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국유철도 급행형 디젤기동차 키하 58계의 제원
운용주체 : 일본국유철도
운용노선 : 전국 각지
운용기간 : 1961년~2011년
차체 : 마일드 스틸
주엔진 : DMH17H형 수평직렬 8기통 디젤엔진 (180마력/1500rpm) 2기 - 키하2X계열은 1기
변속기/기어비 : 신코조기 CT2형, 니가타철공소 DF115형 유체변속기
대차형식 : 페디스털 코일스프링-코일스프링 스윙행거볼스터 대차 DT22C-TR51B
제동방식 : DAR1 전자식 자동공기제동
APU/차내 냉난방 : 4VK(90마력)+DM38A(70kVA), 전기식 냉방기(최대 3량), 엔진 냉각수 순환식 난방
편성 : 형식에 따라 편운전대, 양운전대, 21미터 대형기동차
No.1 키하 58계열의 개요와 홋카이도 지역용 키하 56계, 신에츠본선용 키하 57계
No.2 일본 전역의 급행열차로 운용된 키하 58계 그리고 그 부수로 개조된 조이풀 트레인
1. 급행서비스의 전국화를 열었다.
위에서 설명한 키하56, 57계는 홋카이도나 우스이고개같은 특수지형에 대응하기 위한 급행형 디젤동차였다면 키하58계는 전국적 타입의 급행형 디젤동차로서 키하56,57의 해당지역 외의 비전화 구간에 전국적으로 뿌려졌다. 그 시작은 61년 10월 츄오본선의 준급행 "알프스"가 급행열차로 승격되면서 부터였다. 이후 신에츠 지역을 제외한 혼슈전역, 시코쿠, 큐슈 전지역으로 퍼져나갔다.
2. 1엔진차+2엔진차는 키하58계의 기본 공식.
키하58계는 61년부터 69년까지 총 1,529량이라는 무지막지한 수량이 생산되어 전국에 보급되었다. 크게 보통차인 키하28(1엔진),58과 그린샤(1등차)인 키로 28과 58로 나눌 수 있으며 그린샤는 키로 28형이 주로 운용되었는데 1엔진으로 63년 이후에는 4DQ 엔진과 발전기를 사용한 단독형 냉방장치가 갖춰져 있었으며 차후 일부 차량은 4VK엔진을 사용해 주변 3량까지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2000번대로 개조하기도 했다. 63년부터 제작된 차량은 제동장치에 전자변을 추가해 장대편성에서도 제동장치의 응답성을 높혀 최대 15량까지 총괄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작되었다. 67년 이후에 제작된 최 후기형은 냉방장치를 갖춘 1000번대(온대지역), 1500번대(한랭지역용)가 도입되었다.(물론 발전기를 장착한것은 70년대 부터이기 때문에 냉방을 가동하지는 않았다) 냉방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은 키로 28형 2000번대나 키하 28형도 4VK발전기를 장착한 2000번대로 개조된 후에 가능해졌다. 이외에도 큐슈나 도호쿠지역 학생들의 수학여행을 위한 수학여행 전용차인 800번대가 32량 있었으며 우편차인 키유 25형도 8량이나 제작되었다.
키하 58계는 중간차인 키로28형을 제외하고 모두 편운전대 구조였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1엔진차와 2엔진차를 한량씩 조합한 형태로 운용되었다. 중간차인 키로 28형이 붙을때는 키하 58형 두량 사이에끼워 3량, 여기에 키하 58형 한량을 더 붙여 4량으로 조성하는것이 보통이었다. 냉방용 전원은 1엔진 차량에서만 가능해 최소 3량에 한량은 1엔진차가 들어가야 했기 때문에 급구배선에서는 운용이 어려웠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그린샤의 냉방을 포기하고 엔진을 두개 붙인 키로 58형도 있었으며 70년대 이후에는 신형엔진인 DML30HS 엔진을 사용한 키하 65형을 추가로 붙여 해결하기도 하였다.
- 키하 28형은 1엔진 타입이며 4VK 발전기 엔진으로 주변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APU가 설치된 2000번대
- 본형식인 키하 58계는 2엔진 타입이며 뒤에 키하 65형을 붙여 출력을 보완할 수 있었다.
- 키로 28형. 1등차는 중간차만 제작되었으며 창문이 2열 단위의 넓은 창문으로 되어있어 구별이 쉽다.
- 과거 수학여행 열차였던 800번대처럼 도색한 키하 58계. 전형적인 수학여행 도색으로 되어있었다.
