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인도네시아 외국인 투자, 꼭지점 찍고 하락세 | |||||||||||||||||||||||||||||||||||||||||||||||||||||||||||||||||||||||||||||||||||||||||||||||||||||||||||||||||||||||||||||||||||||||||||||||||||||||||||
---|---|---|---|---|---|---|---|---|---|---|---|---|---|---|---|---|---|---|---|---|---|---|---|---|---|---|---|---|---|---|---|---|---|---|---|---|---|---|---|---|---|---|---|---|---|---|---|---|---|---|---|---|---|---|---|---|---|---|---|---|---|---|---|---|---|---|---|---|---|---|---|---|---|---|---|---|---|---|---|---|---|---|---|---|---|---|---|---|---|---|---|---|---|---|---|---|---|---|---|---|---|---|---|---|---|---|---|---|---|---|---|---|---|---|---|---|---|---|---|---|---|---|---|---|---|---|---|---|---|---|---|---|---|---|---|---|---|---|---|---|---|---|---|---|---|---|---|---|---|---|---|---|---|---|---|---|
게시일 | 2015-08-17 | 국가 | 인도네시아 | 작성자 | 조주희(자카르타무역관) | |||||||||||||||||||||||||||||||||||||||||||||||||||||||||||||||||||||||||||||||||||||||||||||||||||||||||||||||||||||||||||||||||||||||||||||||||||||||
인도네시아 외국인투자, 꼭지점 찍고 하락세 - 2009년부터 상승세 구가한 외국인투자(FDI), 전년동기대비 2.45% 감소해 -
□ 2015년도 상반기 외국인투자, BKPM 발표처럼 늘지 않아
○ 인도네시아의 FDI가 올해 2분기에만 73억7000만 달러, 누적 139억 달러로 집계되면서 전년 상반기 누적투자 대비 2.4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됨. - 2009년부터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여온 인도네시아 외국인 직접투자가 7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섬.
연도별 인도네시아 상반기 외국인투자 유입 현황 (단위: 억 달러, 건, %)
자료원: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원(BKPM)
연도별 인도네시아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FDI) 추이 (단위: 억 달러, 건)
자료원: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원(BKPM)
○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원(BKPM)은 지난 27일, 2분기에 은행과 석유가스 부문을 제외한 외국인직접투자가 92조2000억 루피아(68억 달러 상당)로 2014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8% 증가했다고 밝혔으나, 달러화로 집계한 인도네시아 FDI는 전년 동기 대비 0.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BKPM은 2014년 하반기부터 달러화로 집계하던 FDI를 루피아화로 발표, 외국인 투자가 증가한 것처럼 밝힘. 그러나 달러화로 본 대인도네시아 외국인 투자는 전년 대비 소폭 감소 - 2015년 현재 인도네시아 현지통화인 루피아화의 약세는 점점 심화되고, 중앙은행(BI)에서도 자국 내 거래 시 루피아화 결제를 의무화하는 규정을 발표(2015년 7월 1일부터 발효). 외환 보유고와 함께 인도네시아 정부에서 매우 방어적인 입장을 취하는 부분임.
○ 2012년의 경우 투자액의 증가보다 투자 건수의 증가율이 낮은 진성투자 경향을 보였던 데 반해 2013년부터 인도네시아 외국인 투자는 투자액의 증가 없이 투자 건수만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임. - 실제로 투자액의 증가 없이 투자 건수만 증가하는 기현상은 2012년 BKPM에서 외국인 최소투자를 120만 달러(최소 자기자본금 25%)로 지정하면서 더 심화된 양상을 보임. - 또한 2012년 말 무역부의 수입업자 허가(API) 의무제가 발표되면서 다품목의 수입이 요구되는 제조업, 무역업, 유통업의 경우 법인의 개수 및 분야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결과를 초래
□ 국가별, 지역별, 산업별 대인도네시아 상반기 외국인투자 동향
○ 국가별 상반기 투자 집계는 2014년 TOP3 투자가로 등장한 말레이시아가 25억9000만 달러로 1위를 차지. 2위는 싱가포르가 23억 달러 투자, 3위는 일본으로 15억8000만 달러, 4위는 한국으로 7억9000만 달러를, 5위는 미국으로 6억1000만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나타남. - TOP5 투자국의 전년대비 투자액이 큰 차이가 없는 가운데 싱가포르는 전년동기대비 확연히 투자를 줄였으며, 말레이시아는 전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투자를 증가(2014년 상반기 7억2000만 달러)하는 기염을 토했는데, 2015년 말 AEC(ASEAN Economic Community) 출범과 함께 혜택이 주어지는 산업군에 대한 투자일 것으로 추정됨. - 역내 성장을 도모하는 AEC 출범으로 ASEAN 외투지분율이 일반 외투지분율 대비 혜택을 받는 몇몇 산업군의 경우, 내국인의 우회투자 혹은 해당 아세안 회원국의 대인도네시아 투자 가능성이 더 높아질 수 있음.
