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목 : 하나님 말씀과 사람 말
* 저 자 : 김국일
* 분 량 : 398쪽
* 가 격 : 20,000원
* 책 크기 : 148 x 225mm
* 초판인쇄 : 2022년 6월 14일
* ISBN : 979-11-92487-19-9
* 도서출판 명성서림
저/자/소/개
■ 국립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사
■ 영남외국어대학교 영문학사
■ 총회신학대학교 (B.Th.)
■ 국제신학대학원대학 (Th.M.)
■ 미국 Pacific Rim Graduate (D.Min.)
■ 영남이공대학교 초빙교수 역임
■ 맥문학회 신인상 등단 ('98시인)
■ 담원문학회 심사위원장
■ 한국문인협회 정회원
■ 세종 한국어연구소장
저서
■『구악성경의 정경성』/ 도서출판 청아람
■『온전한 삶』/ 광림종합인쇄
■『아름다운 한글』/ 도서출판 청아람
■『우리말과 우리글』/ 도서출판 청운
■『하나님 말씀과 사람 말』/ 도서출판 명성서림
머리말
사람은 언어를 가지고 자신을 표현한다. 그러므로 하나님과 사람의 관계를 정립(定立)하는 도구는 정확한 언어로서의 교감이다. 이것이야말로 하나님의 속성을 통한 영적 교류의 유일한 통로이다. 사람은 의사를 전달할 때 몇 가지 방법을 활용한다. 감정을 섞은 격한 분노, 달콤한 사랑의 표현, 지성미를 갖춘 지적 의사 표현, 먼 곳으로의 편지 전달 등이 있다. 이러한 모든 표현은 결국 행동언어(body language), 음성언어(speech language), 문자언어 (text language)에 포함되어 있다. 지 구상 음성언어는 약 6,800여 종류가 있다. 태초에 하나님께서 아담에 게 주셨던 언어는 하나님과 직접 소통이 가능한 단 한 종류의 언어뿐이었다. 그 언어의 향방은 잘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사람과 하나님과의 유 일한 소통 수단은 언어뿐이다. 바벨탑 사건(창11:1~9) 이후 하나님께서 언어를 흩으셨으므로 지금은 하나님과 대화 할 수 있는 언어의 개수는, 소수 인원의 언어를 포함하면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당시 온 땅의 언어는 한 종류이었다. (창11:1~9) 여호와께서 무리가 하나의 족속이고 언어도 하나이었음으로, 앞으로 인간이 하고자 하는 것을 우려하시고 하나님께서 직접 내려오셔서 언어를 혼잡하게 하시고, 하나 됨을 흩으셨다. 세상을 말씀으로 창조하신 하나님께서는 창조하신 피조물들과 관계를 맺기 원하셨지만, 인간의 죄악이 방해요소가 되었 다. 사람들이 같은 자리에서 말할 때도 서로의 의사가 제대로 소통되지
않아 곤란을 겪는 경우를 종종 본다. 인간 스스로가 다시금 하나님 창 조의 말씀을 회복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은 상상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본 저자가 이 교재를 출간하게 됨은 하나님을 향한 표현을 바르게 함 으로 하나님 앞에 결례는 범하지 말아야 하겠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하나님께서는 전지전능하시므로 우리가 좀 틀리게 말하더라도 잘 알아들으시고 알아서 다 주실 거야”라는 생각은 자신의 나태와 태만 을, 하나님의 전지성에 의지하려는 미련함이다. 하나님께서는 말씀의 일점과 일획을 따지신다. (마5:18) 우리나라의 기독교 역사가 130년이 훨 씬 지났다. 초창기 목회자들의 노고는 칭찬받아 마땅하다. 반면, 개인 의 언어습관이 잘못 구전되어, 관습화된 것들이 적지 않다. 지도자나 평신도 모두가 한국어의 지식을 바로 알아서, 가르치고 배우는 일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한국교회가 습관적으로 잘못 쓰이고 있는 말(言語) 은 이제부터라도 바로잡아야 한다. 하나님의 분명한 말씀과 성도의 말 의 관계를 바로잡아, 다음 세대에는 올바른 기독교 언어들을 물려주고, 하나님과 바람직한 언어 소통 관계를 이룸으로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백성들로 거듭나기를 기원한다.
