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정(펜실베니아주립대학 특수교육학 박사과정)
미국은 연방정부 수준의 교육과정이 따로 존재하지 않지만, 초·중등학생의 교육성과 향상을 위한 수준 높은 학업성취 기준 적용과 측정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는 기준 중심(standards-based) 교육 혁신을 추구한다. 오바마 대통령 정권 1기 교육 분야에서 이룬 큰 업적 중 하나는 미국 공립 초·중·고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공통 핵심 스테이트 기준)을 마련하여 모든 주 에서 시행하도록 한 것이다(http://www.corestandards.org). 이는 그동안의 교육적 연구와 증거에 기반하고, 전 세계 주요 교육 선진국들의 장점을 채택하여 모든 학생들로 하여금 수준 높은 지식의 습득과 적용을 통한 비판적 사고능력을 기르고, 대학과 직업세계에서 준비된 인재로 글로벌 경제와 사회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지금까지 미국의 다양한 주나 도시에 서 교육을 받는 학생들 간에 일관된 기준과 목표가 없었다는 것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즉, 기존에 각 주에서 나름의 표준을 설정하여 교육시켜온 것과 달리 미국의 모든 주가 공동의 기본 목표와 교육 기준을 정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미국 내 46개 주가 K~12학년 (유치원~고등학교) 학생들이 각 학년에서 습득해야 하는 주요 과목별 지식, 개념, 기술을 명시한 주 정부 수준의 교육과정 기준을 마련해 적용하고 있다.
펜실베니아주 또한 PA Common Core Standards, 각 교과 별 Academic Standards(예, 읽기/쓰기/말하기/듣기, 수학, 과 학/기술/공학, 역사, 경제, 지리, 환경/생태 등 총 13개 영역) 를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게다가 발달장애학생을 비롯하여 장애의 정도가 심해 일반교육과정 기준과 연계된 주 단위 평가 인 Pennsylvania System of School Assessment(PSSA)에 참 여하기 어려운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만족시키고자 Alternate Academic Content Standards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대안적 평가 인 Pennsylvania Alternate System of Assessment(PASA)를 실 시하고 있다(http://www.pdesas.org/default.aspx). Alternate Academic Content Standards는 현재까지 읽기, 수학, 과학 교과 영역에 한하여 개발되었고, 모든 학생들에게 적용되는 PA 일반교 육과정 기준 중 핵심적인 학업성취 기준에 따라 장애학생들의 현 재 및 향후 생활과 관련된 필수적인 기술 습득을 강조한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교과의 각 영역별 핵심 기준을 선정하고, 교과 및 특수교육 전문가가 협력하여 핵심 기준에 따라 장애학생 들에게 중요한 영역과 관련 기술을 선별하는 과정을 거쳐 개발되었다.
일반교육과정에의 접근 : 학업 성취 강조
일반 및 특수교사와 학부모를 포함한 교수·학습계획 담당자들 은 그동안 통합교육을 받는 발달장애를 비롯하여 장애의 정도가 심 한 학생들에게 일반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학생들 에게 주로 의사소통, 사회성, 운동능력, 그리고 기초학습기술 지도 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좀처럼 독립적인 생활 가능이라는 목표 달성이 어렵다는 비판이 만연함에 따라, 가능한 학생들을 지역사회 에서 개인·가정·사회·직업적으로 생산적이고 독립적으로 기능 할 수 있는 한 성인으로 준비시킬 것을 더욱 강조하게 되었다.
발달장애학생들이 일반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일반교육과정에의 접근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았고 현실적으로 많은 제한이 따랐 기에 사회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더욱 고립되는 결과를 초래하였 다고 보고,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의 일반교육과정 접근과 향상된 학업성취를 법적으로 명시하고 주마다 학업 기준을 세우고 지역교육단위 및 학교들은 모든 학생들을 기준에 근거한 주 단위 평가에 참여시키고 학업성취 결과에 따른 책무성을 지니게 되었다.
학업과 기능적 교육 간의 균형 추구 : 교수·학습설계 초기 의사결정의 중요성과 IEP 활용
여전히 중요한 기능적 기술 지도를 통한 독립생활을 고려하면서 동시에 학업을 강조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것이 사실 이다. 이곳 현장의 교수·학습계획 담당자들은 교육과정상 우선순 위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학 업과 기능적 기술 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발달장애학생들에게 특 별히 중요한 내용 및 기술의 습득, 유지, 일반화를 고려하고, 주어 진 교수·학습 시간에 낭비하지 않고 학습 잠재력을 최대화 하도 록 설계하는 초기 의사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있다. 많은 교사 들이 끊임없이 학업중심-기술교육이 발달장애학생들에게는 크게 실용적이지 않을 뿐 아니라 생존에 있어 중요하지 않다고 하지만, 현재 법안이 발달장애학생들에게 더 이상 기능적 기술을 지도하지 말라고 명시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발달 장애학생을 위한 학업을 일축하지 않도록 할 것과 IEP가 계속해서 각 학생의 개별적 요구에 따른 교육목표와 우선순위를 기술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따라서 담당자들은 반드시 학생의 학업과 기능적 기술 영역 모두에 있어서 교육적 요구와 성취 가능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점검하고 각 교과 영역별 시간 안배와 관련하여 신중한 결정을 내리고 진전도를 지속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아래 그림은 교수·학습설계 담당자들이 핵심 사 항 간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실행하는데 안내가 되고 있다.