4. 일본 전국의 로컬선 구석구석에서 활약
키하 58계는 대도시에서 출발해 지방 소도시를 연결하는 급행열차로 전국에서 활약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지방 간선의 경우 전철화가 진행중이었고 그 혜택을 보지 못한 지방 소도시들이 많았기 때문에 운행도중 간선을 운행하다 중간 분기역에서 지선으로 분리 운행하거나 다시 간선으로 합류하는 열차를 병결하는 식으로 하여 분할과 병결을 반복하는 다분할-병결 열차의 대표주자로 활약했고 , 남아있는 증기기관차 열차들을 빠르게 대체해 나갔다. 활동 범위도 광범위 해서 도호쿠본선을 중심으로 하는 각 지선의 급행열차 "미치노구", "요네시로", "리쿠츄", "타자와", 전철화 이전의 보소반도에서 운용되던 "보소", 와 츄오본선 도쿄쪽을 담당한 "알프스", 나고야쪽을 담당한 "신슈", "시나노", 산요본선에서 산인지역 방면으로 향하는 "하쿠토" , 그리고 전철화의 혜택이 늦었던 시코쿠 거의 대부분 지역과 큐슈지역까지 비전철 구간이라면 보통열차는 키하 10/20계, 그리고 급행열차는 키하 58계가 다니게 되었다.
- 현재도 그대로 특급열차로 운행중인 급행 "아시즈리"는 68년부터 키하 58계가 투입되면서 89년까지 급행열차로 운행되었다.
"Kiha28 2049 video car" by spaceaero2 - 投稿者自身による作品. Licensed under CC 表示-継承 3.0 via Wikimedia Commons.
- 나나오선에 운행되던 급행 "노토지"(현재의 특급 "노토카카리비"). 장대 열차이기도 했지만 앞에는 영화관 처럼 설비가 갖춰져 영화감상도 할 수 있었다고 한다.
- 사진을 보면 어딘지 모르더라도 이렇게 키하 58계가 찍히는 모습은 흔한 모습이었다.
4. 전철화/경영악화의 광풍을 맞아
그러다 70년대 오일쇼크로 디젤동차의 운영비가 크게 상승하고 전철화가 진행되면서 디젤동차의 수요가 줄었고 신간선 개통등으로 활동범위가 위축되면서 급행열차 자체가 설 자리를 잃기 시작했다. 많은 급행열차가 특급으로 격상되어 80년대 기동차급행 그린샤 폐지, 82년 도호쿠/죠에츠 신간선 개통으로 인해 급행/특급열차가 대부분 사라지면서 대부분의 키하 58계가 급행열차에서 이탈, 보통열차로 전환되었다. 그린샤였던 차량들은 대부분이 보통차로 개조되었고, 원맨기기 설치, 양운전대 개조(키하 53형)등을 거쳐나가며 힘겹게 살아남았다. 다만 함께 보통열차로 운용된 키하40계가 급구배에 너무 약했기 때문에 키하40계를 대신해 급구배 구간에서는 그나마 활약할 수 있었다. 또한 민영화 직전-직후를 기점으로 꽤 많은 숫자의 차량이 조이풀 트레인으로 개조되기도 하였다.
- 키하 53형은 양운전대 구조로 되어있었다. 물론 단독으로 다닐땐 무냉방이 되며 화장실 설비도 없어서 단거리 보통열차 정도의 운용만 가능했다.
- 민영화 이후엔 급행 도색을 버리고 이렇게 자사별로 도색을 입혀 운행했다. 이건 큐슈지역 보통열차 도색.
- 이건 JR동일본 니가타 지역 도색.
- 이건 JR서일본 오바마선 시절의 도색. 서일본도 지사별로 도색 차이가 컸다.
- 시코쿠 지역도 마찬가지로 시코쿠 전용 도색을 하고 보통열차로만 운용되었다.
5. 조이풀 트레인으로의 개조
키하 58계열 차량들은 80년대 들어 급행열차의 폐지 등으로 잉여차량이 많이 남아돌았기 때문에 꽤 많은 숫자의 키하 58계가 임시단체용 관광열차인 조이풀 트레인으로 개조되었다. 이들은 키하 29/59형을 부여받았으며 2~4량 편성으로 대개는 마룻바닥(카페트)에 테이블을 배치한 좌식 형태나 리클라이닝 시트를 배치하고 선두차는 전망형 선두차를 채용했다. 제일 먼저 국철 시절이었던 1985년에 홋카이도 지역에서 키하 56계를 개조한 "알파컨티넨탈 익스프레스"를 시작으로 동일본 지역에 "살롱익스프레스 알카디아", "코가네" 등 6종, 서일본 지역에 "후레아이 SUN-IN", "리조트 살롱 페스타" 등 7종, 시코쿠 3종, 큐슈가 "아쿠아 익스프레스", "아소 1962"등 11종을 개조해 운용하였다. 다만 이들이 개조되기 시작한 1980년대 중후반의 키하 58계는 대부분 15년이 지난 노후차량에 가까운 상태였기 때문에 오래 운용되지 못하고 9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 거의 대부분이 키하 40계, 485계 등에 밀려 퇴역했고 JR동일본의 "Kenji"가 유일하게 남아있다.