2022년 夏 외동 서재에서
담원 김국일
contents
제1부 ● 온전한 하나님 말씀
제1장 완벽한 하나님 말씀
제1절 능력(能力)의 하나님 말씀 ● 19
01 우주(宇宙)를 말씀(言語)으로 ● 19
02 체계적(體系的)인 말씀 Logos ● 20
03 말씀이 세상 속으로 ● 21
☑궁금증 / question ● 21
제2절 인류(人類)에게 선포된 하나님 말씀 ● 22
01 기도의 응답은 무엇으로 받는가? ● 22
02 사람의 음성을 초월한 말씀(音聲) ● 22
03 위력(威力)이 있는 말씀 ● 23
04 마음으로 듣는 말씀 ● 23
05 음성을 직접 들을 수 있는가 ● 24
제3절 하나님 음성(音聲)과 계시(啓示) ● 25
01 계시(啓示) ● 26
02 특별 계시 ● 26
03 일반 계시 ● 27
제4절 하나님 말씀은 부족함이 없다 ● 27
01 말씀에 오류(誤謬) 없음의 근거 ● 28
02 무엇에 관한 오류(誤謬)가 없는가 ● 28
제5절 하나님 말씀은 변함이 없다 ● 30
01 변하지 않는 말씀 ● 30
02 변화로 하시는 일 ● 30
03 존재의 불변 ● 31
제6절 하나님 말씀은 진실(眞實)하시다 ● 32
01 고고학적 증명 ● 32
02 모세오경의 진실 ● 33
03 모든 성경의 진실성 ● 33
제7절 하나님 말씀은 영적 권능이 있다 ● 35
01 살아있는 성령(聖靈)의 말씀 ● 35
02 성경의 저자는 성령(聖靈) ● 36
03 성령(聖靈)은 말씀의 생명, 씨앗 ● 36
✟마음을 가다듬고 ● 37
제2장 성경에서의 하나님 음성(音聲)
제1절 창세기 ● 39
제2절 출애굽기 ● 68
제3절 레위기 ● 127
제1부를 마무리하며 ● 202
하나님과 사람의 언어가 나누어지는 순간! ● 202
제2부 ● 완벽하지 못한 사람의 언어(言語)
◈ 인간과 언어와 기호의 관계
제1장 인간 언어의 본질 - 한국어 중심 -
제1절 사람들이 쓰는 말(言語) ● 207
01 만든 인위적 창작물인 언어(言語) ● 207
02 만들어낸 언어들의 모습 ● 208
03 우리말(韓國語) 잘 알고 바르게 쓰기 ● 208
04 음성언어와 문자언어의 공통점 ● 209
05 음성언어(音聲言語)의 특징 ● 210
제2절 언어(言語)의 갈래 적 요소(要素) ● 210
01 국가(國家)와 언어의 관계 ● 210
02 국어(國語)/외국어(外國語)/외래어(外來語) ● 211
03 은어(隱語)/속어(俗語)/비어(卑語) ● 211
04 표준어(標準語)/방언(方言) ● 212
제3절 한국어의 성격(性格) ● 212
01 언어의 기호성(記號性)/자의성(恣意性)/사회성(社會性) ● 212
02 역사성(歷史性)/보충성(補充性) ● 214
제5절 인간 언어의 기능(機能) ● 214
01 표현적(表現的) 기능(機能) ● 215
02 감화적(感化的) 기능(機能) ● 215
03 친교적(親交的) 기능(機能) ● 215
제6절 한국어의 구조(構造) ● 216
01 한국어 여러 가지 명칭 / 자음 모음의 소리 현상 ● 216
02 한글 닿소리 / 사전 찾기 자, 모음 순서 ● 216
03 한국어의 월등함 ● 217
제7절 한국어의 매력(魅力) ● 219
01 소리 만들기 ● 220
01) 한국어의 마찰음/음운(音韻)/끝소리 규칙 ● 220
02) 두음법칙(頭音法則)/모음조화(母音調和) ● 221
02 한국어 고유의 특징 ● 222
01) 고유어 / 한자어 / 외래어 / 높임법 ● 222
02) 친족어의 발달/남성 우월적 표현 ● 224
제8절 한국어의 순화(純化) ● 225
01 순화의 일반적 지식 ● 225
02 순화의 문제점 ● 226
