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복아 기다려라, 보양식을 준비했다!
여름대표보양식
삼계탕&민물장어
여름이다. 가만히 있어도 땀이 흐른다. 가녀린 사람도 실한 사람도 무더위에는 몸보신이 필수다. 몸보신을 위해 원활한 위장 기능을 돕는
삼계탕과 원기회복에 탁월한 장어를 찾아 나섰다. 모두 기름기는 적으면서 높은 단백질을 갖춘 보양식. 듣기만 해도 팔다리에 힘이 ‘빡’ 들어간다.
그래도 몸보신 위해 너무 과하게 먹다간 넘치는 살들로 괴로워질 수 있으니 건강과 가격 생각하며 적당하게 섭취해두자. 아직 말복이 남았다.
말이 필요없는 보양음식, 민물장어 구이
여름 보양식으로 첫손에 꼽히는 건 누가 뭐래도 삼계탕이다. 이 땅에서 나고 자랐다면 누구나 한번쯤 맛보았을 ‘물에 빠진 닭’ 삼계탕.
더위에 찌들어 가는 복날 즈음이나 몸이 허해 골골 거릴때면 어머니가 정성껏 푹 고아주던 닭백숙, 여기에 인삼 한 뿌리 더해지면 삼계탕이 된다.
서양에서도 아플 때면 ‘치킨 스프’를 먹는다고 하니 ‘닭’은 보양에 빠질 수 없는 몸인 듯 싶다.
서울에서 삼계탕 드신다고요?
[왼쪽/오른쪽]<토속촌>전경 / 삼계탕
[왼쪽/오른쪽]<장안삼계탕>의 삼계탕 / 시청역 10번 출구에 자리한
<고려삼계탕>
삼계탕(蔘鷄湯), 이름 그대로 닭과 인삼 그리고 대추, 마늘 등이 더해진다. 닭을 깨끗하게 손질해 뱃속에 찹쌀과 마늘, 대추 등을 넣어
물을 부어 푹 삶아낸다. 여름철 대표적인 보양식으로 꼽히는 덕분에 삼복이면 찾는 이들이 더욱 많다. 닭과 인삼, 찹쌀을 기본으로 여기에 전복이나
다른 강장 재료가 더해지기도 한다.
삼계탕이야 설명이 필요없는 국민 보양식이니 바로 본론으로 들어간다. 어머니가 고아주신 삼계탕은
아니지만 무더위 보양에는 문제없는 삼계탕 전문점들을 찾아봤다. 객지 생활로 지친 몸, 무더위 공격까지 더해져 기운 빠질 때, ‘영혼을 위한
닭고기 국물’ 찾아 떠나보자.
우선 말이 필요없는 <토속촌>. 대통령의 단골집으로 유명세를 더한 전설의 삼계탕집.
어찌나 사람이 많은지 식사 시간이건 아니건 줄 서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 찾는 이들이 많아서인지 친절한 서비스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그래도
외국인 관광객들까지 합세해 손님이 넘쳐난다. 인삼과 찹쌀 뿐 아니라 갖은 한약재가 더해져 국물이 묵직하며 향도 진한 편이다. 진한 맛을 좋아하는
이들에게 잘 맞는다.
다음은 서소문동에 자리한 <고려삼계탕>. 지나다 보면 같은 이름의 삼계탕 전문점을 흔히 볼 수
있는데 반세기 넘는 전통을 자랑하는 <고려삼계탕>은 서소문과 세종로에 자리한다. 맑고 담백한 국물 덕분에 여성들이 선호하는 편이다.
같은 시청역 지척에 자리한 <장안삼계탕>도 빼놓을 수 없다. 유별난 점이 없다는 게 특징인 <장안삼계탕>은 평범함을 무기로
인근 직장인들에게 어필하고 있다. <고려삼계탕>은 지하철 시청역 7번 출구, <장안삼계탕>은 10번 출구로 나오면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이 밖에도 용산경찰서 골목에 자리한 <강원정>과 신길동의 <호수삼계탕>도 ‘삼계탕’하면 빠지지 않는
전문점들이다.
저렴하고 푸짐하게 즐기는 닭한마리칼국수
[왼쪽/오른쪽]닭한마리가 담겨 나오는 닭한마리칼국수 / 칼칼하고 얼큰하게 맛보고 싶다면 김치나 다대기를
더한다
닭을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낸 다음 칼칼한 양념과 당면을 더해 푸짐하게 내놓는 안동찜닭. 물에 빠진 닭이
싫은 이들을 위한 닭요리로 인기다
위에 소개한 삼계탕이 ‘고전’이라면 좀더 ‘캐주얼’하게 즐길 수 있는 ‘물에 빠진 닭’이 있다. 바로 닭한마리 칼국수. 광장시장 맞은편이자
동대문시장 뒤편으로 생선구이집들과 닭한마리집들이 모여있다. 양푼에 나오는 삼계탕쯤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좀더 저렴한 가격으로 몸보신 할
수 있다는 점도 좋지만 칼칼한 신김치를 육수에 부어 끓여내는 맛도 기가 막히다. 한 가지 더, 입맛과 취향에 따라 얼마든지 제조가 가능하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이다. 단점은 너무 뜨겁다는 것. 이미 익혀 나오는 삼계탕과 달리 불 앞에 양푼을 올려 끓여 먹기 때문에 열기를 피할
수가 없다. 그래도 땀 뻘뻘 흘리며 이열치열을 체감하며 닭한마리 뚝딱 해치우고 나면 팔다리에 힘이 불끈 들어간다.
