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와 친절한 답변에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리더십 대용 상황이론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1) 리더십 대용상황이론과 셀프리더십과의 관계
리더십 대용 상황이론은 구성원의 높은 수준의 전문성, 구조화된 과업 특성 등으로 인해
지도자의 지도성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을 의미하는데요,
이러한 리더십 대용상황은 도덕적 지도성과 초우량 지도성에서 목표로 삼는
"모든 구성원이 셀프리더가 되는 조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까요?
리더십 대용이 이루어지는 이유는 구성원이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가져 지도자의 지시가 필요가 없기 때문인데요,
이는 도덕적 지도성과 초우량 지도성에서 전문성 성장을 통해 셀프리더가 되어 구성원 각자가 지도자로 성장하는
셀프리더십과 비슷한 양상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2) 리더십 대용상황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의 성격
(1)의 질문을 생각하다가 파생된 질문인데요,
리더십 대용상황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야 할까요?
저는 지금까지는 리더십이 대체된다는 것은
지도자의 능력이 감소되어 지도자의 위상이 하락한다는 측면으로
리더십 대용상황을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생각을 했었는데요,
위의 자율적인 조직과 연관지어 생각해보니
구성원의 전문성을 신장시켜주고, 과업구조를 구조화시켜주어 자율적인 조직이 되게 한다는 점에서
리더십 대용상황이 오히려 조직에서 장려되어야 하는 상황인 것인가? 생각이 들고
하지만 마냥 장려하기에는
지도자의 권한이 약화되면서 지도자의 행동을 무력화하는 "억제 상황"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생각이 들기도 해서
리더십 대용상황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혼동이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1. 그렇게 생각해 볼 수도 있는데 굳이 연관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각 지도성은 완전 다른 의미입니다. 위의 리더십 대용상황이론은 지도성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적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고, 초우량 지도성은 구성원을 셀프리더로 만드는 지도성입니다.
2. 너무 생각이 많습니다. 리더십 대용 상황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일률적으로 말하기 어렵습니다. 대용상황인 경우 리더십이 구성원에 의해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한 현상으로 보이고, 억제 상황에서는 지도자의 지도성이 억제되는 것이라서 바람직해 보이지는 않아 보입니다.
최선을 다하시고 좋은 결실 맺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