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규 적외선 사진_전등사 삼랑성 남문 종해루
종해루는 전등사 삼랑성의 남문에 있다. 전등사 삼랑성 남문인 종해루는 영조 15년(1739)에 유수 권교가 수축하고 종해루라는 현판을 걸었으며, 영조 40년(1764)에 중수하고 정조 7년(1783)에 유수 김노진이 기문을 지었다고 한다. 1976년 남문을 중수하고 문루도 건립하였다. 고려사 지리지에 의하면 전등산을 삼랑성이라고 부르며, 단군이 세 아들인 부여(夫餘)·부우(夫虞)·부소(夫蘇)을 시켜 쌓았다고 전해온다. 고려 고종 46년(1259) 이 성내에 궁궐을 지었으며, 조선 현종 원년(1660)에는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할 사고를 설치했다. 고종 3년(1866) 병인양요 때에는 양헌수 장군이 이 성을 침입하는 프랑스 군을 격멸한 전승지이기도 하다. 성내에는 양헌수 장군의 전승비가 있다. 이성에는 원래 동, 서, 남, 북에 성문이 있었으나 문루가 없었던 것을 영조 15년(1739)에 남문에 무루를 건립하였다. 그간에 성곽과 문루가 무너졌던 것을 1976년에 다시 복원하였다.(다음백과 어학사전)
박진규사진연구소
작품 사진촬영 현상지도
01052718282
박진규사진교실
박진규 촬영 현상 인화 작업노트
<작업노트>
사진작가 박진규사진 "전등사 삼랑성 남문 종해루"
• 촬영 마인드> 결정적순간까지 기다려서 촬영.
• 촬영 장소> 강화도 전등사 종해루
GPS 37.631736 N, 126.483149 E.
• 광선 선택> 램브란트광선(반역광선)
• 카메라> Hasselblad 907X & CFV 100C + Hasselblad XCD 30mm(f3.5) Lens + IR720 InfraRed 82mm filter(77~82 업링사용)
• 촬영 테크닉> 24mm 화각 digital 3장 촬영(중앙컷 1/60, 좌우 사이드컷 4s) 후 파노라마 병합 -> 노이즈감소 현상 -> 적외선사진 현상
• 촬영 데이터> 적용된 자기 노출 ISO 25600(3200), F 5.6(11), T 1/60(4s) 촬영후 적외선사진 현상
• 현상 인화 데이터> digital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