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밖에 나가보면 외투가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는 ‘롱 패딩’을 입은 청소년들을 자주 볼 수 있다. 우리 반만 하더라도 롱 패딩을 입은 친구들이 반의 절반을 넘는다.
있다. 롱 패딩을 입는 친구들에게 롱 패딩을 왜 입냐고 물어보니 “아주 따뜻하다” “너도 한번 입어보면 사게 될 것이다” 등등 이러한 반응을 보였다. 겨울의 뛰어난 보온성과 실용으로 유행을 따라가는 청소년 심리를 아주 자극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나는 롱 패딩의 유행을 그다지 좋게만 바라볼 수 없다. 몇 년 전 노스페이스 패딩의 유행으로 노스 패딩이 교복이라고 불릴 만큼 반 아이들이 거의 입고 다녔고 심지어 패딩으로 계급을 나누는 일이 있었다. 비싼 브랜드로 부모님들에 등 꼴을 빼먹었고 나 또한 그런 짓을 하며 유행을 좇았던 것 같다. 그 시절 나는 모두 다 입으니까 나만 안 입으면 친구들을 못 따라간다는 유행 심리의 걸려든 것 같다. 다수에게 멀어져서는 안된다는 욕구, 즉 밴드 왜건 효과에 걸려든 것이다. 이 밴드 왜건 효과는 유행에 동조함으로써 타인들과의 관계에서 소외되지 않으려는 심리에서 비롯된다. 요즘 핫한 평창 롱 패딩은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내리며 밤새 줄을 스며 구매를 하며 심지어 청와대의 청원까지 하는 경우를 보았다. 평창 롱 패딩의 보온성이 아무리 뛰어난다 하더라도 그중 몇몇이 그것을 바라고 구매할까? 너도 나도 구매하니까, 그 순간만 대리만족하는 소비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유명 연예인을 모델로 홍보를 하며 사람들의 구매 욕구를 북돋으며 사람들의 구매 목적을 올리는 것이 아닐까? 물론 롱 패딩을 구매한 모든 사람들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이미 패딩이 있음에도 불과하고 불필요한 소비를 하며 유행을 좇아 구매를 하는 소비패턴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개개인의 소비패턴은 다양하기 때문에 무엇이 옳다 옳지 않다. 구분 짓기 어렵지만, 소비를 할 때 이 소비가 허황된 것 아닌지, 무의식적으로 유행을 따른것이 아닌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자”라는 의미로 글을 작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