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말씀: 여호수아 20:1-9】
1 여호와께서 여호수아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2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기를 내가 모세를 통하여 너희에게 말한 도피성들을 너희를 위해 정하여
3 부지중에 실수로 사람을 죽인 자를 그리로 도망하게 하라 이는 너희를 위해 피의 보복자를 피할 곳이니라
4 이 성읍들 중의 하나에 도피하는 자는 그 성읍에 들어가는 문 어귀에 서서 그 성읍의 장로들의 귀에 자기의 사건을 말할 것이요 그들은 그를 성읍에 받아들여 한 곳을 주어 자기들 중에 거주하게 하고
5 피의 보복자가 그의 뒤를 따라온다 할지라도 그들은 그 살인자를 그의 손에 내주지 말지니 이는 본래 미워함이 없이 부지중에 그의 이웃을 죽였음이라
6 그 살인자는 회중 앞에 서서 재판을 받기까지 또는 그 당시 대제사장이 죽기 까지 그 성읍에 거주하다가 그 후에 그 살인자는 그 성읍 곧 자기가 도망 하여 나온 자기 성읍 자기 집으로 돌아갈지니라 하라 하시니라
7 이에 그들이 납달리의 산지 갈릴리 게데스와 에브라임 산지의 세겜과 유다 산지의 기럇 아르바 곧 헤브론과
8 여리고 동쪽 요단 저쪽 르우벤 지파 중에서 평지 광야의 베셀과 갓 지파 중에서 길르앗 라못과 므낫세 지파 중에서 바산 골란을 구별하였으니
9 이는 곧 이스라엘 모든 자손과 그들 중에 거류하는 거류민을 위하여 선정된 성읍들로서 누구든지 부지중에 살인한 자가 그리로 도망하여 그가 회중 앞에 설 때까지 피의 보복자의 손에 죽지 아니하게 하기 위함이라
【말씀 나눔】
오늘 말씀은 모르고 실수로 사람을 죽인 사람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고대 근동의 사회적 풍습에는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동해 복수법이 보편적 사고였으며, 가족이나 친족이 피해를 당하면, 피의 보수자로 알려진 ‘고엘’이 복수할 책임을 지게 됩니다. 그런데 이러한 복수혈전으로 인해 복수의 악순환이 반복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억울한 죽음도 발생할 수 있어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가 도피성입니다.
이 도피성에 피할 수 있는 사람은 의도하지 않았는데 실수로 사람을 죽인 경우에 한정됩니다. 레위기에서는 부지중에 범한 죄라 할지라도 반드시 속죄해야 함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의도성이 없이 살인했다고 해서 무조건 용서되는 것은 아닙니다. 도피성에 피한 사람은 도피성에서 당장 목숨을 보호 받을 수 있지만 그 사망 사건에 대해서는 고엘과 함께 회중 앞에서 재판을 받아야 합니다.
민수기 35:23~24을 보면,
24 회중이 친 자와 피를 보복하는 자 간에 이 규례대로 판결하여
25 피를 보복하는 자의 손에서 살인자를 건져내어 그가 피하였던 도피성으로 돌려보낼 것이요 그는 거룩한 기름 부음을 받은 대제사장이 죽기까지 거기 거주할 것이니라
라고 말씀하시는 것을 볼 때, 살인에 대한 재판은 살인한 자가 거주하였던 고향 성읍에서 최종 재판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때 살인 혐의를 입증할 증인은 반드시 두세 증인으로 해야 합니다. 한 사람은 언제든지 사실을 왜곡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증인 두세 명을 안전장치로 세운 것입니다.
재판 결과 고의로 살인한 것으로 판명되면 생명의 속전을 허락하지 않고 피의 보복자에게 넘겨지게 되고, 이때 보복자의 행위는 불법으로 여기지 않습니다. 그러나 과실치사로 판명이 되면, 도피성으로 이동하여 대 제사장이 죽을 때까지 연금 상태에 놓이게 됩니다.
만약에 대제사장이 살아 있는 동안 도피성 밖에 나갔다가 보복자에게 살해된다면, 그것은 자신의 책임입니다. 보복자 또한 복수의 피에 대해 책임을지지 않습니다.
민수기 35:32절에 보면
또 도피성에 피한 자는 대제사장이 죽기 전에는 속전을 받고 그의 땅으로 돌아가 거주하게 하지 말 것이니라 라고 말씀하십니다. 이 말씀은 과실치사로 판명이 나더라도 대제사장이 죽기 전까지는 죄를 사함받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그가 죄를 사함을 받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대제사장이 죽는 것입니다.
