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우리말의 유래
◇단골
옛날에는 식구 중에 누가 심하게 아프거나 집에 좋지 않은 일이 생기면, 무당을 불러다 굿을 하였다. 그런데 무당을 부를 때는 늘 같은 무당을 불렀다. 이렇게 정해 놓고 불러다 쓰는 무당을 '단골'또는 '당골'이라고 했는데, 여기에서 유래하여 늘 정해놓고 찾아가는 가게를 가리켜 '단골집'이라고 한다.
◇도루묵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의 일입니다. 피난길에 오른 선조 임금 일행은 걱정이 많았는데, 그 중 하나는 음식이었습니다. 전쟁 중인 싱싱하고 맛난 음식을 마련하기가 어려웠던 것이지요. 그러던 어느 날 한 사람이 '묵'이라는 이름의 생선 꾸러미를 들고 왔습니다. 오랜만에 싱싱하고 담백한 생선을 먹은 임금은 기분이 좋았습니다. 그래서 은색 비늘을 가진 그 생선을 '묵' 대신 '은어'라고 부르도록 했습니다.
전쟁이 끝나고 다시 궁궐로 돌아온 임금은 그 생선이 다시 먹고 싶어졌습니다. 그런데 막상 상에 오른 은어를 맛본 임금은 얼굴을 찡그렸습니다. 예전에 먹었을 때의 맛과 전혀 다른, 형편없는 은어의 맛에 실망한 임금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제부터 은어를 도로 묵이라 하거라."
이래서 은어로 불리던 생선의 이름은 '도로 묵' 이 되었고, 이 말이 나중에는 '도로묵'으로 바뀐 것입니다. 일이 제대로 풀리지 않을 때, 말짱 도루묵이다.'라고 하는 것이 여기에서 비롯된 것이랍니다.
◇돌팔이
흔히 가짜나 엉터리를 뜻하는 돌팔이 '돌다'와 '팔다'라는 말이 합쳐져서 생긴 말입니다. 아는 것이나 실력이 부족해서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며 자신의 기술이나 물건을 팔아 돈을 버는 사람을 일컬어 돌팔이라고 한답니다
◇동냥
동냥은 불교 용어인 동령에서 나온 말입니다. 불교 의식을 행할 때 놋쇠로 만든 방울을 흔드는데, 이것을 동령이라고 합니다. 지금은 방울대신 목탁을 두드리지만 조선시대 때 스님들은 방울을 흔들고 다니며 시주를 받았습니다. 스님들이 집집마다 돌며 곡식을 얻기 위해 방울을 흔들고 다니게 되면서부터 동령을 '구걸'과 같은 뜻으로 쓰게 되었는데, 이 동령이 나중에 동냥으로 바뀐 것이랍니다.
◇딴전 피우다
'딴전 피우다'와 비슷한 말로 '딴전 보다'가 있어요. 여기서 '딴전'의 '전'은 제법 큰 가게를 말하지요. 그러니까 '딴전 보다'는 자기 가게는 안보고 엉뚱하게 남의 가게를 보고있다는 뜻이랍니다. 이 '딴전 보다'와 비슷한 말로 '딴전 피우다'는, 역시 자기가 하려고 했던 일보다 엉뚱한 일에 더 매달려 있을 때 쓰는 말이랍니다
◇뚱단지
'뚱딴지'는 원래 돼지감자의 다른 말이에요. 무뚝뚝하고 우둔한 사람을 가리켜 돼지감자의 생김새에 빗대어 뚱딴지같다고 했지요. 그런데 지금은 이치에 맞지 않게 엉뚱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변했답니다.
◇멍텅구리
멍텅구리는 물고기의 이름인데 이 멍청한 물고기의 모습과 행동을 보고 판단력이 없고 매우 어리석은 사람을 가리켜 '멍텅구리'라고 한다.
◇명태(북어)
명태라는 명칭은 조선 중엽에 생겼는데, 그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조선 중엽 함경도 관찰사로 부임한 민(閔) 아무개가 초도 순시차 명천군을 방문하였는데 시장했던지 상에 오른 생선 요리를 맛있게 먹었습니다. 물고기 이름을 물으니, 그 때까지 이름이 없었고 즉석에서 명천군의 명(明)자와 어부 태(太)씨의 이름을 따서 명태라고 이름을 지어주었습니다. 일설에는, 이 고기 눈알을 먹으면 눈이 밝아진다고 해서 명태라고 했다는 말도 있답니다.
그 다음 북어는? 북어란 명태를 건조한 것을 말합니다. 전설에 의하면, 고려 시대에 강원도 사람들이 '북쪽 바다에서 잡아 온 고기'란 뜻에서 북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겨울철 별미인 동태는 동명태(凍明太)의 준말이랍니다
◇미리내
미리내는 은하수의 옛말입니다. 미리는 옛말 '미르'에서 온 말인데, 용이란 뜻이고, '내'는 개울이나 시내를 뜻하므로, 미리내는 '용이 사는 시내'라는 뜻입니다.
옛날 사람들은 용이 승천하여 하늘로 올라간다고 믿었습니다. 하늘로 올라간 용이 살만한 곳은 은하수밖에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은하수가 마치 강이나 시내가 흐르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은하수를 '용이 사는 시내', 곧 미리내라고 부르게 되었답니다.
◇미주알 고주알
'미주알'은 똥구멍에 닿아있는 창자의 끝부분을 뜻합니다. 여기에 '고주알'은 아무 뜻없이 '미주알'과 리듬을 맞추기 위해 덧붙인 말이지요. 따라서 '미주알고주알' 캐묻다는 남의 창자까지 살펴 볼 정도로 꼬치꼬치 캔다는 뜻이에요.
◇바람맞다
원래 '바람맞다'는 중풍에 걸렸다는 뜻이에요. 중풍(中風)의 풍(風)자가 바람을 뜻하는 한자말이잖아요. 따라서 할머니께서 바람맞은 것은 이 중풍에 걸렸다는 것을 뜻하지요. 그런데 중풍에 걸리면 몸이 굳어져 움직일 수도 없답니다. 아주 슬프고 참혹한 모습이지요. 이런 이유로 누군가와 약속이 깨졌거나 속았을 때의 허탈한 마음을 중풍과 연결시켜 '바람맞았다'라고 했답니다.
◇부랴부랴
사람들이 불이 나면, 매우 다급하게 "불이야 불이야" 하고 소리칩니다. '부랴부랴' 는 바로 이 "불이야 불이야"하는 말이 줄어서 된 말입니다. 그래서 '부랴부랴'는 불이 났다고 소리치듯이 매우 급하게 서두를 때 쓰는 말입니다.
◇부질없다
옛날 대장간에서 쇠를 만들 때는, 쇠를 불에 달구었다 물에 담갔다를 여러 번 했어요. 이렇게 불질을 한 횟수가 많을수록 쇠가 단단했지요. 그러니 불질을 하지 않은 쇠는 금방 휘어져 쓸모가 없었답니다. 따라서 아무런 쓸모없는 행동이나 말을 할 때 흔히 '부질없다'라고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