- 이것이 최후의 키하 58계인 조이풀트레인 "Kenji" (차량도 61년 초기형까지 들어가 있다). "살롱 익스프레스 알카디아"가 화재로 한량이 홀랑 타버리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남은 두량을 섞어 다시 개조한 차량이다.
- JR동일본 소속의 "코가네". 2010년까지 운용 후 필리핀으로 양도되었다.
- 임시-단체용으로 운행되던 "호노보노 SUN-IN"
"Aso1962 20061212" by MK Products(talk / Contributions) at the Japanese Wikipedia - File:ASO1962 sanrigi 1.jpg from the Japanese Wikipedia. Licensed under CC 表示-継承 3.0 via ウィキメディア・コモンズ.
- JR큐슈의 "아소 1962". 2006년 키하 58계로서는 마지막으로 개조된 조이풀 트레인으로서 미토오카 에이지씨의 작품이다. 과거 운행되었던 증기기관차 "SL 아소보이"의 대체격으로 도입되어 2010년 11월 키하 183계 1000번대의 "아소보-이!"로 대체될때까지 운용되었다.
6. 국철의 역사를 조용하게 뒷받침한 훌륭한 일꾼.
민영화 당시 넘어온 키하 58계는 총 1,098량이었다. 이미 디젤동차 급행이 많이 사라진 상태라 대부분이 보통열차로 전환된 상태였다. 90년대부터는 노후화로 인한 퇴역이 시작되었으며 특히 JR동일본의 경우 키하58계 개조형 조이풀 트레인인 "살롱 익스프레스 알카디아"가 운행중 엔진 화재로 전소되자 남아있는 키하58계의 엔진을 전부 커민스 DMF14HZ엔진으로 교체해버리기도 했다. 또한 내장재에 석면을 사용한 차량의 퇴역이 가속화 되면서 2005년을 전후해 대부분 퇴역했다. 퇴역한 차량은 러시아의 사할린 지방철도, 태국, 미얀마, 필리핀 등으로 양도되어 2010년까지 그 지역에서 활약하기도 했다. 키하 58계로 운용된 마지막 정기 급행열차는 산인지역의 인비선을 운행한 급행 "미요시"가 2007년 3월까지 운행되었으며 2011년 3월 타카야마본선의 보통열차를 끝으로 키하 58계의 정기열차는 자취를 감추었다. 2015년 현재 운용 가능한 키하 58계는 JR동일본의 조이풀 트레인 "Kenji"가 유일하며 일부 동태보존 형식으로 JR동일본과 큐슈가 일부 차량을 남겨두고 있으며 이스미철도나 아리타 철도등에 양도되어 동태보존식으로 운용하고 있기도 하다.
키하 58계는 60년대에 로컬선까지 급행열차 서비스를 확대하고 그곳에 남아있던 증기기관차를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60년대야 보통열차 보다는 지방의 중소도시와 지역 대도시를 연결하는 식의 열차 운용이 보편적이었고 이들 구간은 대부분 비전철 구간이었기 때문에 급행형인 키하 58은 그 역할에 딱 알맞는 차량이라 할 수 있었다. 생산량도 디젤동차의 단일 형식으로는 가장 많은 1500량, 계열 차량을 포함하면 1800량이라는 엄청난 물량이 생산되어 전국 각지에서 활약했다. 그리고 80년대 급행열차의 폐지와 함께 빠른 속도로 몰락, 로컬선의 보통열차 등으로 자신의 역할을 마무리 했다. 그러다 보니 우리나라의 철도팬들이 일본 철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시기의 키하 58계는 대부분 "낡은 구형열차"의 이미지 정도로 각인이 되어있었지만 알고보면 가장 뒷편에서 묵묵히 자신의 역할을 다 한 차량이라 할 수 있었던 것이다. 키하 58계는 분명 눈에 띄는 특징이 없는 전형적인 국철시절의 디젤동차였지만 그 경쾌했던 엔진 소리는 그 열차를 이용했던 수많은 지방 사람들과 철도팬들의 가슴속에 추억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 최후의 키하 58계열 정기열차는 타카야마본선등에서 운용되던 토야마지역철도부 소속 차량이었다.
- 최후의 디젤동차 급행열차였던 인비선의 급행 "미요시".
글 : 송승학(부운영자, 787-ARIAKE)
기초자료 / 사진 : Wikipedia, 일철연공동사진DB, Onpuch, 혹은 아래의 사이트
http://www5f.biglobe.ne.jp/~y_ich/DC/CAR/kiro28.htm
http://www.jnr-photo.com/DC58/ashizuri/DC58ashizuri.htm
http://photozou.jp/photo/show/1338/605134
|
첫댓글 밑에서 6번째 사진에 키하58계 옆의 전차는 101계인가요???
구조로 보아하니 103계인듯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