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을 보호해야한다.
영산강은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시작해서 영산강 하굿둑을 통해 서해로 흘러드는 강이며 일명 4대강 중 하나로 목포에 영산강 하굿둑이 있어 우리가 잘 아는 강 중에 하나이다. 이 영산강이 지금 수질 오염으로 고통받고 있는데 한 번 알아보자.
영산강은 수질오염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첫 번째 문제점으로는 영산강에 사는 동식물들의 피해이다. 영산강유역환경청에 나온 영산강에 있는 멸종 위기 동식물만 해도 총 246종이 있고 그냥 동식물까지 합치게 되면 훨씬 많은 수로 추정이 되는데 이러한 영산강에 사는 동식물들이 영산강의 수질오염으로 인해 영산강 근처에 사는 동물들은 영산강 물을 마시고 병에 걸릴 수 있고 영산강에 사는 동물과 물고기들은 수질오염으로 인한 녹조로 인해 폐사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영산강에 사는 식물들은 더러운 물을 마시고 자라 제대로 된 성장이 안되거나 죽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약 3개월 전에 목포 평화광장 앞바다에서 약 6t되는 전어 수만 마리가 폐사했던 뉴스 기사가 있다. 두 번째 문제점은 영산강 물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오는 피해이다.
영산강은 예전부터 쭉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로 사용돼 왔다. 평소에는 영산강 수질이 아무리 오염되었다 해도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로 사용할 만큼의 물은 있다. 그러나 요즘같이 가뭄 같은 상황에서는 수질오염의 문제점이 극대화된다. 원래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로 사용되어야 할 양에 가뭄으로 인한 추가로 필요해진 농업용수와 생활용수의 양이 추가되니 사용해야 할 물의 양은 많은데 정작 수질오염 때문에 쓸 수 있는 물의 양은 적으니 결국 영산강 물을 사용해야 하는 사람들이 피해를 보는 것이다.
세 번째 문제점으로는 정수에 필요한 돈이다. 영산강의 물이 수질오염 때문에 3~4급수가 된 물이 많아 정수를 하는데 예전보다 더 많은 양의 돈이 들어가진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광주 전라 쪽에 예산이 사용될 것이고 그러면 우리는 세금을 더 많이 내야 하는 불이익도 가지게 되고 정수하면서 생기는 환경문제도 무시할 수 없는 문제점중 하나이다. 지금까지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그러면 이러한 문제점이 생기게 된 원인은 무엇일까 가장 큰 원인은 광주 1하수처리장에서 나오는 방류수 때문이다. 영산가유역환경청에 따르면 영산강은 담양에서는 1급수인데 광주 1하수처리장을 지나면서 급격하게 4급수가 되고 나주를 지나게 되면 3급수로 조금 회복이 되는 구조이다.
이유를 알아보니 광주 1하수처리장에서 나오는 방류수가 영산강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를 높이게 되는데 암모니아성 질소를 영산강에 방류하게 되면 질산화 균이라는 미생물에 의해 산소를 소비하게 되는데 산소가 소비되면서 수질이 나빠지게되어 4급수가 되는것이였다. 그러면 우리가 이렇게 수질오염되고 있는 영산강을 바라보고만 있어야하는가?
우리의 영산강을 살리기 위해 우리가 개인적으로 노력해야할 점과 정부가 노력해야할 점이 있다. 우선 개인이 노력해야할 점은 첫 번째로는 음식물 쓰레기나 세제 사용을 줄인다. 음식물 쓰레기들로 인해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기 위해서는 구로구청에 따르면 마요네즈는 24만배, 기름은 19만8천배 간장은 3만배의 물이 양이 필요하다고 하다. 세제는 물에 녹지 않아 그대로 영산강으로 흘러가게된다면 영산강의 물에 거품이 생겨 햇빛을 가리게되어 물에 사는 생물들이 죽어버릴수 있으니 세제 사용을 줄여야한다. 두 번째로는 비오는날이면 공장의 폐수를 함부로 흘려 보내는 회사를 신고한다. 광주 1하수처리장이 가장 큰 원인이긴하지만 이것은 오피셜로 밝혀진 정보이며 사실 남들 모르게 비오는날에 공장의 폐수를 함부로 흘러 보내는 회사들이 있을 것이다. 그럼 정부에서 노력해야할 점은 무엇이 있을까? 첫 번째로는 영산강 살리기 캠페인을 진행한다. 사람들은 사실 영산강에 그렇게 많은 관심이 없다.
그래서 영산강이 수질오염으로 인해 죽고 있는지 인식을 못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일 것이다. 그러므로 정부에서 영산강 살리기 캠페인을 진행해서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우고 아까 언급했던 개인이 노력해야할 점들을 하게 만들어야한다. 영산강은 그래도 아직은 살아있다. 그러나 이렇게 간다면 결국 영산강은 동식물도 못 살고 농업용수, 공업용수로도 못 쓰는 강이 되버릴 것이다. 우리 다함께 영산강을 살려보자.
첫댓글 적절한 양을 사용한 내용과 현실성 있는 해결 방안의 제기, 그리고 글의 끝부분에는 독자의 올바른 행동을 자극하는 독려성 글이 좋다고 느꼈습니다. 두 번째 근거에서 어떤 공장이 폐수를 흘려보낸 적이 있는지 예시를 들어 주시면 더욱 좋겠습니다.
멸종위기동식물의 수와 폐사한 물고기 수 물을 정화하는데 드는 물의 양 등 정확한 수치를 알려주어 이해하기 편했습니다. 그런데 물의 등급을 알려줄 때 각 등급이 어느정도 오염 된 것인지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상훈씨 정말 설명을 잘 적었지만 통계자료같은 한눈에 볼수있는 자료를 넣었으면 더 알아보기 쉬웠지않나 소심하게 피드백을 적어봅니다.
우리랑 관련된 기사를 넣어서 흥미를 돋는점 좋았고
등급 관련 얘기를 잘 모르는 사람도 이해할수 있게 잘 넣어놔서 읽기가 편했다. 하지만 돈 얘기가 나올때 자세한 금액 넣었으면 좋았을것같고 자료 같은 것도 넣었으면 완벽한 글이 아니였는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