03 순화를 해야 하는 이유 ● 226
01) 우리 민족의 위상을 높임 ● 226
02) 언어 사용의 부작용을 막음 ● 227
03) 순화의 방법 ● 227
04) 순화해야 할 대상 ● 229
제9절 예절속의 우리 말(韓國語) ● 234
01 높임법과 언어예절 ● 234
02 연말연시 인사말 ● 240
01) 한 해를 보내면서 인사말 ● 240
02) 새해를 맞이하면서 인사말 ● 240
03 축하와 위로 인사 ● 241
01) 생일맞이 축하 인사말 ● 241
02) 결혼 인사말 ● 242
03) 문병 위로 인사말 ● 242
04) 문상 인사말 ● 242
제10절 교회용어, 생활용어 바로잡기 ● 242
01 잘못 쓰이기 쉬운 53가지 ● 243
01) 가르치다/가리키다 ~ 53) 환난(患難)/환란(患亂) ● 243
02 틀리기 쉬운 음식 이름들 알아보기 ● 266
03 잘못 적기 쉬운 일상용어 알아보기 ● 267
제11절 한국어의 존칭어와 지칭어 ● 270
01 부모, 자식 간의 호칭어 / 시부모, 며느리 관련 직계 존속 ● 270
02 자녀 관련 호칭, 지칭어 ● 271
03 남편 / 아내 / 친인척 관련 ● 272
제12절 다양한 표현방법의 사례 ● 277
01 인품/신체/성격/직업을 가리키는 표현 ● 277
02 시간/날짜/나이를 가리키는 표현 ● 281
03 결혼기념일/혼동하기 쉬운 말의 표현 ● 284
제13절 성어(成語)와 다양한 속담 & 절기 ● 300
01 여러 종류의 사자성어 ● 300
◎ 단어처럼 쓰이는 성어들 ● 333
02 유대, 탈무드, 여러 나라의 속담과 격언 ● 335
03 성경속 여러 절기(節氣) ● 357
01) 안식일 (Sabbath 安息日) 02) 월삭(月朔=그달의 첫날)
03) 유월절 ( Passover 過越節) 04) 무교절 (the F east of Unleavened Bread 無酵節,)
05) 초실절 (Feast of First\-fruits 初實節) 06) 오순절 (Pentecost 五旬節)
07) 나팔절 (feast of trumpets, 喇叭節) 08) 속죄일 (Day of Aton 贖罪日)
09) 초막절 (feast of booths 草幕節)
제2장 한국어 맞춤법 실용언어
제1절 우리말의 맞춤법 활용 ● 364
01 한글 맞춤법 통일안 ● 364
01) 한국어 사전 찾기 순서(자음 19자) ● 364
02) 한국어 사전 찾기 순서(모음 21자) ● 364
02 표준어 규정 ● 365
03 날마다 읽어보는 맞춤법 이야기 ● 365
제2절 외래어 표기법 ● 367
01 외래어 표기법의 기준 ● 367
02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 368
03 문장부호와 활용법 ● 369
제3장 예배 활용의 고사성어 모음
생활 속에 꼭 필요한 한자들 ● 373
교회 속의 필수 한자어 ● 373
01) 삼위일체 호칭별 한자와 뜻 ● 373
02) 성직/헌금/절기별 명칭의 한자와 뜻 ● 373
03) 교회에서 자주 사용하는 한자와 뜻 ● 379
알아두면 유익한 용어들
바로 잡아야 할 기독교 용어
제1절 예민한 기독교 용어들 ● 388
01 성령(聖靈)의 감동으로 쓰여진 성경(聖經) ● 388
02 성경(聖經)의 저자(著者)들(대필자) ● 389
03 성도가 사용해서는 안 되는 말들 ● 390
제2절 분별하여야 할 일상용어들 ● 393
01 하나님의 말씀과 사탄의 말 ● 393
02 하나님의 복(福)과 사람의 축복(祝福) ● 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