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cebo”를 “위약”, “가약”, “가짜약”, “속임약” 등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placebo”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기도 하기 때문에 그런 번역어가
틀렸다고 보기는 힘들다.
a pill or substance that is given to a patient like a drug but that
has no physical effect on the patient
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placebo
위약(僞藥) 또는 플러시보(영어: placebo)는 심리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 환자가 의학이나 치료법으로 받아들이지만 치료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가짜 약제를 말한다.
http://ko.wikipedia.org/wiki/%ED%94%8C%EB%9F%AC%EC%8B%9C%EB%B3%B4
하지만 넓은 의미의 placebo는 약 말고 다른 것들도 가리킨다.
A placebo(/plə’siboʊ/ plə-see-boh; Latin placēbō, "I shall please" from placeō,
"I please") is a simulated or otherwise medically ineffectual
treatment for a disease or other medical condition intended to deceive the
recipient. Sometimes patients given a placebo treatment will have a perceived
or actual improvement in a medical condition, a phenomenon commonly called the placebo effect.
http://en.wikipedia.org/wiki/Placebo_effect
그래서 나는 “위약”과 같은 번역어를 쓰는 대신 그냥 소리나는대로 표기하기로 했다.
예컨대 “placebo acupuncture”라는 표현을 “위약 침술”이라고
번역하면 좀 이상해진다.
그렇다면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
구글(https://www.google.co.kr)에서
검색해 보니 “플라시보”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플라세보: 약 77,500개
플러시보: 약 133,000개
플라시보: 약 17,200,000개
다음(http://www.daum.net)
뉴스에서 검색해 보니 역시 “플라시보”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플라세보: 232건
플러시보: 4건
플라시보: 약 2,360건
다음 국어사전(http://dic.daum.net)에는
“플라세보”가 등재되어 있었다. 이것이 표준 표기법인 듯하다.
“placebo”의 영어 발음을 흉내내면 “플러시보” 또는 “플러시보우”가
된다.
(내가 뭔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placebo”의 라틴어 발음을 흉내내면 “플라세보”가 된다. 그리고
“placebo”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말이다.
“플라시보”와 “위약”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지만 나는 앞으로 “플라세보”라고 표기하기로 했다.
첫댓글 다음 글의 댓글을 보십시오.
http://cafe.daum.net/livingbytrans/1mlW/1982
제 글의 치명적인 문제점은 placebo의 라틴어 발음이 “플라세보”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고전라틴어로는 “플라케보”, 교회라틴어(학술라틴어라고 보면 된답니다)로는 “플라체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