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과 개신교의 십계명이 조금 차이가 있는걸 이제야 알았네요.
개신교 일부에서는 이 차이를 가톨릭을 (이단이라고) 비판하는 논거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열두개의 내용을 어떻게 열개로 추려냈느냐 하는 분류의 차이라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퍼온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가톨릭 - 성공회 - 개신교 의 순서입니다.
차이를 드러내려는 의도의 글은 일부러 퍼오지 않았습니다.
가톨릭 십계명과 개신교 십계명 - 분류의 차이 … 내용은 동일
출처 -'오요안신부의 가톨릭'
십계명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이집트를 탈출한 모세가 시나이 산에 올라가 하느님께 받은 열 가지 계명을 말한다.
이 십계명은 유다교를 믿는 유다인들뿐 아니라 가톨릭과 개신교, 정교회 등 모든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지켜야 할
가장 중요한 계명이다.
탈출기(20,2-17)와 신명기(5,6-21)에서 전하는 십계명은 '~하라'는 명령과 '~하지 마라'는 금령으로 이뤄져 있다.
가톨릭교회는 이 성경 본문들에 나오는 십계명을 정리하면서 순번을 매겨 '주요 기도문'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렇다면 가톨릭의 십계명과 개신교의 십계명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우선 두 교회의 십계명을 비교하면,
가톨릭의 제1계명이 개신교에서는 제1계명과 제2계명으로 나뉘어져 있다.
반면에 가톨릭의 제9계명과 제10계명이 개신교에서는 제10계명으로 합쳐져 있다.
가톨릭도 초기에는 개신교의 분류를 따랐는데, 이것은 초세기 유다교 학자인 필론이 분류한 방식이다.
그 후 가톨릭은 5세기의 성 아우구스티노가 분류한 방식을 따라 지금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개신교계 일각에서는 가톨릭이 모시는 성화(聖畵)나 성상(聖像)을 '우상숭배'라고 지적하면서,
이 때문에 가톨릭이 개신교의 제2계명을 일부러 빼고 제10계명을 9계명과 10계명으로 나누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런데 탈출기 20장을 읽어 보면, 현재 가톨릭이나 개신교의 십계명처럼 '일, 이, 삼…' 등의 번호가 매겨져 있지 않다.
결국 십계명에 번호를 매겨 분류하다 보니 가톨릭과 개신교에서 차이가 나게 된 것이다.
따라서 가톨릭과 개신교의 십계명이 차이가 나는 것은 해당하는 성경 본문을 어느 계명에 포함시켰느냐에 따른 것이지,
십계명 자체가 다른 것은 아니다. 결국 가톨릭과 개신교의 십계명은 모두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는 것이 정확하다.
십계명 – 천주교와 개신교가 달라요?
출처: 성공회 질문 답변
[윤호님께서 남긴 내용]
저는 지난번에 천주교의 십계명을 본적이 있는데 좀 이상하더군요
천주교의 십계명(천주십계)에는 제 2 계명 “우상을 섬기지 마라”라는 구절이 없고 대신 제 10 계명 “네 이웃의 것을
탐내지 말라”라는 구절을 ‘남의 아내를 탐내지 말라” “네 이웃의 것을 탐내지 말라” 로 만들어(2개로 나누었지요) 빠진
제 2 계명의 자리를 매꾸었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습니까?
윤호님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저 천주교에서 쓰는 십계명을 볼까요?
일. 한 분이신 하느님을 흠숭하여라.
이. 하느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마라.
삼. 주일을 거룩히 지내라.
사. 부모에게 효도하여라.
오. 사람을 죽이지 마라.
육. 간음하지 마라.
칠. 도둑질을 하지 마라.
팔. 거짓 증언을 하지 마라.
구. 남의 아내를 탐내지 마라.
십. 남의 재물을 탐내지 마라.
