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견적 조언 게시판입니다 이상증상에 대한 문의는 삼가해주시고
월간 견적 한번 참조하신뒤 짜오신 견적으로 물어봐주세요!!
안녕하세요.
혼자 이것저것 공부하며 조립PC 견적을 맞추다가 대표님 유튜브를 통해 좋은 정보들을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견적을 한번 짜보았는데 한번 봐주셨으면 감사드리겠습니다.
PC 목적은 작업 80%, 게임 20%입니다. 작업은 영상편집으로 누크라는 2D 툴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게임은 기본 롤이나 오버워치, 메이플 등의 게임을 하는데 이번에 PC를 바꾸면 더디비전 같은 스팀게임도 해볼 생각입니다만, 스팀게임은 FHD 기준 중옵 정도여도 상관이 없습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1. 영상을 보니 라이젠 7000 시리즈들의 메모리 클럭이 5200MHz라고 하셔서 램도 5200MHz에 맞는 제품으로 골랐습니다. 이곳저곳에서 찾아보니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5600MHz가 5200MHz로 동작한다고 하던데 이게 따로 설정을 안 건들어도 자연스레 낮아지는 걸까요? 영상에서 낮춰도 종종 문제가 발생한다고 하셔서 고민입니다.메모리 용량을 위해서 5600MHz로 32GB 2개를 할건지 안전하게 5200MHz로 16GB 2개를 할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5200MHz로 32GB가 있으면 좋은데 품절이어가지고요.
2. 파워는 두 제품으로 정했습니다. 위 견적으로는 650W 내지는 700W도 될 거 같은데 괜찮은 제품들이 딱히 안 보여서요. 80plus 골드 말고 브론즈나 스탠다드 제품들이 있던데 효율 차이가 많이 클까요? 다음 VGA 업그레이드 생각하면 750W으로는 괜찮지 않을까도 싶습니다.
3. 추가적으로 견적 내 SSD 말고 MSI의 SPATIUM M480 PRO M.2 NVMe는 추천할만하실까요?
사실 VGA나 SSD나 조금 업하고 싶었는데 예산의 범주에 벗어나서 어쩔 수 없이 낮췄습니다.
저 정도면 나쁘지 않은 구성일까요?
안 지 얼마 안되었지만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표로 만들어주신 덕분에 보기도 편하고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첫댓글 1. 그냥 4800mhz로 32gb 두 개 사시면 됩니다. 어차피 4800~5600까지 성능차도 1%내외이고 작업프로그램은 클럭의 영향을 적게 받아서 더더욱 의미가 없기도 합니다.
2. 효율차이는 많이 나긴 하는데, 쓰시는 작업이 부하가 얼마나 크냐에 따라 좀 갈립니다. (부하가 크면 전력차가 나겠지만 적으면 스텐이나 골드급이나 비슷비슷합니다) 다만 차후 글카 업글예정이 있으시다면 고르신 750w 골드급으로 가시는것도 좋긴합니다.
3. 굳이 msi ssd로 모험을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안정성을 생각하면 p31이 좋고, 조금 더 속도 빠른걸 원하시면 고르신 sn850x가 좋습니다. ssd는 표시된 읽쓰 속도는 최대값만 적어두는 경우가 많아서 정작 써보면 몇 분 유지 못하고 과열로 속도 밑바닥 찍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 지금 7900은 정말 애매한 포지션에 있습니다. 성능은 146한테 살짝 밀리는데 심지어 가격은 더 비쌉니다. 그나마 장점이라면 발열이 낮다는 것인데, 어차피 작업영역으로 가면 발열은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예산이 부족하시다면 146k쪽으로 짜보시는게 좋습니다.
요런 느낌으로 말이죠!
@조우현(직딩, 성조님 팬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Intel이 P코어랑 E코어로 나뉘는 거랑 AMD가 코어와 쓰레드가 더 높아서 후자로 선택했었네요.
찾아보니 메인보드도 4800까지이고 그 이상은 OC이네요. 순정으로 사용할거니 안전하게 4800MHz로 가야겠습니다.
말씀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