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유통업체들이 '눈물의 세일'을 시작했다. 할인율이 50~80%에 달한다. 세일 시기도 확 앞당겼다. 코로나19로 인해 올 봄·여름 신상품의 대부분이 재고로 남자 이를 싸게라도 빨리 판매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 것이다. 예년보다 '시즌오프' 시기를 2~3개월 앞당긴 데는 "이렇게라도 매출을 끌어올려야 하반기에 장사를 할 수 있다"는 절박함이 깔려있다. 패션업계에선 "이런 추세라면 내년엔 사업을 접는 브랜드가 수십 개 나올 것"이란 괴담도 공공연하게 돌고 있다.
○"하루라도, 한 장이라도 빨리" 패션업계에서 재고는 가장 큰 부담 요인이다. 옷은 계절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안 팔리면 제품의 가치가 떨어지기 마련이다. 또 옷걸이에 걸어야 하는 옷들은 물류창고에서 자리를 많이 차지한다. 재고 관리에 보관비 등 고정비용이 많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패션 브랜드들은 올 봄·여름 신상품을 하루라도 빨리 판매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원래 브랜드의 가치는 세일의 유무, 할인율의 폭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패션업체 한섬이 '타임' '시스템' 등 자사 여성복 브랜드를 항상 정가에만 판매하는 '노세일 전략'을 고수하는 것도 '최고급 국내 여성복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서다. 그 브랜드 옷을 언제 사도 손해보지 않는다는 인식을 소비자가 가져야만 믿고 구입할 수 있다는 얘기다.
개인견해
코로나로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오랜시간을 보내다 보니 패션, 유통업체들의 재고가 많이 쌓여 세일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번주 수업에서 배웠듯이 재고량의 단위가 클수록, 보유하고 있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재고유지비용이 많이 듭니다. 그래서 이러한 손해를 줄이고자 할인율을 높여서라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유통업체들은 코로나가 해결되기 전까지 총비용을 줄이고자 주문횟수를 줄이고 재고도 최대한 적게하여 유지비를 줄여 손해를 막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첫댓글 패션업계의 가장 큰 장애요인이 PLC자체가 실질적으로 1년이란 점이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