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설날 차례상 차리는 법
어동육서 (魚東肉西)[―뉵써][명사] 제사상을 차릴 때, 어찬(魚饌)은 동쪽에 놓고 육찬(肉饌)은 서쪽에 놓는 일 좌ː포우혜 (左脯右醯)[―혜/―헤][명사] 제상을 차릴 때, ‘왼쪽에 포(脯), 오른쪽에 식혜를 차림’을 이름. 붉은 과실은 동쪽, 흰 과실은 서쪽에 차림’을 이르는 말.
1.분향재배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하고 집사자가 제주는 받아서 모사 그릇에 3번으로 나누어 붓고 빈 잔을 집사자에게돌려 보내고 일어나서 2번 절한다. (향을 피우는 것은 위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요,술을 모사에 따르는 것은 아래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다.) 절을 하는 것임. 수저는동쪽을 향하게 꽂는다. 잔을 제주에게주면 제주는 잔을 받아 집사자가 따르는 술을 강신 할 때와 같이오른손 으로 잔을 들어 모사에 조금씩 3번 기울여 부은 다음 양손으로받들어 집사자에게 주면 집사자는 그것을 받아 제상에 올린다. 덮는 것을 말한다. 참사자와가족들이 모여서 시식을 한다. 제수를 장만하는 것도 마찬가지 입니다. <제사에 쓰지 않는 음식> 푸른 생선(고등어, 방어, 정어리 등)은 흔하고 천하다고 생각하여 젯상에 올리지 않았다. 구하기 어려운 것들로 그만큼 조상에게 성의와 정성을 다한다는 의미가 있다. 지역(해안지방)에 따라서는 문어 도 제사상에 올려진다. 찾아오지 못한다고 한다. 무덤 주위에도 복숭아 나무를 심지 않는다. 음식은 제물로 쓰지 않는데, 이러한 영향으로 제례음식에는 고추, 마늘, 파를 양념으로 사 용하지 않는다. 모든 제수의 조리에는 향신료(香辛料)인 마늘, 고춧가루, 파 등을 쓰지 않고 간장과 소금만 또는 천연 조미료로만 조미한다. 사용을 피하는데, 이는 5신채(五辛菜-5가지 자극성이 강한 채소) 를 피하는 불교 음식문화의 영향이다. 작용이 뛰어난 5가지의 양념류를 음식에 사용하지 않는데, 이러한 불교의 5신채의 영향으로 제사음식에서 고추가루, 마늘, 파 등을 피하는 것이다. 그대로 살려내는 것, 이것이야말로 제사음식의 핵심이다. 너무 흔하고 고춧가루와 마늘 등의 양념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출처:★정아★
다음검색
출처: 둘이친구 원문보기 글쓴이: 2279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