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리비아 전력 공급 부족으로 소형 발전기시장 호황 | ||||||||||||||||||||||||||||||||||||||||||||||||||||||||||||||||||||||||||||||||||||||||||||||||||||
---|---|---|---|---|---|---|---|---|---|---|---|---|---|---|---|---|---|---|---|---|---|---|---|---|---|---|---|---|---|---|---|---|---|---|---|---|---|---|---|---|---|---|---|---|---|---|---|---|---|---|---|---|---|---|---|---|---|---|---|---|---|---|---|---|---|---|---|---|---|---|---|---|---|---|---|---|---|---|---|---|---|---|---|---|---|---|---|---|---|---|---|---|---|---|---|---|---|---|---|---|---|
작성일 | 2013-08-29 | 국가 | 리비아 | 작성자 | 한석우(트리폴리무역관) | ||||||||||||||||||||||||||||||||||||||||||||||||||||||||||||||||||||||||||||||||||||||||||||||||
-->
-->
리비아 전력 공급 부족으로 소형 발전기시장 호황 - 하루 3~4시간의 순환 정전, 정전 지속으로 발전기 수요 급증 - - 저가 및 고가 시장 형성, 틈새시장 공략 가능 -
□ 시장 개요
○ 정세 불안에 따른 정전 연중 지속 - 리비아의 신정부 수립 일정 지연 뿐 아니라 정세 불안 지속으로 전력 공급 여건이 갈수록 악화됨. - 주요 요인으로는 잦은 가스 생산시설의 파업으로 발전소 연료 공급 부족, 민병대 및 시민의 송·배전소 파괴 행위, 전선 도난 등이 있음. - 리비아 전력청에서는 국민의 전력 낭비 습관도 큰 요인으로 판단해 대국민 전력 사용 효율화를 홍보하기 시작함. - 2012년은 겨울 및 여름철에 하루 2~3시간의 정전이 간헐적으로 발생했으나 올해에는 겨울, 여름뿐 아니라 봄, 가을에도 하루 3~4시간 수시로 정전이 발생함.
○ 가정용 중소형 발전기를 중심으로 시장 수요 대폭 증가 - 시민의 전력 공급 문제의 해결 기대와 달리 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가정용 중소형 발전기의 구매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음. - 가장 수요가 많은 발전기는 2~5㎸A의 소형 및 10~15㎸A의 중형 제품으로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는 한시적 사용 목적으로 저가의 중국산 또는 터키산 제품을 사용했지만, 잦은 고장으로 더 좋은 품질의 제품을 찾고 있음.
□ 개별 발전기(Generator)시장 동향
○ 유럽·미국·일본산 고급품 시장 및 중국·터키산 저가시장으로 양분. - 일본산 Honda, 미국산 Caterpillar, Cummins, 이탈리아산 Ascot, Iveco, Lombardini, Ruggerini, Star Power, 스웨덴산 Atlas Copco, 영국산 Perkiss, 독일산 Deutz - 터키산 Gen Power, 중국산 Tigmax, Elemax, Kipor, Toyou
○ 중형 발전기(150~700㎸A) 수요처는 병원, 행정관청, 오피스 빌딩, 공장 등으로 한정돼 있으나, 소형발전기(2~10㎸A) 수요처는 개인주택으로 수요량이 증가세임.
○ 현지 가격이 저렴한 휘발유 및 디젤 연료를 사용한 제품이 인기. - 리비아의 휘발유 가격은 ℓ당 0.15디나르(한화 120원) 수준임.
리비아 시판 중인 브래드별 발전기 가격대 (단위: 디나르)
주: 환율: 1달러=1.28디나르
소형 발전기 제품
중형 발전기 제품
□ 전망(바이어 의견)
○ Noureddin Benwaffa(MD), from Al-Muheet Company - 최근 전력 사정 악화로 발전기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음. 또한, 장기화로 소비자는 내구성이 더 높은 제품을 찾음. - 아직 한국산 제품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한국 제품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리비아에서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시사점
○ 리비아의 전력 부족 여건은 쉽게 안정되기 힘들 것이며, 그 전까지 이 제품의 수요는 지속적일 것임.
○ 중국·터키 등의 저가제품과 유럽산 고가제품 사이의 틈새시장이 형성돼 있으므로 경쟁력 있는 한국산 제품의 시장 진출 여건이 양호함.
자료원: 코트라 트리폴리 무역관 자체 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