2015년 상반기 인도네시아 외국인 투자 유입 상위 5개국 현황 (단위: 억 달러, %)
자료원: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원(BKPM)
○ 2015년 상반기 외국인 지역별 투자는 2014년 동기와 비슷하게 투자된 것으로 집계 - 지역별로는 서부 자바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고 자카르타를 비롯한 나머지 5대 지역에 대한 투자는 줄어든 경향을 보임. - 서부 자바의 경우 투자액의 증가 대비 투자 건수의 증가가 두드러진 현상을 보이는데, 이는 공단 등 제조업 기지가 많은 서부자바에서 원재료·부자재 등을 정상적으로 수입하기 위한 유통법인·수입법인 설립 증가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음.
2015년 상반기 인도네시아 지역별 외국인 투자 상위 5개 지역 현황 (단위: 억 달러, 건)
주: 괄호 안의 숫자는 전년 동기 투자액 및 투자 건수 자료원: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원(BKPM)
○ 상반기 산업별 외국인 투자는 운송·창고·통신분야가 24억4000만 달러로 1위를 차지함. 전통적 1위 투자분야였던 광업은 상반기 22억 달러 투자로 2위, 금속·기계·전기 분야는 14억 달러 투자로 3위, 자동차·부품장비는 11억2000만 달러 투자로 4위, 화학·제약분야는 9억 달러가 투자돼 5위로 집계
2015년 상반기 인도네시아 산업별 외국인 투자 상위 5개 산업 현황 (단위: 억 달러, 건, %)
자료원: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원(BKPM)
□ 시사점
○ 2014년 상반기 대비 2015년 상반기 투자액이 감소한 것은 대인도네시아 외국인 투자의 본격적인 하향세를 예고하는 움직임으로 보임. - 그러나 TOP 5 투자자 중 말레이시아의 투자 급등(전년 동기 대비 360% 증가), 산업별 투자 중 운송·창고·통신분야 투자(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 및 금속·기계·전기분야 투자(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의 증가현상은 연말의 AEC 출범과 맞물려 해당 산업 및 역내 투자의 활성화가 진행됨을 시사
○ 투자액은 감소한 가운데 투자 건수만 급증해 현재 인도네시아의 외국인 투자 관리 및 정책에 문제점이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할 필요가 있어 보임. - BKPM은 외국인 투자의 투명성을 강화하고, 우량 내실 투자자만 받기 위해 2012년 초부터 외투 최소투자금을 120만 달러로 설정했는데, 현재의 상황은 오히려 투자액의 유입 없이 투자 건수만 늘어나 BKPM의 의도와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 상황임. - 2015년 현재 인도네시아의 전자정부 구현과 함께 외국인 투자부분은 가장 먼저 전산화되는 부분인데, 추후 투자액 증가없이 투자 건수만 늘어난 부분에 대한 정부의 대대적인 단속 가능성 있음.
○ 인도네시아 법인설립 및 투자는 크게 8단계를 거치는데, 2015년 현재 아래의 8단계를 모두 거쳐 정식으로 법인허가를 완료하지 않은 기업은 조속히 영구 사업허가를 완료할 필요 있음.
외자 투자자(PMA: Penanaman Modal Asing)의 법인 PT(Perseroan Terbatas) 설립 절차
자료원: LSW & PARTNERS
자료원: BKPM(인도네시아 투자조정원), LSW & Partners(이소왕 변호사),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 ||||||||||||||||||||||||||||||||||||||||||||||||||||||||||||||||||||||||||||||||||||||||||||||||||||||||||||||||||||||||||||||||||||||||||||||||||||||||||||
첨부파일 | PERKEMBANGAN REALISASI INVESTASI PMA BERDASARKAN LOKASI Q2 2015.xls (63KB)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