역시 개신교에서 사용하는 십계명과는 다르지요? 여기에는 몇가지 성서 해석과 역사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십계명은 구약성서 출애굽기 20:1-17과 신명기 5:6-21에 언급되고 있습니다. 내용은 같습니다만 약간의 차이가 있지요.
그리고 그 차이에 다라 천주교와 정교회, 루터교와 다른 개신교들이 조금씩 달리 보고 있습니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이 개신교식의 분류인 10번째 계명, “너는 네 이웃의 집을 탐하지 말라”는 대목입니다.
출애굽기와 신명기를 유심히 살펴보면 아시겠지만, “남의 아내”에 대한 언급 순서가 바뀌었지요.
출애굽기는 이른바 소유물에 “아내”(여성)을 포함시키고 있지만, 신명기는 독자적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그런 다음에 소유물을 언급하지요. 이 점에서 학자들은 사회적인 정의를 강조하는 신명기 기자의 관심에 따른 배려라고
보고 있습니다. 천주교는 이 부분에서 신명기적인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두번째, 제 1계명과 제 2계명의 연관 문제인데요. 천주교는 기본적으로 “하느님 외에는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는 계명에 대한
부속적인 설명이 “모습을 본떠 새긴 우상을 모시지 못한다”는 말이라고 봅니다. 유일신 사상을 그토록 강조했던 유대교의 한 면모
를 보는 것이지요. 이른바 상이 없는 종교를 하느님의 절대성을 통해 확인한다고나 할까요.
그러니 제 1계명과 제 2계명을 하나로 생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지요.
이것이 천주교가 채택하고 있는 십계명 분류법(?)입니다.
그렇다면 개신교는?
우선 루터교는 전통적으로 천주교와 같은 “십계명” 배열을 따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성공회와 장로교(칼빈과 쯔빙글리)의 경우는 현재 개신교에서 통요되는 출애굽기에 좀더 근거를 둔 십계명 배열을
따르지요. 최근 성서학계의 연구에 따르면 “원래의 십계명”은 다음과 같이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 너는 내 앞에서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
이. 너는 나를 본따 새기거나 비슷한 것을 만들지 말라.
삼. 너는 너의 하느님 야훼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말라.
사.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킬 것을 명심하라.
오. 네 아버지와 네 어머니를 공경하라.
육. 너는 살인하지 말라.
칠. 너는 간음하지 말라.
구. 너는 너의 이웃에게 거짓증언을 하지 말라.
십. 너는 네 이웃의 집을 탐하지 말라.
James Muilenburg, “The Hostory of the Religion of Israel,” [Interpreter's Bible] Vol. 1. p.303.
현재 개신교가 사용하는 십계명과 다를 바가 없지요? 원래의 십계명을 보자면야 출애굽기가 좀더 신빙성이 있으리라
생각한 탓이지요.
사족이요, 괜한 노파심입니다만 이런 연유에도 불구하고, 굳이 천주교가 “우상” 내용을 빼서 자신들의 성상 제작을
합리화했으니 성서적이지 않고, 성서를 재멋대로 본다라고 다그치지는 말 일입니다. 개신교에서도 역시 존경해 마지 않는
어거스틴도 사실은 현재 천주교 식의 배열을 따랐습니다. 다만 성서학계의 최근 연구로 봐서 개신교측(성공회와 장로교)의
새로운 입장(종교개혁 당시로서는)이 원 뜻에 가깝다 것이 확인되고 있으니 거기에 만족해도 되지 않을까요? 십계명의 말씀대로
“한 분이신” 하느님 안에서 우리는 궁극적으로 하나된 자녀이기 때문이지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민영진 목사님께,
우연한 기회에 알게 된 것입니다. 우리 개신교와 가톨릭이 서로 다른 십계명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습니다.
분류도 다르고 내용 일부도 달랐습니다. 배경이 궁금합니다.