둘이서
닭한마리(2만원)면 충분하다. 취향에 따라 양념 다대기와 마늘, 신김치를 더해 끓여낸다. 닭을 다 건져 먹은 뒤 남은 육수에 끓여먹는 칼국수도
잊지 말자. 삼계탕 한 그릇 가격으로 둘이 몸보신 할 수 있는 게 닭한마리 칼국수의 매력이다. <진옥화할매원조닭한마리>를 필두로 몇몇
전문점들이 모여있다. 물에 빠진 닭은 아무래도 싫다면 안동찜닭이나 닭볶음탕 또는 ‘치느님’, 치킨으로 몸보신을 하는 것도 방법이다.
자양강장 NO.1 장어, 정말로 효과가 있나요?
말이 필요없는 자양강장제 민물장어구이
다음은 민물장어다. 맛도 맛이지만 천연 자양강장제로 인기다. 장어 한점 입안에 넣고 씹다보면 그가 얼마나 ‘고단백’인지 저절로 알 수
있다. 그 고소하면서도 찰진 육즙이란! 하지만 가격이 만만치 않다. 비싸도 너무 비싸다. 보통 kg에 7만원을 넘나든다. 마리당 파는 경우도
있다. 그것도 3~4만원씩 하니 분명 가볍게 접할 음식은 아니다. 박봉 월급쟁이들은 큰맘을 먹거나 얻어 먹거나, 대부분 둘중 하나다.
자연산까지는 넘볼 필요도 없다. 웬만한 미식가가 아니고서야 그 미묘한 차이를 알 수 있으랴. 충분히 맛봐야만 가능할 터다. 장어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는 이들을 위해 혹시 모를 ‘행운의 날’을 대비해 손에 꼽는 장어집들을 소개한다.
일단 충무로의 <장추>.
30년 가까이 장어구이 전문점으로 활약하고 있다. 주변 직장인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점심시간에 주로 찾는단다. 점심메뉴 장어정식은
2만8000원, 저녁메뉴 장어구이는 kg에 7만5000원. 1kg에 2마리 정도 올라가고 둘이서 장어 맛을 볼 수 있다. 일요일과 공휴일 휴무.
서울역 건너편 벽산빌딩 골목에 자리한 <일미장어>도 유명하다. 주말과 공휴일은 모두 쉰다. 영업시간은 11:30~13:30,
17:30~21:00. 1마리에 3만원.
미식가들은 한 마리에 200g 정도 되는 장어가 최고로 맛있다고 하지만 없어서 못먹는
장어귀신 입에는 1kg짜리 장어도 달디 달다. kg에 5마리 올라가는 장어를 ‘오미장어’라고 하는데 이를 맛보고 싶은 미식가들은 강남 노보텔
지척에 자리한 <남서울 민물장어>를 찾으면 된다. 귀하신 200g 짜리 장어가 마리당 3만3000원. 둘이서 세 마리는 먹어야
한단다. 영업시간은 정오부터 오후 10시까지. 무휴.
이렇게 ‘이열치열’ 몸보신을 마쳤다면 마무리는 시원한 빙수로 하는 게
어떨까. 땀도 식히고 열도 식히고, 입안도 얼얼하게 달래줄 빙수도 여름철 빼놓을 수 없는 나름의 보양식일테니까.
여행정보
1.주변 음식점
토속촌 : 종로구 체부동 85-1 / 02-737-7444 / korean.visitkorea.or.kr
고려삼계탕 : 중구 서소문동 /
02-752-9376 / korean.visitkorea.or.kr
장안삼계탕 : 중구 세종대로 /
02-753-5834 / korean.visitkorea.or.kr
진옥화할매원조닭한마리 : 종로구
종로40가길 / 02-2275-9666 / korean.visitkorea.or.kr
장추 : 중구 충무로3가 /
02-2274-8992
일미장어 : 용산구 동자동 / 02-777-4380
2.숙소
토모레지던스 : 중구 명동8가 / 02-779-8353 / korean.visitkorea.or.kr
24게스트하우스 서울역점 :
용산구 후암로 / 02-754-8124 / korean.visitkorea.or.kr
신영모텔 : 영등포구 영등포로 /
02-2678-5695 / korean.visitkore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