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과목으로서의 경찰학은 그 영역의 방대함과 동시에 휘발성이 매우 큰 과목이다. 따라서 기출문제의 중요성은 더 이상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경찰학의 이론에만 집중하는 회독과 학습만으로는 합격권을 장담하기 어렵다. 이론공부를 바탕으로 하는 기출문제 분석이 가장 중요하며, 향후에는 이론공부보다 더 큰 비중을 주어야 한다. 2025 서진호 경찰학 단원별 기출문제 총정리(총론편)는 최근 10년간의 경찰간부시험과 순경공채시험의 기출문제를 모두 반영하였다. 그리고 최근 5년간의 경찰승진시험의 기출문제도 함께 반영하였다. 총 830문제의 총론편 문제를 통한 부단한 노력과 지문 분석이 선행된다면, 고득점 합격을 성취하는 것에 전혀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제1장 경찰학의 기초이론 제1절 경찰학의 선구자 제2절 경찰의 의의 제3절 경찰의 임무 제4절 경찰의 관할 제5절 경찰윤리(이론편) 제6절 경찰윤리(법령편) 제7절 경찰과 범죄 제8절 경찰과 인권 제2장 한국경찰의 역사와 제도 제1절 전근대적 경찰 제2절 근대적 경찰 제3절 식민지 시대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경찰 제4절 미군정시대의 경찰 제5절 현대적 경찰 제6절 한국경찰사의 자랑스러운 표상 제7절 한국경찰사 통합문제 제3장 외국경찰의 역사와 제도 제1절 영국경찰의 역사와 제도 제2절 미국경찰의 역사와 제도 제3절 독일경찰의 역사와 제도 제4절 프랑스경찰의 역사와 제도 제5절 일본경찰의 역사와 제도 제6절 외국경찰사 통합문제 제4장 경찰행정법 Ⅰ - 경찰행정법의 기초 제1절 경찰행정법의 법원 제2절 경찰행정법의 일반원칙 제5장 경찰행정법 Ⅱ - 경찰조직과 법 제1절 경찰의 사무 제2절 경찰조직 일반 제3절 지역경찰관서 제4절 국가경찰위원회 / 시·도자치경찰위원회 제5절 경찰행정관청 상호간의 관계 제6장 경찰행정법 Ⅲ - 경찰공무원과 법 제1절 경찰공무원 근무관계의 성립 제2절 경찰공무원 근무관계의 변경 제3절 경찰공무원 근무관계의 소멸 제4절 경찰공무원 근무관계 통합문제 제5절 경찰공무원의 권리·의무 제6절 경찰공무원의 징계책임 제7절 경찰공무원의 권익보장제도 제7장 경찰행정법 Ⅳ - 경찰작용법 일반론 제1절 경찰권 발동의 근거 및 한계 제2절 경찰상 행정행위 제3절 경찰상 의무이행 확보수단 제8장 경찰행정법 Ⅴ - 행정절차와 개인정보의 보호 제1절 행정절차 제2절 개인정보의 보호 제9장 경찰행정법 Ⅵ - 경찰관 직무집행법 등 제1절 경찰관 직무집행법 등 제2절 경찰 물리력 행사의 기준과 방법 제10장 경찰행정법 Ⅶ - 경찰구제법 제1절 국가배상법 제2절 행정심판법 제3절 행정소송법 제11장 경찰행정학(경찰관리론) 제1절 경찰정책결정 제2절 경찰조직관리 제3절 경찰인사관리 제4절 경찰예산관리 제5절 경찰물품·장비·문서관리 제6절 경찰보안관리 제7절 경찰홍보관리 제8절 경찰행정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