처리에 따른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의 항산화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전처리 조건에 따른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의 주요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