용인 수지, 김XX 올림
김XX님께,
다음과 같이 한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내용에 있어서, 가톨릭과 개신교의 십계명은 서로 다르지 않습니다. 십계명은 교회가 임의로 만든 것이 아니라
구약성서 출애굽기 20장 1-17절에 나와 있는 계명을 일컫는 것이고, 가톨릭이나 개신교가 같은 히브리어 구약 원문 성경에서
성경을 번역하여 읽기 때문입니다. 출애굽기 20장에 계명이 꼭 열 개로 나뉘어 지지는 않습니다.
2) 그러나 전체 계명 내용을 어떻게 열 가지로 구분하느냐 하는 점에 있어서는 가톨릭과 개신교가 전통적으로 서로 다른 구분을
하고 있습니다. 출애굽기 20장의 계명의 가지 수가 구분 근거에 따라 10가지가 될 수도 있고, 11가지가 될 수도 있고, 심지어
열두 가지가 될 수도 있습니다.
3) “십계명”이라는 말은 출애굽기 34장 28절에서 온 것입니다. 모세가 받은 계명을 거기에서 “십계명”이라고 하였기 때문에,
출애굽기 20장의 여러 계명들을 열 가지로 나누어 본 것인데, 계명 지체가 열 가지가 넘어 열한 가지 혹은 열두 가지에 이르기
때문에 열 가지로 정리된 두 교회의 요약된 십계명에 차이가 생긴 것입니다. 여기 "십계명"이라고 번역된 히브리어는 “디브레이
하브리트 앗세렛 하드바림”은 “언약의 말씀 곧 열 마디 말 the words of the covenant, the ten words”입니다.
모세가 여호와와 함께 사십 일 사십 야를 거기 있으면서 떡도 먹지 아니하였고 물도 마시지 아니하였으며 여호와께서는 언약의
말씀 곧 십계명 十誡命을 그 판들에 기록하셨더라 ([개정] 출 34:28)”
4) 두 교회의 십계명은 귀하께서 지적하신 대로 열 가지 분류와 내용 요약이 서로 다릅니다. 여기 두 교회의 십계명을 대조해
보여드리겠습니다.
한국천주교회의 십계명
* 번역은 한국천주교주교회 번역 [성경](2005)에 근거한 것입니다.
(1) 너에게는 나 말고 다른 신이 있어서는 안 된다.
(2) 주 너의 하느님의 이름을 부당하게 불러서는 안 된다.
(3)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하게 지켜라.
(4)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여라.
(5) 살인해서는 안 된다.
(6) 간음해서는 안 된다.
(7) 도둑질해서는 안 된다.
(8) 이웃에게 불리한 거짓 증언을 해서는 안 된다.
(9) 이웃의 집을 탐내서는 안 된다.
(10)이웃의 아내를 탐내서는 안 된다.
한국개신교의 십계명
* 번역은 대한성서공회 번역, [성경전서 개역개정판](1998)에 근거한 것입니다.
(1)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두지 말라
(2)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라
(3)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지 말라
(4)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하게 지키라.
(5) 부모를 공경하라
(6) 살인하지 말라.
(7) 간음하지 말라.
(8) 도둑질하지 말라.
(9)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언을 하지 말라.
(10) 이웃의 집을 탐내지 말라.
5) 기억하기 위한 목적으로 계명을 열 가지에 맞추어 분류하고 요약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가지고 두 교회가 마치 서로 다른
어떤 신학적 배경에서 서로 다른 십계명을 가지고 있다고 그 차별성을 강조하거나, 더욱이 그 차별성을 고의적으로 곡해하여 서로
비난하거나 하는 일은 기독교인으로서 착한 행실이 아닙니다.
십계명 적용의 문제가 생기면, 교회는 기억하기 쉽게 요약된 십계명의 항목을 들고 나서는 것이 아니라 십계명이 나오는 출애굽기
20장 1-17절을 들고 나올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본문은 두 교회가 동일합니다.
<민영진 목사 드림>
첫댓글 십계명 다시 깊이 마음속에 새겨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