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 주박장아찌
얼마전 무 주박장아찌를 만들었습니다.
무를 반으로 갈라서 소금에 절인후
물을 빼고
설탕과 주박을 번갈아 가며
넣고 밀봉하면
수분이 빠져나와 주박이 조금씩 풀어집니다.
주박이 풀어지면 뒤집기후 숙성시키면 됩니다.
맛은 못봐서 무슨맛일지 모르겠습니다.
무 1차로 15K 수확해서 담았는데
수분이 빠지니 양이 얼마 안됩니다.(약 반정도 줄어들음)

밭에 남아있던 잔챙이 무도
11월 22일 수확해서
오늘 소금에 절였습니다.
잔챙이는 약 8kg쯤 됩니다.
2차까지 만들면 1통은 될듯합니다.
같이 합쳐서
주박이 풀어지면 뒤집기하고
숙성시켜야 겠습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오래 묵을수록 색상이 진해진다고 합니다.
저도 올해 지게미 1포 구입해서 처음 만들어 봅니다.
무도 주박장아찌를 하는 군요.
올해 처음 참외, 울외, 여주를 주박장아찌를 담궈보았는데 저는 막걸리 지게미를 사용했어요. 수작가님께서도 막걸리 지게미를 사용하셨는지요?
저는 지게미 구입했습니다.(장아찌 공장에 사용하는 지게미입니다.)
막걸리 직접 만들어서도 토종울외 장아찌 해봤는데
막걸리 지게미는 물러져서 지게미 겉어냈습니다.
@수작가 보헤미안 만들면서 물기가 좀 많은 편이다 생각을 했었는데, 장아찌가 물러지는군요...
다음에 담글땐 습기를 좀 줄이거나, 원재료를 꾸덕하게보다 조금 더 말려서 담아야 할 듯 싶네요...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빈 하늘 주박을 약 10% 넣는다고 하더라구요.
전 너무 많이 넣었던 듯합니다.
@수작가 보헤미안 저도 엄청 넉넉히 넣었는데 한번 살펴봐야겠어요. ^^
군산 한 업체에서 참외 80 주박 10 설탕 7 소금 3의 비율로 넣는 것을 보긴 했는데
발효원이 많아서 나쁠일은 없다 싶어 좀 넉넉히 넣었거든요.
만들어진 지게미는 얼마에 구입하셨나요?
@빈 하늘 1포(20K였던것 같은데요)에 3만원 배송비 별도였습니다.
@수작가 보헤미안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올해 저의 주박장아찌가 실패하면 저도 따라쟁이로 갈아타겠습니당. ^^*
@빈 하늘 네^_^
무를 저렇게 장아찌로 담는 건 처음 봅니다.
보통 장아찌라 하면 짜다는 이미지가 강해서 선듯 선택하지 않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발효과정을 거치면 장정이 있을 것 같습니다.
군산쪽에 울외,여주,무등 이렇게 만들어 판매하는 곳이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저도 아직 맛은 못봤습니다.
올해 구입한 지게미가 많이 남아서 만들어 보았습니다.
@수작가 보헤미안 찌게미 구입처 부탁드립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11.26 16:4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11.28 06:46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11.28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