대제사장이 죽은 이후에야 사면이 되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만약에 사면 이후에 도피성에서 고향에 돌아간 사람을 복수자가 죽였다면, 피의 보복자 고엘은 살인자가 되는 것입니다.
왜 대제사장이 죽어야 사면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성경학자들의 견해가 다양합니다. 어떤 학자는 대제사장의 죽음으로 그의 죄가 속죄함을 입었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대제사장이 자연사하였는데 죽음으로 속죄했다고 보기에는 어색합니다. 우리는 영원한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죽으심으로 모든 만민이 죄와 사망의 권세에서 놓임을 받았다는 것을 연상하게 함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을 암시하는 장치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히브리서 5:8-10에서도,
8 그가 아들이시면서도 받으신 고난으로 순종함을 배워서
9 온전하게 되셨은즉 자기에게 순종하는 모든 자에게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 되시고
10 하나님께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른 대제사장이라 칭하심을 받으셨느니라
라고 말씀하심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사역에 대해 증거하십니다.
어찌되었든, 살인자는 도피성에서 거주하고 있는 순간에도 범죄자로 살아가는 것이기 때문에, 현대 사회에서 감옥에서 형을 사는 것처럼, 도피성에서 연금되어 있는 동안 자신의 죄에 대해 반성하고 죗값을 치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도피성에 들어가기 전에 자신의 모든 죄를 장로들 앞에서 낱낱이 자백해야 했기 때문에 자신의 죄를 감출 수 없었습니다. 우리도 회개 할 때, 있는 그대로 하나님 앞에 자복합니다. 하나님은 중심을 보시는 분이시기 때문에 우리가 감춘다고 감추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사망의 권세를 피해서 예수 그리스도라는 도피성으로 피하면서 우리의 모든 범죄 사실을 고백하며 회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그렇게 할 때 우리는 참된 도피성이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 거할 수 있는 것입니다.
오늘 본문에서 언급되는 도피성은 총 여섯 군데입니다.
지도에서 보시는 것처럼, 요단강을 기준으로 동편에 세 군데, 서편에 세 군데가 있습니다.
먼저 요단 서편에는 유다지파의 헤브론과 에브라임 지파에 있는 세겜, 그리고 북쪽 납달리 지파의 게데스입니다. 그리고 요단 동편에는 르우벤 지파에 속한 베셀, 갓 지파에 있는 길르앗라못, 마지막으로 므낫세 지파에 있는 바산골란입니다.
이렇게 요단을 중심으로 동편 서편에 각 세 군데씩, 그리고 북측과 중앙, 남측에 분산하여, 이스라엘 어느 곳에서든지 도피성까지 하루면 도달할 수 있는 최대 30km 이내의 거리에 위치하게 하였습니다. 이렇게 해서 도망자가 도피성으로 가는 길이 멀어서 가는 길에 죽임을 당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성경사전에는 도피성으로 가는 길에는 ‘도피성’이라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어서 도피성으로 가는 길을 잃지 않도록 조치하였고, 도피성으로 이어진 도로 또한 잘 정비되어 있었다고 설명합니다.
범죄자의 생명이라 할지라도 무고하고 억울한 죽임을 당하지 않도록 보호하시는 하나님의 생명 사랑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우리도 생명 존중의 마음으로 믿음의 지체들 뿐만 아니라 하나님이 선물로 주시는 구원을 누리기를 원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생명을 나누는 귀한 하루하루를 살아갈 수 있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하루를 시작하며 하나님의 말씀을 깨닫는 묵상 - 하시깨묵】
1. 어제 하나님께서 주신 마음으로 결심한 결단과 실천 사항은 무엇이었습니까?
2. 어제 결단한 실천 사항을 생활 속에서 적용한 결과는 어떻게 평가할 수 있습니까?
3. 오늘 본문에서 하나님은 어떤 분이시라고 말씀하십니까?
4. 오늘 본문은 나에게 무엇을 하라고 하십니까?
5. 오늘 본문은 나에게 어떤 교훈을 주고 있습니까?
그렇다면 내가 하여야 할 일은 무엇입니까?
6. 하나님께서 주신 마음으로 기도문 적기 & 실천 사항 적기
【추천 찬송가】
70장 피난처 있으니
【은혜의 찬양】
아무것도 두려워 말라:
https://youtu.be/D8pDPTFlNEs?si=fKS0HhFrAnT8tFGn
【새벽예배영상】
https://youtube.com/live/vwl4TBDXXeg