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우 껍데기로 더 튼튼한 콘크리트 만든다?
시멘트는 현대 건축의 가장 기본적인 소재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없는 현대 도시는 상상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시멘트와 철강 모두 생산에 상당한 화석 연료가 사용되고 결과물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내놓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친환경 제조 방법이 필요합니다.
워싱턴 주립 대학의 소마예흐 나시리 교수(Assoc. Prof. Somayeh Nassiri, scientists from Washington State University and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가 이끄는 연구팀은 독특한 대안을 연구했습니다.
연구팀은 시멘트의 강도를 높여 더 적은 양의 시멘트와 건축 자재를 사용할 수 있게 새우 껍데기를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했습니다. 엉뚱해 보이지만, 나름 합리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갑각류의 외골격을 이루는 폴리머인 키틴 (chitin)은 매우 단단하고 가벼운 소재로, 여기서 나노 섬유와 결정을 뽑아내면 시멘트 강화 소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시멘트 무게의 0.05%에 불과한 키틴 첨가물로도 시멘트의 성질을 크게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인간 머리카락 굵기의 1/1000에 불과한 키틴 나노 섬유가 시멘트의 휘어짐 강도를 40% 높이고 압축 강도를 12% 높일 수 있다는 겁니다.
건축물에 사용한 시멘트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면 이산화탄소 배출도 줄일 수 있습니다. 또 전체 건물의 무게가 줄어들어 하중을 지탱하는 철근 콘크리트나 철골 구조물의 양도 덤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장점은 시멘트가 굳기 시작하는 시간을 1시간 정도 늦출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믹서트럭 (레미콘 차)가 운행할 수 있는 시간을 늘려 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식품 가공 과정에서 버려지는 새우 껍데기를 이런 식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면 획기적인 일이 되겠지만, 실제로 이렇게 만든 콘크리트 구조물이 기존 제품과 동일한 신뢰성과 내구성을 지닐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많은 연구와 테스트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실제 상용화될지 의문입니다.
하지만 새우깡도 아니고 콘크리트에 새우를 첨가한다는 시도가 재미있죠.
원문: APERUTRE LABORATORIES
참고
첫댓글 저는 이런 정보와 자료들을 참 좋아합니다.
호기심 천국에 재미난거 좋아하는 중독자이기도 해서인지...
미국이 초대에 벤자민 프랭클린이란 엄청난 선구자적 인물이 저런 모든 가능성과 실험적인 합리적인 제품들을 고안해내어 만들어냈고, 번개를 피하는 피뢰침같은거 등... 합리적 법률 들을 실현되게 하여 미국의 초석을 닦은 인물입니다. 과학자이고 연구자이며 법률가이며 정치인이며 경제인이고 개척자인 프랭클린
100달러 지폐의 인물이기도 하죠, 미국 건국의 아버지라 칭할정도로 역사에 한획을 그었던 대단했던 위인!
그리고 모든 새로운 가능성의 신제품들을 연구하고 발명해낸 에디슨,
뛰어난 천재 과학자 테슬라
최근에는 일론머스크 (정치적 관점의 호불호를 떠나서)
이런 뛰어난 인재들을 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의 나라 미국이었기에 국가와 인물이 모두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내며
현대의 미국이란 나라가 전세계를 호령하는 초강대국이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