Alternate Academic Content Standards : 읽기 영역 예시
읽기는 학생들이 반드시 알아야 하고 문해 관련 영역에 있어서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총 4개의 기간(3/4학년, 5/6학년, 7/8학년, 11학년)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있다. 각 학년 교육과정 기준은 일반 교육 기준에 기인하고, 펜실베니아주 교육부에서 승인한 모든 학생 들을 위한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영역에 관한 Chapter 4 학업기 준의 동일 학년에서 제시되고 있는 내용이다(원 기준에 대한 참고 번호가 괄호 안에 제시됨). 학년별 대안 교과 기준은 장애학생들이 학령기 중 그리고 졸업 후 직면하는 생활 장면에서 성공적으로 적 응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적인 교수·학습 목표를 제공한다. 비록 구체적인 수업 활동 내용을 기술하고 있지는 않으나, 일선 학교에 서는 이에 근거하고 대상 학생들의 요구에 적합한 구체적인 교육프 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이를 활용한다.
학생의 성공적인 학습 실현을 위한 명확한 학습 목표의 제시가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 관련인 등이 파트너가 되도록 돕는다. 아 래의 표는 A부터 H까지 학년별로 제시된 기준들 중 한 가지인 D에 해당하는 예이다. 참고로, 진하게 표시된 부분이 Chapter 4 학업기 준에 제시된 기준과 동일한 내용이며, 장애의 정도가 심한 학생들 을 위해 내용 기준을 재해석 한 특정 기술은 이탤릭체로 표시한다
1.1. 독립적인 읽기 학습
펜실베니아주 공립학교는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최대 학습 잠재력을 인식하 고, 아래에 제시된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도록 지도 해야 한다. 그리고 도전의식을 기르도록 하며, 적절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3/4학년 |
5/6학년 |
7/8학년 |
11학년 |
D. 단어를 확인하고 정확하게 사용함으 로써 읽기 어휘를 습 득한다(예: 반의어, 동의어, 어휘 범주). 필요 시 사전을 사용 한다. (1.1.3.E)
사물, 사진, 아이콘, 어휘 명명하기 사물의 공통성을 확인 하고, 적절히 그룹화 하기 |
D. 전략(예: 사전 지 식, 삽화와 표제)을 사용하고, 본문에 대 한 예측을 돕는 기타 자료의 정보를 활용 하여 기본 아이디어 와 사실을 확인한다. (1.1.5.D)
사진/어휘를 통한 본 문의 주제 예측하기 |
D. 읽기 어휘를 확장 한다. (1.1.3.E)
유사하고 관련된 사 진/어휘 확인하기 사진/어휘 범주 확인 하기 사진/어휘 기능 확인 하기 기술된 특성에 근거 하여 사진 확인하기 복잡한 사진 읽기 분리하여 어휘 읽기 |
D. 다른 단어들과 의 관계 학습을 통 해 습득한 새 어휘 를 확인하고 정확하 게 사용함으로써 읽 기 어휘를 확립한다. 사전 혹은 관련 참 고자료를 사용한다. (1.1.11.E)
유사하고 관련된 사 진/어휘 확인하기 사진/어휘 범주 확인 하기 사진/어휘 기능 확인 하기 기술된 특성에 근거 하여 사진 확인하기 복잡한 사진 읽기 분리하여 어휘 읽기 |
기능적 기술지도 사례 : Bloomsburg Middle School - Life Skills Support Class
마지막으로, 펜실베니아주 블룸스버그 중학교 내 6~8학년 대상 특수학급의 기술적 기술지도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12~15세의 장애학생 7명(지적장애, 자폐, 중복장애, 뇌손상, 정서장애, 건강장 애 포함), 특수교사, 보조원 2명, 학급 간호사로 구성되었으며, 일부 학생들은 개인의 교과 학업 강점에 따라 일반학급에 통합되어 수업을 받고 있으며, 수업 중 과제/퀴즈/시험 등과 관련하여 특수 교사 및 보조원의 교수적 수정 도움을 받고 있다.
"학교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장애학생들에게 개별화된, 의미 있 는 실습 중심의 교육을 통해 미래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는 학급목표 아래 학생들의 하루 일과는 우선적으로 일반학급에서 시작(각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Morning Routine-아침 일과에 참여)된다. 통합교과 수업 외에 특수학급에 서는 읽기, 쓰기, 수학 중심으로 기능적 교과 기술과 일상생활 기술 지도를 한다. 이밖에 일반학급 수업과 관련한 부가적인 학습 지도 를 하고, 여가활동 훈련도 시행한다. 아래 사진들은 이 학급에서 기능적 지원에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수업자료들의 사진이다
Functional Reading
Functional Math
Daily Living
Transition Activities
출처 현장특수교육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